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선택적 레이저섬유주성형술에서 180°와 360° 조사 방법 간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고안압증 및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 중 180°와 360° 각 1회 선택적 레이저섬유주성형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술 후 1일, 1주, 3개월, 6개월에 안압과 1일째 전방 내 염증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1일(p=0.01)와 술 후 1주째(p=0.02) 안압은 180°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이후 술 후 6개월(p=0.95)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술 후 1일째 전방 내 염증 정도는 180°군보다 360°군에서 높았다(p=0.001). 360°군(43.3%)에서 높은 성공률을 보였으나(180°군 31.3%, p=0.23),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고찰: 180° 선택적 레이저섬유주성형술은 360˚에 시행한 것과 유사한 안압하강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합병증이 적은 것을 고려한다면180° 방식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compare the effect and safety of two regimens of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 SLT on 180° of trabecular meshwork and SLT with 100 laser spots on 360° of trabecular meshwork in patient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Methods: In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the authors compared the pressure-lowering effects of SLT in two groups of patients; group 1 (83 patients) received SLT on 180°, group 2 (30 patients) on 360° of trabecular meshwork. The clinical outcome indicators included intraocular pressure (IOP) at one day, one week, one month, two months, three months and six months after SLT, and the anterior chamber reaction at post-laser one day.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OP reduction between these two regimens after six months. The anterior chamber reactions i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group 1; 0.61 ± 0.64, group 2; 1.25 ± 0.83,p = 0.001). The success rate of group 2 (43.3%)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group 1 (31.3%; p = 0.23). Conclusions: SLT on 180° of trabecular meshwork had a similar effect compared to that of SLT on 360° of trabecular meshwork in terms of IOP reduction.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180° SLT is the safest procedure with regard to success rate and complicatio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변형된 방추형결막절제술 및 가쪽눈꺼풀판띠고정술에 의한 퇴행성 눈꺼풀겉말림의 교정 고상준, 김상덕 pp.187-192

건성안 환자에서 페놀레드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위성욱, 전연숙, 문남주, 김재찬 pp.193-199

양막이식술을 이용한 군날개 제거술에서 마이토마이신 C의 효과 배성근, 김정규, 이진기, 박대진 pp.200-207

유수정체용 전방각지지렌즈 삽입 후 각막내피세포의 장기 변화 양재니, 이진기 pp.208-214

자가윤부결막이식술을 이용한 군날개 제거술에서 결막하 섬유혈관 조직의 광범위절제술의 효과 배성근, 이진기, 박대진 pp.215-222

다초점 렌즈 삽입술 후 시력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목표 굴절력 결정에 대한 연구 김소연, 김만수 pp.223-229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후 3개월 임상결과 및 만족도 비교연구 김성민, 김치훈, 정의상, 정태영 pp.230-237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무색 인공수정체안과 황색 착색 인공수정체안의 대조민감도 및 색각 비교 임경오, 김태진, 이주화 pp.238-245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백내장 수술 전후의 황반두께 변화 유재호, 김수영, 이승욱, 이상준 pp.246-255

알파1-교감신경길항제가 수정체유화술에 미치는 영향 김은경, 정성근, 백남호 pp.256-261

당뇨황반부종에서 안내 베바시주맙 치료 후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망막 혈관 직경의 변화 김영준, 김형은, 송원경, 김성수 pp.262-267

만성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맥락막과형광에 따른 광역학치료 효과 비교 임수호, 장우혁, 사공민 pp.268-275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의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및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 병합요법 조아란, 최경식, 이미리, 이성진 pp.276-282

망막분지정맥폐쇄에 의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장기효과 송인제, 김현웅, 윤일한 pp.283-290

180도와 360도 선택적 레이저섬유주성형술의 안압 하강효과 비교 장윤수, 김정목, 임태훈, 김황기, 손용호 pp.291-296

생체 내 분해 콜라겐기질을 이용한 섬유주절제술의 임상적 소견 및 임상 효과에 대한 분석 이승주, 우제문, 민정기, 기창원, 임진호 pp.297-305

정상안에서 자세 변화에 따른 안압과 안구계측치의 변화 조효종, 황영훈, 이주화 pp.306-310

근거리‐원거리 사시각 불일치를 보인 외사시에서 양안 외직근 근경사후전술의 효과 송인제, 이슬기 pp.311-315

수평사시에서 조정수술과 비조정수술의 성공률의 장기적 추적관찰 최윤정, 박성은 pp.316-322

갑상선안병증 환자의 일차배양한 안와섬유모세포에 대한 알파-토코트리에놀의 항섬유화 효과 김숙진, 강행구, 강성모 pp.323-332

실리콘관 삽입술로 치료한 후천 눈물주머니낭종 1예 반민섭, 김미정, 곽상인 pp.333-337

목시플록사신만으로 치료된 푸사륨 진균 각막염 1예 이동철, 이중원, 장성동 pp.338-341

천공된 세균성 각막염에서 목시플록사신 함유 강화양막이식술의 임상적 적용 2예 김홍균 pp.342-347

눈물주머니에 발생한 연소형 황색육아종 1예 고상준, 김상덕 pp.348-352

일시적인 시력저하로 발견된 모야모야병 조효종, 임경오, 황영훈, 황종욱 pp.353-356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van der Zypen E, Fankhauser F.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trabecular meshwork of the monkey (Macaca speciosa) following irradiation with argon laser light.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84;221:249-61. 미소장
2 van der Zypen E, Fankhauser F, England C, Kwasniewska S. Morphology of the trabecular meshwork within monkey (Macaca speciosa) eyes after irradiation with the free-running Nd:YAG laser. Ophthalmology 1987;94:171-9. 미소장
3 Five‐year follow up of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in Chinese eyes 네이버 미소장
4 Q-switched, Frequency Doubled Nd: YAG Laser Trabeculoplasty 소장
5 Comparison of Short-term Outcomes of Argon Laser versus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in Open-Angle Glaucoma 소장
6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v argon laser trabeculoplasty: a prospective randomised clinical trial. 네이버 미소장
7 Two-year Follow-up of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as Initial and Adjunctive Treatment for Ocular Hypertension and Open Angle Glaucoma 소장
8 Comparison of long-term outcomes of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versus argon laser trabeculoplasty in open-angle glaucoma 네이버 미소장
9 Noecker RJ, Kramer TR, Latina M, et al. Comparison of acute morphologic changes after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and argon laser trabeculoplasty by electron microscopic evalu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8;39:S472-3. 미소장
10 Three year Follow up of Laser Trabeculoplasty using Q-switched frequency doubled Nd: YAG laser 소장
11 A Comparison of Efficacy and Safety Between 90˚ and 180˚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소장
12 A comparison between 90 degrees and 180 degrees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네이버 미소장
13 Long-term clinical results of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in the treatment of primary open angle glaucoma 네이버 미소장
14 High failure rate associated with 180 degrees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네이버 미소장
15 A Comparison of the Intervisit Intraocular Pressure Fluctuation After 180 and 360 Degrees of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 as a Primary Therapy in Primary Open Angle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네이버 미소장
16 Factors associated with long-term progression or stability in primary open-angle glaucoma 네이버 미소장
17 Clinical utility of intraocular pressure monitoring outside of normal office hours in patients with glaucoma. 네이버 미소장
18 The role of apraclonidine hydrochloride in laser therapy for glaucoma.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