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대한제국기 근대 학교의 소풍·수학여행의 도입과 확산 / 조성운 1

I. 머리말 1

II. 소풍·수학여행의 도입 3

III. 소풍·수학여행의 확산 18

IV. 맺음말 29

■참고문헌 32

■국문요약 34

■Abstract 35

초록보기

이 글은 식민지 조선의 근대관광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한제국기 소풍과 수학여행의 도입과 확산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대한제국의 소풍은 화류, 놀이, 원족이라는 이름으로 1896년 이후 실시되었으며, 철도의 개통 이후 수학여행으로 발전하였음을 논증하였다.

소풍은 전통놀이인 화류놀이에 기반하여 기독교 계통의 학교와 일본의 영향을 받아 성립하였다. 그 성격은 근대문물의 수용과 충군애국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민족주의적이며 국가주의적 성격을 갖는 체조의 수용과도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철도가 개통되면서 원격지로까지 수학여행지가 확대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단체여행이 가능해지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하여 학생들의 단체 숙박이 가능한 숙박시설, 즉 여관업도 발달하게 되었다. 이는 곧 근대관광의 한 조건이 성립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수학여행의 확산은 근대관광의 발달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사례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풍과 수학여행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상황에서 본고가 이러한 연구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was prepared to explore the introduction and spreading process of picnic and excursion as a part of research into modern tourism in colonial Joseon Dynasty in Korea’s imperialistic era.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icnic in Korea’s imperialistic era was enforced since 1896 in the name of Hwaryu(gay-pursuit), play, and Weonjok(distance tour, and it was evolved to a school excursion since the opening of railroad.

Excursion was based on our traditional play. Hwaryu play, and formulated by the influence of Christian-line schools and Japan. It can ba properly said to be characterized by acceptance of modern culture and loyal to the king and patriotism, which will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acceptance of gymnastics having nationalism and ethnicism.

With opening of railroad, school excursion destinations have been expanded to distant areas. This enabled students to go on a group tour. So accommodation facilities students can lodge in groups, that is, a hotel business came to rise. This can be found as constitution of one condition of modern tourism. Thus, spreading of school excursion will be a good example to look into the progress of modern tourism. Nevertheless, in the incomplete state of study on picnic and excursion, this article expects to be a cornerstone of such research.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獨立新聞 미소장
2 매일신문 미소장
3 황성신문 미소장
4 대한매일신보 미소장
5 태극학보 미소장
6 관보 미소장
7 體操傳習所, 體操傳習所一覽 1884, 1885. 미소장
8 統監府鐵道管理局, 韓國鐵道線路案內 , 1908. 미소장
9 小松悅次, 新撰韓國事情 , 東亞硏究會, 1909. 미소장
10 조선총독부철도국편, 朝鮮鐵道線路案內 , 1911. 미소장
11 南滿洲鐵道株式會社京城鐵道局, 平壤案內 (발행년도 불명). 미소장
12 創立60年 , 東京文理科大學ㆍ東京高等師範學校, 1931. 미소장
13 仁川府廳, 仁川府史 , 1933. 미소장
14 주요한, 島山全書 , 삼중당, 1963. 미소장
15 西尾達雄, 日本植民地下朝鮮における學校體育政策 , 明石書店, 2003. 미소장
16 오시미 순야 외 지음, 운동회 근대의 신체 , 논형, 2007. 미소장
17 오가와 유조 편, 김석희 옮김, 신찬 인천사정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7. 미소장
18 이마이이노스케 편, 이동철 외 옮김, 仁川鄕土資料調査事項(上)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7. 미소장
19 基督敎가 韓國女性의 開化에 미친 影響 소장
20 유치형 일기 소장
21 류근직, 김승재, 「구한말기 학교체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학교체조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소논문집 20, 강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1996. 미소장
22 이채원, 「일제시대 여관업의 변화와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23 浜田兼一, 「東京師範學校における長途遠足の成立過程に關する硏究ー身体的鍛練の側面な關する一考 察ー」, 早稲田大學大學院教育硏究科紀要 別册 11-2, 2004. 미소장
24 森栗茂一, 「見えない都市遺産―神戸の震災復興現地体験型修學旅行の試みから―」, 西山徳明 文化遺産マネジメントとツーリズムの現状と課題 , 國立民族學博物館調査報告, 2004, 131. 미소장
25 Expanding Frontier and Imperial Eyes: Travels to Manchuria and Imperial Consciousness in Modern Japan 소장
26 阿部洋, 「 隅本繁吉文書 についてー植民地教育資料の紹介ー(槪要)」, 財團法人 交流協會, 2007. 미소장
27 金玉泰, 「近代學校敎育のおける兵式體操 : 明治期と舊韓末を中心に」, 敎育硏究 50, 國際基督教大學 教育硏究所, 2008. 미소장
28 嚴晟元, 「日帝 强占期 修學旅行의 樣相과 性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8. 미소장
29 맹문재, 「1930년대 여자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 고찰- 배화 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9,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미소장
30 방지선, 「1920~30년대 조선인 중등학교의 일본ㆍ만주 수학여행」, 石堂論叢 44,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9. 미소장
31 우미영, 「전시되는 제국과 피식민지 주체의 여행-만주와 1930년대 수학여행-」, 동아시아문화연구 48,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미소장
32 植民都時와 帝國日本의 視線 :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生徒의 朝鮮·滿洲 修學旅行, 1939년 소장
33 The representations of athletic games during the period of Daehan Empire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