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뇌내 해마의 장기강화(LTP) 현상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 조주연 ; 이은정 1

《요약》 1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II. 기억 중추로서의 해마 3

1. 기억의 종류와 형성 과정 3

2. 기억에 대한 뇌과학적 해석 5

3. 기억 형성을 위한 해마의 역할 6

4. 해마 속 정보의 흐름 8

5. 해마의 시냅스 가소성 9

III. 해마에서의 LTP 현상 10

1. LTP 현상의 발생 원리 10

2. LTP 현상이 지니는 특성 13

IV. 해마의 LTP 현상이 갖는 교육적 시사점 14

1. 구조화된 정보 제공의 중요성 15

2. 적절한 감각자극의 필요성 16

3. 긍정적인 정서 고양의 중요성 17

V. 요약 및 결론 18

[저자소개] 20

〈참고문헌〉 21

Abstract 23

초록보기

 이 연구는 뇌 안에서 장기기억을 형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메커니즘의 하나로 주목을 받고 있는 해마의 장기강화(long term potentiation; LTP) 현상을 뇌과학적으로 살펴보고, 그로부터 교육적으로 의미있는 시사점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LTP 현상이란 신경세포 간의 연결 부위인 시냅스에 반복적으로 강한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시냅스에서의 정보 전달 효율이 높아진 상태를 뜻한다. LTP는 해마를 이루고 있는 신경세포들과 대뇌피질의 측두엽 세포들 사이의 시냅스에서 주로 확인된다. 이러한 LTP 현상은 (1)단일 경로의 시냅스 자극보다는 여러 경로의 시냅스를 통한 동시적 자극에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한다는 협동성, (2)자극과 관련 있는 특정 시냅스 경로에서만 발생한다는 특이성, (3)정서 반응이 동반될 때 더 효과적으로 형성된다는 정서 반응과의 연관성이라는 세 가지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뇌과학적 발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협동적 자극을 위한 구조화된 정보 제공의 중요성, 교육내용과 관련된 적절한 감각자극 활용의 중요성, 긍정적인 정서 고양의 중요성이라는 세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행복 연구가 교육에 주는 시사점 강영하 pp.1-21

보기
개념형성을 통한 문제해결력 향상 프로그램 구안 김윤숙, 김정환 pp.23-42

보기
초등학생용 휴대전화 의존성 진단척도 개발 및 타당화 고성자 pp.43-68

보기
초등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가정환경과 리더십 생활기술의 관계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허윤석, 최소영, 손원숙 pp.69-89

보기
초등학생용 배려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도덕지능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이연수 pp.91-116

보기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의 기초학력 향상 효과 분석 김지은, 김지하 pp.117-139

보기
한국과 미국의 학업중단 현황 및 대책에 관한 비교연구 김성기 pp.141-160

보기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김영신, 신철균, 김현진 pp.161-185

보기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인식 조사 이광우, 이미숙 pp.187-211

보기
초등교사의 EBS 프로그램 수업활용 실태, 만족도 및 개선방안 탐색 김혜정, 박성희 pp.213-237

보기
들뢰즈의 인식론의 교육학적 의미 탐색 : 인식능력의 차이생성이론을 중심으로 김재춘, 배지현 pp.239-265

보기
ISCED 2011에 비추어본 유아교육과 초등교육 학제의 국제 비교 연구 박은혜, 신은수 pp.267-284

보기
초등과학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 유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안미경, 정영란 pp.285-305

보기
뇌내 해마의 장기강화(LTP) 현상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조주연, 이은정 pp.307-329

보기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금희(역) (2010). Newton Highlight: 뇌와 마음의 구조. 서울: 뉴턴코리아. 미소장
2 Memory and Synaptic Plasticity 소장
3 김대중 외(역) (2004). 임상 신경해부학 그림, 2판. 서울: 범문사. 미소장
4 김아영 외(역) (2003). 교육심리학. 서울: 박학사. 미소장
5 김준균(역) (2006). 기억력 학습법. 서울: 지상사. 미소장
6 김현택, 류재욱, 이강준(역) (2004). 나의 뇌 뇌의 나 I. 서울: 학지사. 미소장
7 박만상 (2007). 총명한 두뇌 만들기. 서울: 지식산업사. 미소장
8 박승호, 서은희(역) (2010).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서울: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9 박찬웅 (2005). 뇌: 학습과 기억의 구조.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0 온기찬 (2003). 교육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11 임규혁 (1996).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미소장
12 이정모 외 (2006). 인지심리학. 서울: 학지사. 미소장
13 시냅스 가소성의 생화학적 특성 네이버 미소장
14 정종진(역) (2010). 뇌기반 교육의 원리. 서울: 학지사. 미소장
15 정호진 (2004). CaMKII 활성화에 따른 AMPA 수용체의 어셈블리 모델 및 시냅스 가소성.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조은미 (2007). 해마의 기능과 특성을 통해 본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조주연 (1994). 뇌 가소성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고찰. 교육학연구, 32(3), 23-38. 미소장
18 Techer`s Attention-getting strategies Based on Cognitive Science Discoveries 소장
19 학습 및 기억에 대한 인지과학적 발견의 교육적 적용 소장
20 Principles and Methodology of the Brain-Based Creativity Education 소장
21 The Human Brain Mechanism of ' Emotion ' and Directions of Emo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네이버 미소장
22 Carter, R. (1998). Mapping the Mind by Rita Carter. London: Orion Publishing Group Ltd. 미소장
23 Eggen, P. D., & Kauchak, D. (2006).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신종호 외(역)(2006). 교육심리학: 교육실제를 보는 창. 서울: 학지사. 미소장
24 Greenfield, S. A. (1997). The Human Brain. NY: Brockman, Inc. 미소장
25 Kandel, E. R. (2006). In Search of Memory. 전대호(역)(2010). 기억을 찾아서. 서울: 랜덤 하우스코리아. 미소장
26 LeDoux, J. (1998). The Emotional Brain. NY: Brockman. Inc. 미소장
27 LeDoux, J.(2002). Synaptic Self. 강봉균(역)(2005). 시냅스와 자아. 서울: 소소. 미소장
28 Nolte, J. (2004). The Human Brain: An Introduction to Its Functional Anatomy, 5th Edition. 안의태 외(역)(2004). 임상 신경해부학, 5판. 서울: 범문사. 미소장
29 Reed, S. K. (2006). Cognition: Theory and Applications. 박권생(역)(2006). 인지심리학: 이론과 적용. 서울: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30 Schacter, D., & Scarry, E. (2001). Memory, Brain, and Belief.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1 Stirling, J. (2002). Introducing Neuropsychology. 손영숙(역)(2003). 신경심리학 입문. 서울: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32 Sylwester, R. (1995). A celebration of neurons: An educator's guide to the human brai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