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생애핵심능력과의 관계 / 이현주 ; 김명자 ; 정수경 1
요약 1
1.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3
1.3. 용어의 정의 4
2. 연구 방법 4
2.1. 연구설계 4
2.2. 연구대상 4
2.3. 연구도구 5
2.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6
2.5. 자료분석 방법 6
3. 연구 결과 6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
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과 생애핵심능력의 차이 6
3.3.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생애핵심능력 정도 7
3.4.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생애핵심능력 간의 상관관계 8
3.5. 대학생의 생애핵심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8
4. 논의 9
5. 결론 12
참고문헌 13
Abstract 15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생애핵심능력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전소재 4년제 1개 대학교에 다니는 대학생 191명의 답변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생애핵심능력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통계, 상관관계,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과 생애핵심능력인 의사소통능력(r=.299, p<.001), 문제해결능력(r=.531, p<.00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r=.524, p<.001)은 모두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비판적 사고성향 하위영역의 변인은 창의성과 개방성이었으며 8.7%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F=10.041, p<.001).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탐구성, 신중성, 도전성, 객관성, 개방성이었으며 41.4%의 설명력(F=27.877, p<.001)을 나타내었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지적통합성, 신중성, 탐구성으로 30.4%의 설명력(F=28.675, p<.001)을 나타내었다. 도전성과 진실추구를 제외한 비판적 사고성향 하위영역이 대학생의 생애핵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생애핵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성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ifelong cor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As a descriptive study, a total of 191 students in Daeje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lifelong cor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ed communication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were creativity and open-mindness which were parts of subdomain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se factors explained 8.7% of the variances. Subdomain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ffecting problem solving competency were inquisitiveness, prudence, challenge, objectivity and open-mindness; these factors explained 41.4% of the variances. And those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were intellectual integrity, prudence and inquisitiveness; these factors explained 30.4% of the variances. In conclusion, to enhance lifelong cor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the programs that enhanc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Problem 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 A Case Study of 'Quality Management' | 소장 |
2 |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of Pre-Service Teachers | 소장 |
3 |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Two Constructs | 소장 |
4 | The Impact of Training Expenditure on Firm's Productivity | 소장 |
5 | Original Articles :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소장 |
6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 소장 |
7 | 김안나, 이병식, 장수명, 박남기 (2002). 생애핵심능력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고등교육체계의 질관리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8 | 박선환 (1999).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박중길 (2007). 문제중심 무용학습이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스심리학회, 18(2), 105-122. | 미소장 |
10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 소장 |
11 | 양승애 (2010).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 간호행적학회지, 16(4), 389-398. | 미소장 |
12 | 유현숙, 김태준, 이석재, 송선영 (2004). 국가수준의 생애핵심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3 | 유현숙, 김남희, 김안나, 김태준, 이만희, 장수명, 송선영 (2002). 국가 수준의 생애핵심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4 | 윤진 (2004).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 개발: 간호학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 - 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 | 소장 |
16 |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2003). 생애핵심능력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7 | 또래 튜터링 질문생성이 학업성취와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소장 |
18 |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of university students | 소장 |
19 | 장수명, 김태준, 김남희, 임세영, 장원섭 (2002). 생애핵심능력 형성의 관점에서 본 학교교육과 직업세계와의 연계체제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20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 소장 |
21 | The Relationship of Core Competencies(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Critical Thinking | 소장 |
22 | Factors Influe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Local Cities : Focu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소장 |
23 | 허경철, 김홍원, 양미경, 임선하, 김명숙 (1991).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Ⅴ),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24 | Facione, P. A., Facione, N. C. (1992).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Millbrae, CA: The California, Academic Press. | 미소장 |
25 | Facione, N. C., Facione, P. A., Sanchez, C. A. (1994).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CCTDI) test manual, Millbrae, CA: The California Academic Press. | 미소장 |
26 | The Disposition Toward Critical Thinking: Its Character,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to Critical Thinking Skill ![]() |
미소장 |
27 |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 |
미소장 |
28 | Critical Thinking Competence and Disposition of Clinical Nurses in a Medical Center ![]() |
미소장 |
29 |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Cambridge. | 미소장 |
30 | Spitzberg, B. H., Cupach, W. R. (1989).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NY: Springer-Verlag. | 미소장 |
31 | Critical Thinking Skill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at Program Entry and Exit. ![]() |
미소장 |
32 |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mong newly graduated nurse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