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20명의 학생들로 실험집단 10명(남=6, 여=4), 통제집단 10명(남=5, 여=5)이 무선 배치되었다. 이들은 모두 인터넷 중독 여부를 판별하는 K-척도에서 잠재위험군 이상으로 판별되었다. 연구를 위한 음악치료는 2011년 10월부터 11월까지 6주간 매주 1회씩 총 6회기의 음악치료 세션이 시행되었으며, 사전-사후검사로 인터넷 중독 척도인 K-척도와 회복탄력성 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음악치료는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회복탄력성 지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각 영역별 점수의 평균을 보면, 특히 긍정성 영역(자아낙관성, 생활만족도, 감사하기)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인터넷 중독 K-척도 에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 점수가 감소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회복탄력성에 대한 음악치료의 효과는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인 회복탄력성의 증진이 인터넷 중독 치료에도 영향을 줄 것이며, 이와 같은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의 지속적인 시행은 인터넷 중독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activities on resilience of Internet addicted adolescents. Twenty Subjects were selected and ten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group(M=6, F=4) or control group(M=5, F=5). These subjects were proved that they were over potential danger group for Internet Addicted Test, K-Scale.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total 6 sessions of music therapy program for six weeks from October, 2011 to November, 2011. All the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K-Scale and Resilience Scale for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s in Resilience Quotient Tes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ree main parts of resilie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uch as self-optimism, life satisfaction, and appreciation. The scores of K-Scal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suggested that music therapy can be useful to increase resilience of internet addicted adolescents and their improvement of internet addiction.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국내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 동향 분석 | 황은영, 박소연 | pp.1-19 | ||
음악치료활동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여정윤 | pp.21-40 |
|
|
음악치료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 김인경 | pp.41-61 |
|
|
음정의 차이가 개인의 음정 재생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은혜 | pp.29-46 |
|
|
Immediat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Fatigue in Hospitalized Patients on a Bone Marrow Transplant Unit : A Pilot Study | Dan Andersen, sarah E. Pitts, Michael J. Silverman | pp.47-64 |
|
|
음악치료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애착유형, 자기효능감, 정서적 유대, 수치심, 평가불안 간의 관계 | 김동민 | pp.1-2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가청소년위원회, 대한청소년정신의학회 인터넷 중독 청소년 치료/재활사업단(2007). 심각한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치료/재활사업 보고서. 보건복지부. | 미소장 |
2 | The Effects of Hope and Meaning of Life on Adolescents` Resilience | 소장 |
3 | Concept Development of Resilience | 소장 |
4 | The Effects of the Three Resilience Factors on Problematic Online Game Uses | 소장 |
5 | A Descriptive study on the Music therapy conducted to public recognition,comprehension,and expectation. | 소장 |
6 | 이미정 (2009). 인터넷 게임중독 청소년의 정서 자아개념을 위한 노래 만들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Resilience and Protective Factors in At-risk Childern | 소장 |
8 | 이영미 (2005). 게임 중독 청소년의 충동성과 불안 감소를 위한 노래 만들기 (songwriting)기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for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Scale of Korean Adolescents | 소장 |
10 | The relations of ego-resiliency, stress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 소장 |
11 | 주혜윤 (2009).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즉흥연주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Resilience of Adolescents who use the youth Self-Sufficiency Supporting Center | 소장 |
13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인터넷 중독 실태와 법제도적 대응. 한국정보화진흥원. | 미소장 |
14 |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nstructional suggestion | 소장 |
15 | Anthony, E. J. (1987). Risk,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n overview. The invulnerable child. New York: Guilford Press. | 미소장 |
16 |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 |
미소장 |
17 | Garmezy, N. (1996). Reflections and commentary on risk, resilience, and development. Stress, Risk,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Adolesents-Process, Mechanism, Interven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8 | Research on resilience to child maltreatment: empirical considerations ![]() |
미소장 |
19 | Methodological Issues in Assessing Resilience in Maltreated Children ![]() |
미소장 |
20 |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 |
미소장 |
21 | Combining Music Therapy and Rational Behavior Therapy ![]() |
미소장 |
22 | Resilience among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grown up. ![]() |
미소장 |
23 | Adolescent resilience: a concept analysis ![]() |
미소장 |
24 |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 |
미소장 |
25 | Reivichm, K., & Shatte, A. (2002). The resilience factor: Seven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evitable obstacle. New York : Broadway Books. | 미소장 |
26 |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 |
미소장 |
27 | Music Therapy Helping to Work Through Grief and Finding a Personal Identity ![]() |
미소장 |
28 | Werner, E. E., & Smith, R. S. (1982). Vulnerable but invincible: A longitudinal study of resilient children and youth.. New York: McGraw Hill. | 미소장 |
29 | Werner, E. E., & Smith, R. S. (1993). Overcoming the odds: High risk children from birth to adulthood.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