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연구 / 김진영 ; 성원경 1
요약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III. 자료분석 8
IV. 연구결과 및 해석 9
1. 셀프리더십 수준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인식 9
2. 셀프리더십이 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예측할 수 있는 설명력 10
V. 논의 및 결론 12
참고문헌 15
ABSTRACT 1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미옥(2011). 셀프리더십이 개인의 직무성과 및 일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율-통제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A Study of the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 소장 |
3 | The study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teacher"s profession | 소장 |
4 | 김수자(2006). 셀프리더십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General Background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on Job Attitudes | 소장 |
6 | 권성민(2010).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고찰: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구, 13: 67-81. | 미소장 |
7 | Reflecting Thinking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소장 |
8 | 박은혜(2002). 유아교사의 지식.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9 | 중등교사의 교직이수 유형별 전문성 및 만족도 차이 | 소장 |
10 | 성원경(2007). 실습 전ㆍ후 및 초임시기의 유치원교사 지식구성에 관한 연구 : 통합적 유아교육과정운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The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n Their Teaching Efficacy | 소장 |
12 |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
미소장 |
13 | 어은희(2009).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전문성 지각 수준과 직무만족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염지숙․이명순․조형숙․김현주(2008). 유아교사론. 서울: 정민사. | 미소장 |
15 | 오욱환(2005). 교사 전문성: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16 | 오정란(2005). 교사의 전문직업성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한국교육정책연구소 교육연구; 2005-05. | 미소장 |
17 | 이 경(2002).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인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이돈희 외(1998). 교육이 변해야 미래가 보인다: 국난 극복과 21세기 재도약을 위한 교육전략. 서울: 현대문학. | 미소장 |
19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 소장 |
20 | 이혜경(2010).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경력교사들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총, 14(5): 287-314. | 미소장 |
21 | 이화경(2011).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윤혜영․김상희(2010).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전문성 인식에 따른 영아의 애착안정성 연구. 한국몬테소리교육연구, 15: 83-103. | 미소장 |
23 | 위숙희(2008).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정유정(2010).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2010(11). | 미소장 |
25 | 셀프 리더십 교육이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과 자존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 소장 |
26 | 敎師의 專門性 提高를 위한 政策方向과 課題 | 소장 |
27 | The Effects of the Self-leadership Program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 소장 |
28 | 표준국어대사전(2012). 「Online available」 http://stdweb2.korean.go.kr/ | 미소장 |
29 | Anderson, J. S., & G. E. Prussia(1997). The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Preliminary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The Journal of leadership studies, 4(2): 119-143. | 미소장 |
30 | Black, A., & Halliwell, G.(2000). Accessing practice knowledge: how?, why?,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6: 103-115. | 미소장 |
31 | Demirkasimoglu, N.(2010). Defining “teacher professionalism” from different perspectives. Procedia Social Sciences, 9: 2047-2051. | 미소장 |
32 |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 |
미소장 |
33 | Liberman, A., & Miller, L.(2009). 교사리더십. (황기우 역). 서울: 학지사(원서출판). | 미소장 |
34 | Child and youth care quarterly! ![]() |
미소장 |
35 |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 |
미소장 |
36 | Manz, C. C., & Neck, C. P.(2004).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 미소장 |
37 |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Theory Perspective ![]() |
미소장 |
38 | Muijs, D., & Harris, A.(2006). Teacher led school improvement: teacher leadership in the UK.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 961-972. | 미소장 |
39 |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 |
미소장 |
40 | Nemser, F.(1990). Teacher preparation: structure and conceptual alternatives. In W. R. Houestion(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212-233. NY: MacMillan Publishing Co.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