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교감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쟁점과 과제 고찰 / 백승관 1

〈요약〉 1

I. 서론 2

II. 교감직과 관련된 전통적 쟁점 분석 4

1. 교감의 법률적 지위와 관련된 문제 4

2. 교감인사제도와 관련된 문제 5

3. 교감제도에 관한 연구와 관련된 문제 5

III. 교장공모제의 쟁점과 교감제도와의 관련성 7

1. 교장공모제도의 도입취지와 주요 쟁점 7

2. 교장과 교감의 직무와 역할에 대한 법적 해석과 관련된 쟁점 9

3. 교감의 실제적 직무 수행과 관련된 문제 10

IV. 수석교사제의 쟁점과 교감제도와의 관련성 12

1. 수석교사제도의 도입취지와 주요 쟁점 12

2. 교감제도와 수석교사제도 사이의 문제와 관련된 쟁점 14

V. 교감의 직무와 역할 재구조화를 위한 과제 15

1. 교감직의 갈등 및 모호성과 관련된 과제 16

2. 교장과의 관계 설정과 관련된 과제 16

3. 교감직의 특성 및 기능과 관련된 과제 17

4. 교감직으로의 진입과 관련된 과제 18

V. 결론 19

참고문헌 21

Abstract 23

초록보기

교감은 계선 상으로는 교장 다음의 위계를 차지하고, 분업의 차원에서는 교사들의 성과를 통합․조정하는 관리자로서 학교조직의 성과와 직결되는 직무를 수행하는 직위이다. 그러나 학교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교감제도 개선 요구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노력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감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지속적인 쟁점들을 살펴보고, 최근 법제화된 교장공모제, 수석교사제 등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쟁점과 과제들을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감직과 관련된 지속적인 쟁점은 직무와 역할에 관한 규정의 미흡과 직무모호성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교감의 실제 직무를 중심으로 적절한 직무와 권한에 대한 법적 규정을 보완할 필요성이 과제로 제기되었다. 둘째, 교장공모제를 근간으로 한 현행 교장제도는 완전한 인간으로서의 교장을 전제로 한 것으로 교장 한 사람에게 모든 책임과 권한이 집중되는 점이 개선되지 않고 있어서 학교 민주화와 개방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쟁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감과의 협력적 관계에 의한 관리 영역의 배분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교장-교감의 관계 재구조화가 과제로 나타났다. 셋째, 수석교사와 교감은 직무의 중복과 조직 위계상의 위치에서 오는 갈등을 가장 많이 경험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 쟁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조직 구성원 전체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교감과 수석교사의 직무 재구조화가 과제로 대두되었다.

Assistant principal in hierarchical line with principal is expected to take a role to integrate and coordinate school teacher’s accomplishment and outcomes of the school. However, despite of the needs to improve for existing system designating principal to the changes in school settings, practical model was not developed ye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ssues on the duties and roles of assistant principle, and analyse the literatures on the issues and tasks arisen in related to Open Recruiting Principal System. At first, one of the findings is that the continuing issues arise from lack of job descriptions for the duties and roles of assistant principal. In relation to this, constitutional regulation to define appropriate duties and rights for assistant principal needs to revise sooner or later. Secondly, it is notifiable that the existing system based on Open Recruiting Principal System is not allowed to step further in democratization and openness in school administration, because every duty and power is centered on the principal oneself. From this point, one of the solutions is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 and assistant principal and to reassign their duties and rights for their cooperative relation. Thirdly, the study finds out that there are lots of conflicts between master teacher and assistant principal due to the duplicative duties in their status. Therefore, reconstructing the duties between master teacher and assistant principal is needed based on analyzing the job descriptions of the whole school memb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방과후학교정책의 학교교육 기능 강화 가능성 탐색 : 정규 수업과 방과후학교 수업 비교를 중심으로 김정현, 박소영 pp.1-21

보기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에 대한 연구 양정호, 김지희 pp.23-47

보기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이영학 pp.49-71

보기
교감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쟁점과 과제 고찰 백승관 pp.73-95

보기
능력과 학벌의 특성 및 관계 분석 양정호 pp.97-123

보기
교원능력개발평가 연계 연수제도 개선방안 연구 박종필, 가신현, 엄준용 pp.125-156

보기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충현(2001). 중등학교 교감의 직무관여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 The microscopic research of the extended implementation of the principal appointment system and policy conflicts 소장
3 校監의 地位와 學校長 職務代理 소장
4 Becoming an educational administrator in school 소장
5 김성열 외(1994).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 과학과 예술. 미소장
6 김세기(1988). 학교경영학. 서울 : 배영사. 미소장
7 김수자(2005). Blended-Learning 기반 초․중등교감 자격연수의 원격교수요목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김윤경(1998). 초등학교 교감의 직무활동 분석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김이경(2009). 교장임용구조의 개혁과 설계방향. 54차 교원교육학술대회 자료집. 148-153. 미소장
10 김향임(1999). 교감의 지도성 행동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Critical Review of Newly Proposed Master Teacher 소장
12 The Study on the Critical Review of the Newly Proposed Master Teacher 소장
13 Effects of the Open Recruiting Principal Employment System on the Principals 소장
14 류형진(1991). 이상적인 교장과 교감. 교육평론. 서울 : 주간교육신문사. 미소장
15 백현기(1964). 현대교육기술강좌 : 학교장의 직무기술. 현대교육총서출판사. 미소장
16 Study on a Bill Enactment for the Solution of Problems in the Principal Open Recruitment System 소장
17 신중식 외.(1984). 현대교육행정학. 서울 : 교육출판사. 미소장
18 교감의 지위와 역할 : 인사법규에 대한 해석 을 중심으로 소장
19 Study on the Effect of Open Recruiting Principal Employment System on the School Organizational Performance 소장
20 이상우(1988). 바람직한 초등학교 교감상에 대한 연구. 연구보고서 9집. 춘천교육대학교부설 초등교육연수원. 8-9. 미소장
21 이런분의 校監이 : 中學校長 立場에서 소장
22 장인영(2011). 교원복무제도 실무해설. 서울 : 한국학술정보. 미소장
23 정건일(2000). 교감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조사연구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4 조갑래(1987). 교감의 직무에 따른 역할수행상의 문제 분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s of Master Teacher System: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Master Teachers and Peer Teachers 소장
26 지복례(2008). 초등학교 교감의 삶과 역할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최평식(1992). 국민학교 교감의 직무와 역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현장연구. 제13집. 197-204. 미소장
28 한국교육신문. 2012. 4. 30일자. 공모교장 비율 조정 반드시 관철시키겠다. 미소장
29 허학도(2005). 학교공동체구성원의 역할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교육행정연구, 23(2). 281-302. 미소장
30 Glazer, B. G.(2000). The preparation of school principals: A study of the Bank Street College Principals Institut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미소장
31 The Assistant Principalship as A Training Ground for the Principalship 네이버 미소장
32 Using the Competency Approach To Define the Assistant Principalship 네이버 미소장
33 Principal Evaluation Is Largely Wrongheaded and Ineffective. 네이버 미소장
34 Michel, G. J.(1996). Socialization and career orientation of the assistant principal.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395 381. 미소장
35 The Changing Role of the Assistant Principal 네이버 미소장
36 Pellicer, L. O., Anderson, Keefe, L. W., Kelly E. A., & McCleary, L. E.(1998). High school leaders and their schools; Volume I: A national profile. Reston, VA : 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미소장
37 Sustaining the Pipeline of School Administrators 네이버 미소장
38 The Co-Principal: Looking at Realitie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