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competition between green manure and forage crops frequently occurred at agricultural field because of soil fertility and livestock feeding selection.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shoot and residue for green manure and forage production by leguminous crops and barley mixtures at paddy.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paddy soil from 2008 to 2009. Treatments consisted of mixture and interseeding of barley and leguminous crops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These treatments were divided into cutting height of 8 and 25 cm for using of green manure and forage at once. The residue biomass of 25 cm cutting height was higher than 8 cm and were no significantly between mixture and inter-seeding. However,residues of legume crop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inter-seeding than mixture. The shoot biomass of 8 cm cutting height was higher than 25 cm for forage using. The production of legume crop was high at the barley and hairy vetch seeding plot. The mixture of hairy vetch and barley showed the best biomass of shoot and residue for green manure and forage using at 25 cm of cutting height. Also this treatment could be possible to rice cultivation by no fertilization. Therefore, we suggested that 25 cm cutting of hairy vetch and barley mixture could be used for green manure and forage at the same time under rice-based cropping syste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레이더 산란계 후방산란계수를 이용한 토양수분함량 추정 김이현, 홍석영, 이재은 pp.127-134

염류집적 유형이 다른 토양의 교환성 양이온 측정 이예진, 윤홍배, 김록영, 이종식, 송요성, 성좌경, 양재의 pp.135-142

경남지역 논토양 지형과 화학성의 관계 이영한, 손연규, 이성태, 허재영, 김민근, 김은석, 송원두, 장용선, 전원태, 옥용식 pp.143-148

벼-자운영 윤작재배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강세원, 서동철, 서영진, 이상규, 최익원, 전원태, 강위금, 손보균, 허종수, 조주식 pp.149-155

Recovery of sustainable renewable energy from marine biomass Anup Gurung, Sang-Eun Oh pp.156-161

생물학적 살선충제의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방제 효과 박문현, Buddhi Charana Walpola, 김선중, 윤민호 pp.162-168

인산가용화 미생물에 의한 토양 내 인산이온 가용화 기작 이강국, 목인규, 윤민호, 김혜진, 정덕영 pp.169-176

광역친환경농업단지의 경축순환자원 양분관리 문영훈, 안병구, 정성수 pp.177-184

Values of winter fallow crops on soil properties and watermelon productivity in plastic greenhouse Mi Jeong Uhm, Hyong Gwon Chon, Jae Jong Noh, Young Ju Song, Sung Whan Kwon, Sameena Sheikh pp.185-191

두과 녹비작물과 보리 혼파 이용 시 예취 높이에 따른 Biomass와 벼 생육 및 수량 변화 전원태, 성기영, 오계정, 김민태, 이용환, 강위금, 이현복, 강항원 pp.192-197

두과 피복작물과 밀 혼파 재배 시 밀의 생육과 수량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전원태, 성기영, 오계정, 이현복, 김민태, 이용환, 강위금, 김숙진, 강항원 pp.198-203

토양 소수성에 따른 미량원소의 흡착 및 이동 최준용, 이상수, 옥용식, 천소을, 주영규 pp.204-208

돈분 액비 시용이 배나무 잎의 무기성분 함량, 과실특성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박진면, 임태준, 이성은 pp.209-214

시설재배 잎들깨의 생육시기에 따른 엽 중 무기성분 함량 이주영, 성좌경, 강성수, 장병춘, 이수연, 김록영, 이예진 pp.215-222

Devarda's alloy 첨가가 축산분뇨 액비의 총 질소 및 무기태 질소 정량에 미치는 영향 임태준, 김기인, 박진면, 이성은, 노재승, 홍순달 pp.223-226

해파리 분말의 상토 첨가물로서의 효과 및 상토의 미생물 군집 변화에 대한 연구 백보람, 최재호, 김영록, 차하은, 도형기, 황철원 pp.227-234

새만금간척지 사료작물 재배시 질소증비 효과 양창휴, 김선, 이장희, 백남현, 김택겸, 최원영, 정재혁, 이상복, 이경보 pp.235-240

폐가축사체 가수분해를 위한 최적 가수분해제 선정 서영진, 서동철, 최익원, 강세원, 이상규, 성환후, 김태승, 김현구, 박선화, 강석진 [외] pp.241-247

수생식물 고사체의 농업적 재활용을 위한 퇴비화 가능성 평가 최익원, 서동철, 강세원, 서영진, 이상규, 강석진, 임병진, 이준배, 허종수, 조주식 pp.248-252

호기순환 호흡계를 이용한 토양처리 석탄바닥재의 유기물 분해에 미치는 영향 정석호, 정덕영, 한광현 pp.253-259

혐기조건에서 석탄바닥재가 토양호흡량 및 미생물 생체량에 미치는 영향 박종찬, 정덕영, 한광현 pp.260-265

기온과 토양요인을 고려한 난지형 마늘 재배적지 분석 김용완, 장민원, 홍석영, 김이현 pp.266-271

인공습지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주입방법에 따른 오염물질의 제거속도 평가 김성헌, 서동철, 박종환, 이충헌, 이성태, 정태욱, 김홍출, 하영래, 조주식, 허종수 pp.272-279

물질 및 에너지 수지 분석을 통한 시설채소(오이)의 청정에너지 농업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신국식, 김승환, 오승용, 이상은, 김창현, 윤영만 pp.280-286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실태에 관한 고찰 김기호, 박재수, 김해금, 최상일 pp.287-292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최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박재수, 김기호, 김해금, 최상일 pp.293-300

노지재배 고추재배시 물절약형 관개 기준에 의한 물절약량 산정 연구 엄기철, 박소현, 유성녕 pp.301-305

우리나라 남부권역 노지재배 고추의 물절약형 관개 기준 설정 연구 엄기철, 유성녕 pp.306-311

우리나라 북부권역 시설재배 고추의 물절약형 관개 기준 설정 연구 엄기철, 박소현 pp.312-316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주암호 생태습지의 수생태학적 효율 평가 이상규, 서동철, 최익원, 강세원, 서영진, 임병진, 이준배, 김상돈, 허종수, 조주식 pp.317-324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lark, A. 2007. Managing cover crops profitably (third edition). Sustainable agriculture network. MD, USA. 미소장
2 Seeding Rate and Kill Date Effects on Hairy Vetch-Cereal Rye Cover Crop Mixtures for Corn Production 네이버 미소장
3 Jeon, W.T., K.Y. Seong, M.T. Kim, I.S. Oh, B.S. Choi, and U.G. Kang. 2011. Effect of monoculture and mixtures of green manure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on rice growth and yield in paddy. Korean J. Soil Sci. Fert. 44(5):847-852. 미소장
4 Jeon, W.T., K.Y. Seong, J.K. Lee, M.T. Kim, and H.S. Cho. 2009. Effects of seeding rate on hairy vetch (Vicia villosa) - rye (Secale cereale) mixtures for green manure production in upland soil. Korean J. Crop Sci. 54(3):327-331. 미소장
5 Jeon, W.T., K.Y. Seong, M.T. Kim, G.J. Oh, I.S. Oh, and U.G. Kang. 2010. Chang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by glomalin concentration and rice yield using different green manure crops in paddy. Korean J. Soil Sci. Fert.43(2):119-123. 미소장
6 Ju, J.L., J.M. Park, J.J. Lee, C.H. Kim, H.M. Koo, T.S. Oh, and H.W. Lee. 2009. Effect of mixed sowing ratios between whole crop barley with hooded type and forage pea on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J. Kor. Grassl. Forage Sci. 29(3):171-178. 미소장
7 Kim, M.T., J.H. Ku, W.T. Jeon, K.Y. Seong, C.Y. Park, J.H. Rye, H.S. Cho, I.S. Oh, Y.H. Lee, J.K. Lee, M. Park, and U.G. Kang. 2011. Effect of barley green manure on rice growth and yield according to tillage date in spring. Korean J. Crop Sci., 56(2):119-123. 미소장
8 Kim, W.H, S. Seo, Y.C Lim, J.S. Shine, B.R. Sung, H.C. Ji, S.J. Lee, and T.I. Park. 2007.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at paddy field of Honam region. J. Kor. Grassl. Forage Sci. 27(3):161-166. 미소장
9 Kim, W.H., S. Seo, J.S. Shin, Y.C. Lim, K.Y. Kim, M.W. Jung, and T.H. Kim. 2006. Effect of seeding dates and rate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rage barley. J. Kor. Grassl. Forage Sci. 26(3):155-158. 미소장
10 Lee, H.J. 1983. Korean Agricultural Technology History Chart 5. Production technology of forge and green manure crops. Jungminsa. pp. 433-459. 미소장
11 Park, S.T., W.T. Jeon, M.T. Kim, K.Y. Sung, J.H. Ku, I.S. Oh, B.K. Lee, Y.H. Yoon, J.K. Lee, K.H. Lee, and J.H. Yu. 2008.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and rice production using green manure crops. RDA, NICS. Sammi. Suwon. pp. 20-21. 미소장
12 RDA. 2003. Standard methods for agricultural experiment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미소장
13 Song, B.H., K.A. Lee, W.T. Jeon, M.T. Kim, H.S. Cho, I.S. Oh, C.G. Kim, and U.G. Kang. 2010.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of legume and gramineae on growth responses and yields in rice cultivation with respect to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Korean J. Crop Sci., 55(2):144-15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