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사회복지교육에 있어서 프로젝트 학습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 배진희, 김경휘, 김근곤, 서혜석, 이정미 | pp.1-22 |
|
|
노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화선 | pp.23-44 |
|
|
빈곤의식 고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교육 : 사회복지전공생과 비전공생의 빈곤태도 연구 | 박선영 | pp.45-64 |
|
|
노인복지담당 공무원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지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서문진희 | pp.65-85 |
|
|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 손덕순, 강순화 | pp.86-107 |
|
|
사회복지사의 외상경험과 음주행위 관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윤명숙, 박은아 | pp.108-129 |
|
|
중도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국민연금의 장애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 임인걸, 김욱 | pp.130-156 |
|
|
복지환경 다변화에 따른 사회복지 교과목 개편 필요성 연구 | 장현, 이봉진 | pp.157-173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은나⋅맹진형. 2011. “실업장애인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에 관한 연구: ICF분석틀 적용”. 『장애와 고용』 21(2): 103-129. | 미소장 |
2 | 김동선. 2003. “사회적 지지가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미소장 |
3 | 김명자. 1982.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1982-정부간행물. | 미소장 |
4 | 김미숙⋅박민정. 2000.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 29-47. | 미소장 |
5 | 김성회. 2004. "성인기 중도지체장애인의 자아인식과 자아수용 간의 관계“. 『평택대학교 논문집』 18: 121-142. | 미소장 |
6 | 김성희⋅변용찬⋅손창균⋅이연희⋅이민경⋅이송희⋅강동욱⋅권선진⋅오혜경⋅윤상용⋅이선우. 2011. “2011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7 | Life Satisfaction Index and Correlated Variables Among Psychiatric Patients ![]() |
미소장 |
8 | Changes in the concept of disabi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 소장 |
9 | 권유경. 2001. “장애개념과 등급”, 김용득⋅유동철 편, 한국장애인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89-130. | 미소장 |
10 | 노인 의 생활만족도 향상 을 위한 기초연구 ; 가족부양체계 를 中心 으로 한 인과모형 의 검증 | 소장 |
11 |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Disabilities | 소장 |
12 | 석말숙. 2003. “중도 지체 장애인의 종교적 특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3 | 신건철. 2002. “자조집단프로그램의 참여가 성인중도지체장애인의 자아수용 및 인식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4 | Factors Effect on Quality of Life of Spinal Cord Injury Patients | 소장 |
15 | 신은경. 2004. “국제 기능장애건강분류(ICF)의 국내 활용방안”. 『장애와 고용』 52: 25-38. | 미소장 |
16 | 손연숙⋅허홍무⋅박영숙. 2009. 『중도장애인과 가족』 서울: 범론사. | 미소장 |
17 | 이미연. 2005. “청각장애인의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 미소장 |
18 | 오종희. 2003. “지체장애인의 접근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9 | 우선미, 2005.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학원. | 미소장 |
20 | 이경희. 1996. “중도척수손상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재활체계모형”.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1 | 중도장애인의 자조집단 참여활동이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 |
미소장 |
22 |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 소장 |
23 | 이정희. 2006. “사회적 관계망이 중증 여성장애인의 생화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4 | 유영무. 2006. 장애인의 재활운동 참여형태가 생활만족도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 미소장 |
25 | 윤용성. 2008. “중도척수장애인의 장애후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재가척수장애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강남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6 | 장상원. 2002. “중도지체장애인의 사회재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개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7 | 진용관. 2003. 장애인의 사회관계망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8 | 조혜숙. 2004. “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운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9 | Empowerment Effects of the Chronic Mental Ill's Volunteer Program | 소장 |
30 | 통계청. 2010. 사용자를 위한 ICF 활용길잡이. http://www.kosis.kr | 미소장 |
31 | 편성범⋅김세주. 1994. “장애인의 생의 만족도”. 『대한재활의학지』 18(3): 532-543. | 미소장 |
32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장애인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33 | Long-Term Psychosocial Adjustment Following Head or Spinal Cord Injury ![]() |
미소장 |
34 | Predictors of employment outcome of Black persons with disabilities. ![]() |
미소장 |
35 |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of long-term spinal cord injured persons. ![]() |
미소장 |
36 | Relationships among impairment, disability, handicap, and life satisfaction in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
미소장 |
37 | Kalish, R. L. 1975. "Late Adulthood: Perspective on Human Development". Berkeley, Calif. Cole Publishing C. | 미소장 |
38 | Adjustment to Life after Spinal Cord Injury: A Comparison among Three Participant Groups Based on Employment Status. ![]() |
미소장 |
39 | Chronologic age, time since injury, and time of measurement: effect on adjustment after spinal cord injury. ![]() |
미소장 |
40 | Partner relationships, functioning, mood and global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and traumatic brain injury. ![]() |
미소장 |
41 | Relationship of life satisfaction to impairment, disability, and handicap among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living in the community. ![]() |
미소장 |
42 |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s. ![]() |
미소장 |
43 |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 |
미소장 |
44 | Multiple Roles and Identities: Factors Influencing Self-Esteem Among Middle-Aged Working Men and Women ![]() |
미소장 |
45 | Schalock, R. L. 1990. "Attempt to conceptualize and measure quality of life, In Schalock, R. L. and Begab, J. J. (eds.), Quality of Life: Perspectives and Issues,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 미소장 |
46 | Smart, J. 2001. "Disability, society, and the individual of social work. NASW. | 미소장 |
47 | WHO, 2002. Towards a common language for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