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Contents

Disaster relief and social capital : an Asian perspective / Jai Chang Park 1

[요약] 1

I. Introduction 1

II. Quintessence of Disaster Scene and Epistemological Dilemma 3

III. Social Capital and Response to Disaster 4

IV. Vulnerability of Asian Countries in Responding to Disasters 7

V. Conclusion 11

References 12

Abstract 15

초록보기

대형 재난이 빈발하는 아시아는 재난구호에서도 무력하다. 이는 사회자본의 축적이 부족한 데에서 오는 원인이 적지 않다. 사회자본은 흔히 심리적 차원의 정서적 습관과 구조적 차원의 응집성(bonding), 연결성(bridging) 연계성(linking)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아시아의 경우는 빈곤으로 인해 박애주의나 자원봉사 같은 공동체 지향적인 심리적 관습을 축적하기 어려웠고, 사회공동체 구성원간의 응집성을 담보하기 어려웠다. 경제사회문화적인 이질성과 다양성으로 인해 연결성 정도가 낮고, 정치적 자유의 부족으로 연계성 정도도 낮다. 이렇게 사회자본의 축적 정도가 낮다는 사실은 재난구호와의 관계에서 악순환을 이루는 주요요인이 되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찰적 시민을 필요로 하지만 이는 사회자본이 축적되어 있어야 하고, 사회자본을 신속히 축적하기 위해서는 민주시민교육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민주시민교육은 참여를 통한 실천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런 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사회자본이 축적되어 있어야 한다. 이런 모순의 극복을 위해서는 지그제그식 접근전략이 요청된다. 이를 비추어 보면 아시아에 대한 재난구호 지원은 맥락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Asia is very much weak in its capacity to respond to large scale disasters, which take place more frequently in Asia. Such incapacity owes much to the lack of social capital accumulation in this region. Social capital is known to be composed by two dimensions: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The former is habit of hearts. The latter is consisted with, bonding, bridging and linking. Asia has not been able to build philanthropy and volunteerism as habit of heart and bonding neither owing much to poverty. For bridging, to heterogeneity of the society. And for linking, to the relative lack of political freedom. This lack of social capital accumulation has put Asia in vicious circle in its relationship with disaster relief. In order to overcome this vicious circle, it is requested to cultivate reflexive citizen which require pre-existence of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could be accumulated by civic education which can best be achieved by citizen’s participation. And for successful citizen’s participation,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is a prerequisite. Zigzag approach seems to be the only alternative in such a dilemma. Understanding such a quintessence of Asia, it is inevitable to adopt contextual approach in extending any sort of disaster relief assistance from outsid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역주민의 사회안전 및 사회위험 인식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서재호, 이승종 pp.1-20

보기
시스템적 미래예측을 통한 인구팽창 위협에 따른 지속가능성 동인(動因) 변화 연구 : Loveridge의 미래예측 이론과 동인(動因)변수를 중심으로 이동규, 김철희, 김춘석 pp.21-44

보기
숭례문화재사건을 통해 본 정책학습과 변동에 관한 연구 : Birkland의 정책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이종열, 손원배 pp.45-66

보기
자연재난 보도에서 공식/비공식 정보원 이용에 관한 연구 : 시민제작 콘텐츠 이용정도를 중심으로 유재웅, 조윤경 pp.67-84

보기
여성친화적 안전도시 조성과정에서 사회적기업의 역할 모색 : 안전도시 설계 영역에 대한 AHP분석을 중심으로 김학실, 이주호 pp.85-104

보기
한국위기관리 연구경향 분석 : 언어네트워크방법론을 중심으로 류상일, 이민규, 정석환, 강형기 pp.105-120

보기
홍수기를 고려한 대청호 유입 유사량 산정 김진민, 맹승진, 김형산, 김태우 pp.121-136

보기
산지재해 연구를 위한 토석류 실험장치의 개발 방안 전병희, 전계원, 장창덕 pp.137-146

보기
국민중심 경찰활동을 위한 맞춤형 공감치안 방안 김용태, 박동균 pp.147-162

보기
국내 핵테러 발생 시나리오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박진희 pp.163-186

보기
가정 내 영유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부모안전교육의 효과 윤선화, 정윤경 pp.187-204

보기
일 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 부산광역시 동구보건소 이용자 중심으로 양미경, 배정이 pp.205-218

보기
고엽제 후유(의)증 환자의 질병양상분석과 외상후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예비연구 김태열 pp.219-234

보기
Disaster relief and social capital : an Asian perspective Jai Chang Park pp.235-248

보기
Illegal immigrants and the elections in Sabah, Malaysia Wan Shawaluddin Wan Hassan, Ramli Dollah, Ahmad Mosfi Mahmood, Jong Eop Kim pp.249-267

보기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Seoul 네이버 미소장
2 2002. “Who Trusts Others?”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5(2):207-234. 미소장
3 1969. Communitiesin Disaster: A Sociological Analysis of Collective Stress Situations. Garden City, NY: Doubleday. 미소장
4 2007. Habits of the Heart. 3rd e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5 Negotiating changing livelihoods: The sampan dwellers of Tam Giang Lagoon, Việt Nam 네이버 미소장
6 2008. Chapter 6: Spacial Division of Poverty and Wealth. T. Ridges and S.R. Wright. eds. Understanding Poverty, Wealth and Inequality: Policies and Prospects. Bristol: Policy Process. 미소장
7 1976. Everything in Its Path. NY: Simon and Schuster. 미소장
8 UK-based company leads sealless technology innovation 네이버 미소장
9 2011. Freedom in the World Comparative and Historical Data/ Country Status by Region. http://www.freedomhouse.org/template.cfm?page=439/ 미소장
10 The Death Toll from Natural Disasters: The Role of Income, Geography, and Institutions 네이버 미소장
11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Row, 1970. 미소장
12 1995.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 1-24. 미소장
13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NY: Simon and Schuster. 미소장
14 2011. Male and Female Adults 89%, Uneasiness about Natural Disasters. (Korean). 미소장
15 The Great Flood of 1993: Response and Recovery in Five Communities 네이버 미소장
16 1991. Disasters and Development: Disaster Preparedness and Mitigation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Development Planning. Social Development Issues. 13(3): 100-110. 미소장
17 Health by association? Social capital, social theory,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public health 네이버 미소장
18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네이버 미소장
19 2010. To Reduce Natural Disaster in Asia and Pacific. (Korean). 미소장
20 1999.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among Nonprofit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during Disasters. Crossing the Borders: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among Nonprofits, Business and Government. Alexandria, VA: Independent Sector. 495-506. 미소장
21 Access to Disaster Service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