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 및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세연 ; 구인순 ; 박자경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3
1. 연구대상자 및 연구자료 3
2. 변수정의 3
3. 분석 방법 3
III. 연구결과 4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
2. 성별에 따른 고용현황 비교 분석 5
3.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IV. 고찰 8
V. 결론 10
참고문헌 10
저자소개 1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Job Selection and Maintenance Process by Women with Disability | 소장 |
2 | Employment status of women with disabilities from th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urvey (1995-2002). ![]() |
미소장 |
3 | 박자경,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 장애와 고용, 제18권, 제1호, pp.27-51, 2007. | 미소장 |
4 | 임미화, 양수정, 김호진, 김언아, "2010 년 장애인경제활동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 미소장 |
5 | 최희수, 정신분열증 환자의 직업재활 성과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9. | 미소장 |
6 | 박주영, 장애인근로자의 직업유지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 미소장 |
7 | 심경순, 정신분열병 환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 미소장 |
8 | 한정용, 청각장애인의 직업유지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 미소장 |
9 | 이성혜, 이직경험 지체장애인의 이직원인과 이직예방을 위한 사후관리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 미소장 |
10 | 구인순, 박자경, "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유지 영향 요인 분석", 제2회 장애인고용패널학술대회논문집, pp.145-165, 2010. | 미소장 |
11 | 염희영,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주는 요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 미소장 |
12 | 이주희,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9. | 미소장 |
13 | 전미리,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미소장 |
14 | 정민호, 뇌병변장애인의 직업유지 예측 요인, 공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 미소장 |
15 | 김재익, 뇌성마비근로자의 직업유지에 미치는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 미소장 |
16 | 박혜전, "고령장애인의 고용현황과 고용유지 예측요인 연구", 제3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280-314, 2011. | 미소장 |
17 | 김호진, 전상철, 김언아, 장영석, 류정진, " 제2 차장애인고용패널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9. | 미소장 |
18 | 양수정, 류정진, 김호진, 전상철, " 제3 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2010. | 미소장 |
19 | 이달엽, 직업상담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2002. | 미소장 |
20 | 송대성, 직업재활시설내 시각장애 근로자 직업유지에 관한 태도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 미소장 |
21 | J. S. Strauss, C. M. Harding, M. Siverman, A. Eichler, and M. Liberman, Work as treatment for psychiatric disorder; a puzzle in pieces. In: Ciardiello JA, Bell MD, eds. Vocational Rebabilitation of Persons with Prolonged Psychiatric Disorders. Baltimore, MD; Johns Hopkins Press, 1998. | 미소장 |
22 | 변용찬, 김성희, 윤상용, 강민희, 최미영, 손창균,오혜경, "2008 년 장애인 실태조사 정책보고서”,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 미소장 |
23 | Study on factors of Economic Activity Types of Disabled Persons | 소장 |
24 | Change of Labor Market and Re-employment of Women after the Economic Crisis ![]() |
미소장 |
25 |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 소장 |
26 | 유동철, 인권관점에서 보는 장애인 복지, 집문당, 2009. | 미소장 |
27 | 여성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미소장 |
28 | J. Boeltzing, J. C. Timmons, and J. Butterworth, "Gender differences in employment outcom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31, No.1, pp.29-38, 2009. | 미소장 |
29 | S. Fulton and J. Sabornie, "Evidence of employment inequality among females with disabilities," J. of Special Education, Vol.28, No.2, pp.149-165, 1994. | 미소장 |
30 | 변용찬, 이정선,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인 고용, 제15권, 제1호, pp.153-169, 2005. | 미소장 |
31 | F. Michael, M. Liza, S. S. William, and M. B. Lolita, "Multicomponent intervention for work-related upper extremity disorders," J.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Vol.10, No.1, pp.71-83, 2000. | 미소장 |
32 |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continue working among individual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 |
미소장 |
33 | Randomized comparison of a multidisciplinary job‐reten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with usual outpatient care in patients with chronic arthritis at risk for job loss ![]() |
미소장 |
34 | S. Rasgon, L. Schwankovsky, A. James-Rogers, L. Widrow, J. Glick, and E. Butts, "An intervention for employment maintenance among blue-collar worker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American J. of Kidney Diseases, Vol.22, No.3, pp.403-412, 1993. | 미소장 |
35 | Reduction of job loss in persons with rheumatic diseases receiv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
미소장 |
36 | I. Varekamp, J. H. Verbeek, A. de Boer, and F. J. H. van Dijk, "Effect of job maintenance training program for employees with chronic disease-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fatigue," Scandinavian J. of Work Environment Health, Vol.37, No.4, pp.288-297, 2011. | 미소장 |
37 | The analysis of job retention factor of employees with disability according to occupational categories of jobs | 소장 |
38 | 장영석, 류정진, 김호직, 임미화, 전상철, 황수정,이상원, 2008 년 사업체 장애인고용 실태조사, 한국장애인 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