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성경해석에 대한 영성적 접근을 시도한 논문이다. 영산은 오중복음과 삼중축복 그리고 4차원 영성을 바탕으로 여의도순복음교회를 세계최대의 교회로 성장시켰다. 영산의 목회신학에 근거를 이루는 오중복음과 삼중축복 그리고 4차원 영성은 철저하게 성경으로부터 시작되었고, 하나님의 성령을 통해 해석되어진 성경적 영성 신학이다. 성경해석은 크게 두 개의 흐름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본문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역사적이고 문맥적인 방법 혹은 역사-비평적 방법을 통하여 본문의문자적 의미를 파악하려는 문자적 해석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본문의 문자적-역사적 의미를 기초로 하여 성경이 오늘 우리에게 주시는 살아 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성경 본문 속에 내재된 영적 의미를 묵상하고 탐구하는 영적-풍유적 해석 방법이다. 오랜 기간 동안 기독교 영성가들은 본문의 문자적 의미 뒤에 숨겨진 영적 의미를 찾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들이 영적인 의미를 본문에서 찾으려는 의도는 오늘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시는 살아 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많은 기독교 영성가들은 성경에 대한 문자적 해석 뒤에 숨겨진 하나님의 영적 해석을 받으려고 수많은 기도훈련과 말씀훈련을 해왔다. 성경시대 유대인들이 사용한 미드라쉬(Midrash)와 기독교 영성가들이 사용한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는 성경을 살아 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들으려는 영성적 접근이었다. 기독교 영성가들이 성경해석에 사용한 영성적 혹은 풍유적 해석은 역사적 근거와 해석학적 유용성이 있다. 영산의 해석학 역시 기독교 영성에 나타난 성경해석과 동일한 특을 공유하고 있다. 말씀과 기도의 영성이라는 동일한 영성 신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성경 본문을 영적으로 해석하려는 특징 또한 서로 공유한다. 영산의‘선포된 말씀’은 렉시오 디비나를 통한 성경 본문의 영적 해석과 본질적으로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영적 해석에는 성령의 역사가 전제되는데 기록된 말씀이 선포된 말씀으로 이해되는 것, 렉시오 디비나에 있어 말씀이 성령을 통해 공동체 속에서 살아서 움직이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본 논문은 영산의 성경해석이 전통적인 성경해석의 바탕 위에 놓여있으며 영산의 성경해석은 역사적 근거와 해석학적 유용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음이 논증될 것이다.

This thesis attempts to take a spiritual approach to Pastor Youngsan Yonggi Cho’s biblical hermeneutics. On the basis of the fivefold gospel. threefold blessing, and the fourth dimension spirituality, Youngsan grew Yoido Full Gospel Church into the biggest church in the world. The fivefold gospel, threefold blessing, and the fourth dimensional spirituality, which forms the basis of Youngsan’s pastoral theology comes only from the bible. It is a biblical theology which has been spiritually interpreted through the Holy Spirit. Biblical theology can summarized into two general themes. The first is the method using literal translation, which uses a historical and contextual method or a historical-critical method to find out the literal meaning of the text. The other method is the method of spiritual-allegorical. Based on the literal-historical meaning of the text, this method meditates and studies the spiritual meaning of the bible to accept the bible as the living word given to us by God. For a long time christian spiritualists have tried to find out the hidden spiritual meanings behind the literal meaning of the text. Their intention in trying to find out the spiritual meaning was to receive the living word of God which God gave them. So many christian spiritualists engaged in prayer and word training to receive God’s spiritual interpretation behind the literal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Midrash was used by the Jews in the times of the bible. Lectio Divina is being used by the christian spiritualists. They are biblical interpretations which try to accept the bible as the living word of God. The spiritual and allegorical approach, which is the spiritual training method that christian spiritualists have used in spiritual training, has its basis in Christian history and has interpretational usefulness. Youngsan’s theory of interpretation also shares the same characteristics with christian spirituality shown in the biblical interpretation. They both also share the same characteristic of spiritu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ext based on the same spiritual approach on the bible based on the spirituality of the word and prayer. Youngsan’s ‘proclaimed word’ is fundamentally similar to spiritu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rough Lectio Divina. This spiritual interpretation must be preceeded by the workings of the Holy Spirit. This is a change of understanding of written word to the proclaimed word. And regarding Lectio Divina it means a resurrection of the word through the Holy Spirit. This thesis will prove that Youngsan’s biblical interpretation is based on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that Youngsan’s biblical interpretation has both a historical base and interpretational usefulnes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성서신학 : 히브리서를 중심으로 최승락 pp.9-49

교회를 위한 성서해석 : 영산 신학을 중심으로 윤철원 pp.51-79

영산 신학의 뿌리 김동수 pp.81-100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성경해석에 대한 영성적 접근 신문철 pp.101-142

영산의 설교와 케리그마 김홍근 pp.143-170

목회윤리의 관점에서 본 영산의 목사직과 목회 사역 강병오 pp.171-202

해방 후 한국교회사와 여의도순복음교회의 조용기 목사 박명수 pp.203-239

감사의 과학인 긍정심리학과 영산의 목회 신학 최광현 pp.241-259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성수.『 성경해석학』.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91. 미소장
2 그랜트, 로버트M.『 성서해석의 역사』이상훈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0. 미소장
3 린네만, 에타.『 성경 비평학은 과학인가 조작인가』송다니엘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0. 미소장
4 래드, 죠지.『 신약과 비평』김만우역.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78. 미소장
5 램, 버나드.『 성경해석학총론』정득실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4. 미소장
6 마이어, 게르하르트.『 역사 비평학의 종말』김성수 역. 서울: 여수룬, 1986. 미소장
7 맥카트니, 단& 클레이튼, 찰스.『 성경해석학』김동수 역. 서울: IVP, 2000. 미소장
8 비앙키, 엔조.『 말씀에서 샘솟는 기도』이연학 역. 왜관: 분도출판사, 2001. 미소장
9 박수암. “역사비평법의 가능성과 문제점.”『장신논단』제2호. 서울: 장로교신학대교출판부, 1986. 미소장
10 벤후저, 케빈.『 이텍스트에 의미가 있는가?』김재영 역. 서울: IVP, 2003. 미소장
11 슈나이더즈, 샌드라. “성서와 영성.”『기독교 영성(1) 초대부터 12세기까지』유해룡 외 역. 서울: 은성, 1997. 미소장
12 영산 조용기 목사의 신앙론 소장
13 A Theological Appraisal of the Spirituality of the Fourth Dimension 소장
14 A Comparative Study of Christian Spirituality and the Spirituality of 4th Dimension: Concentrating on the Spirituality of Word and Prayer 네이버 미소장
15 실바, 모세.『 교회는 성경을 오석 해왔는가?』심상법 역. 서울: 솔로몬, 2001. 미소장
16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9. 미소장
17 『 영성의발자취』.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1. 미소장
18 이성주.『 영성신학』. 서울: 문서선교성지원, 1998. 미소장
19 조용기.『 4차원의 영적 세계』. 서울: 서울말씀사, 1996. 미소장
20 『 4차원의영성』.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미소장
21 진론드, 베르너.『 신학적해석학』최덕성 역. 서울: 본문과 현장사이, 1997. 미소장
22 찬, 사이몬.『 영성신학』김병오 역. 서울: IVP, 2002. 미소장
23 크렌츠, 에드가.『 역사적 비평방법』김상기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8. 미소장
24 클라인, 윌리엄 & 블롬버그, 크레그 & 하버드, 로버트. 『성경 해석학 총론』류호영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7. 미소장
25 포웰, 마크 알렌. 『서사 비평이란 무엇인가?』이종록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미소장
26 Dr. YongSan Yonggi Cho's Bibliology 소장
27 Bloch, R. “Midrash.” Approaches to Ancient Judaism: Theory and Practice. William S. Green ed. Missoula, Mont.: Scholars Press, 197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