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상담매뉴얼 개발과 효과 / 최경원 ; 임지영 ; 김은주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제한점 3

II. 연구방법 3

1. 연구설계 3

2. 연구대상 및 표본크기 3

3. 연구도구 3

4. 자료수집 방법 4

5. 자료분석 방법 4

III. 연구결과 4

1.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전담인력 상담매뉴얼 개발과 적용 4

2. 상담매뉴얼 교육 5

3.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차이분석 5

IV. 논의 5

V. 결론 7

참고문헌 7

저자소개 8

초록보기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인력의 실무적 역량 강화를 위하여 가정 방문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대상자와의 치료적, 공감적 의사소통 및 상담 능력 향상을 위한 상담매뉴얼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담매뉴얼은 1단계 상담준비, 2단계 신뢰형성, 3단계 진단발굴, 4단계 행동, 5단계 마무리 단계로 개발하였으며, 대상자의 상담요구에 따른 상담유형을 지지호소형, 문제해결요구형, 정보 및 조언요구형의 3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적합한 주요 상담 기법을 제시하였다. 주요 상담 기법은 지지호소형에서는 공감하기, 감정반응하기, 자기공개하기, 즉시 반응하기를, 문제해결요구형에서는 개방질문하기, 목표설정하기, 해결방안 모색하기, 요약하기를, 정보 및 조언요구형에서는 정보 제공하기, 제안하기, 해석하기 새로운 기술 가르치기를 중심으로 각각의 상담 예문을 제시하였다. 상담매뉴얼 교육 전, 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담인력의 상담능력 향상 정도를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s: CAS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조력기술 자기효능감과 회기관리 자기효능감 그리고 상담난제 자기효능감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담매뉴얼 교육을 받은 후에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담인력의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 program counseling manual (EPCM) for community-based visiting nurses. Methods: Seventy-eight of community-based visiting nurses was enroll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χ2-test, and the paired t-test in SPSS version 18.0. Results: Nurses had higher mean scores for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kill self-efficacy, session management self-efficacy and counseling challenges self-efficacy, after EPCM than before EPCM.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fter applying the EPC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PCM is effective at improving counselor self-efficacy of community-based visiting nurs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3D-DCT 기반 집적영상 압축 방법의 율-왜곡 최적화를 통한 부호화 효율 향상 방법 전주일, 강현수 pp.1-8

보기
온라인 동향 분석을 위한 이벤트 문장 추출 방안 윤보현 pp.9-15

보기
도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의 이동 성향을 고려한 경로 생성 기법 황동교, 박혁, 김동주, 리하, 박준호, 박용훈, 복경수, 유재수 pp.16-26

보기
녹색성장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u-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 개발 송연옥, 변호승, 오원근, 류관희, 조일수, 김종연, 이재권 pp.27-39

보기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인터랙티브 홀로그램 콘텐츠 김동현, 김상욱 pp.40-47

보기
미디어파사드 환경에서 다중 관람자에 의한 인터랙션 확장가능성 장승은, 김상욱 pp.48-56

보기
배우의 자아발견을 향한 여정과 인물구축을 위한 도전 김준삼, 김학민 pp.57-67

보기
극적 내러티브의 시각적 연출 특성 연구 : <도가니>의 구도기법을 중심으로 안병택 pp.68-79

보기
N스크린 서비스 잠재적 수용자의 수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오경수 pp.80-92

보기
다르덴 형제 영화에서 '노동'의 의미와 형식미학 안숭범 pp.93-105

보기
수용자의 관점에서 살펴본 작품과 콘텐츠의 개념적 차이 : 영화 <새>에서 관객 역할을 중심으로 김무규 pp.106-115

보기
IMC 관점에서 국내 TV광고의 내용분석 : 제품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강경수 pp.116-125

보기
라깡을 통해 본 김수현 작가의 주체와 욕망 <사랑과 야망>, <내 남자의 여자>의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유진희 pp.126-135

보기
3D 인체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체형별 인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서동애, 오설영 pp.136-145

보기
공연전문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의 미래 조준희 pp.146-155

보기
전통춤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문화예술정책 연구 김지원, 류지성 pp.156-171

보기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배기형 pp.172-181

보기
휴대전화 이용자 자아이미지가 벨소리와 통화연결음 선택에 미치는 영향 양승훈 pp.182-193

보기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의 감성마케팅을 위한 사용자 경험디자인에 대한 고찰 허진 pp.194-201

보기
유류분반환청구권 행사에 관한 법적 쟁점 : 대법원 2012. 5. 24 선고 2010다50809 판결을 중심으로 정구태 pp.202-210

보기
경찰관의 조직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비교 분석 신성원 pp.211-216

보기
이혈요법이 여대생의 월경통, 월경곤란증 및 피부저항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정현정, 장인순, 박승미 pp.217-225

보기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상담매뉴얼 개발과 효과 최경원, 임지영, 김은주 pp.226-233

보기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 인간공학적 평가 오나래, 김해경, 정미애 pp.234-243

보기
겨우살이 Lectin이 흰쥐의 혈청지질 및 간조직에 미치는 영향 장철수, 류재기 pp.244-249

보기
신부전환자의 신장이식 전후 골밀도변화 분석 박형후, 옥치상, 박영인, 이진수, 김창수 pp.250-256

보기
성공노화를 위한 포괄적 노인평가 패키지 개발 김선호, 오두남 pp.257-269

보기
토끼 뇌감염 모델의 CT 소견과 조영제 주입 후 동맥혈의 Hounsfield Unit의 변화 하본철, 곽병국, 정지성 pp.270-279

보기
벤처캐피탈 투자가 신규상장기업의 투명성 제고에 미치는 영향 조성숙, 이희우 pp.280-292

보기
서비스제공자의 특성이 신뢰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최철재 pp.293-310

보기
소매점 유형별 상품구매행동 차이 및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분석 : 전통상권 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김홍빈, 김현 pp.311-324

보기
창업보육기업의 기술사업화에 따른 기술역량이 지원과 경영성과단계에 미치는 영향 전인오 pp.325-339

보기
게임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 고동원 pp.340-347

보기
관계네트워크의 정보 확산에서 혁신자와 허브가 Early Takeoff와 확산크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옥경영 pp.348-356

보기
뉴 노멀 시대하 한국기업의 R&D투자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김선재, 이영화 pp.357-368

보기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 수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유진 pp.369-379

보기
웹서비스의 기술적 상호작용성이 사용자 콘텐츠 생산 효율성과 품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윤재 pp.380-388

보기
태권도 정권지르기 방식에 따른 최대 충격력과 최고속도 비교 안정덕 pp.389-395

보기
태권도 지도자의 인성교육에 대한 신념과 지도실제와의 관계 이정주, 김동현 pp.396-407

보기
Change of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Taekwondo discipline Tae Hee Lim, Dong-Hyun Kim pp.408-421

보기
여가스포츠활동 유형별 여가제약 분석 황선환, 한승진 pp.422-433

보기
미디어에 나타난 학교체육(진흥)법 제정 관련 사회적 담론 분석 박재우 pp.434-446

보기
여행박람회 방문객의 추구편익과 서비스품질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12 하나투어 여행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이강욱, 지명원 pp.447-458

보기
호텔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호텔이미지, 고객충성도 간의 영향관계 조경희, 유양호 pp.459-467

보기
항공사 신뢰와 서비스제공자 신뢰 및 충성도의 영향관계 연구 고선희, 김현지 pp.468-478

보기
Tobit 모형을 이용한 지역축제 방문객의 지출 영향요인 : 두 지역 쌀 축제를 중심으로 백운일 pp.479-488

보기
노면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장치 개발 및 운영방안 박범진, 허진녕, 강원의, 원영수 pp.489-499

보기
이용자 만족도 중심의 인터넷포탈 교통정보 콘텐츠 개선방안 박범진, 어효경 pp.500-511

보기
'교직실무' 교재내용 분석 및 교재 집필 방향 권충훈, 조흥순 pp.512-521

보기
SRD Program을 통한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 모형 개발 신승기, 박판우, 배영권 pp.522-533

보기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보건복지가족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안내,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8. 미소장
2 보건복지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연보,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미소장
3 http://www.khealth.or.kr 미소장
4 양명희, 김성희,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제12권, 제5호, pp.1629-1644, 2011. 미소장
5 이장호, 상담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2005. 미소장
6 박정민, 상담자 회기 내 자기지각이 상담과정에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
7 손난희, 상담 수퍼비전에서 초심 상담자들의 자기고양적 성향과 위협지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8 A. Bandura, Self Efficacy; The Exc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미소장
9 Review of the Counseling Self-Efficacy Literature 네이버 미소장
10 홍수현, 상담 초기단계에서 상담자 자기효능감및 상태불안이 상담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11 이수현, 서영석, 김동민,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 국내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9권, 제3호, pp.655-673, 2007. 미소장
12 R. Lent, C. Hill, and M. Hoffma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s,"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 pp.97-108, 2003. 미소장
13 C. Hill and L. O'Brien, Helping Skill; 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9. 미소장
14 R. Goodyear and C. Guzzardo, "Psychotherapy Supervision and Training," In S. Brown and R. Lent,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Wiley, 2000. 미소장
15 The Sci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네이버 미소장
16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s. 네이버 미소장
17 김영란, 상담단계별 상담자 공감과 내담자 체험및 상담성과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미소장
18 강석영,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상담성과의 관계에서 상담자 역전이 행동 및 내담자 협력관계의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19 황인호,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행동 및상담 협력관계가 상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미소장
20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in charge of counselling work for training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