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상담매뉴얼 개발과 효과 / 최경원 ; 임지영 ; 김은주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제한점 3
II. 연구방법 3
1. 연구설계 3
2. 연구대상 및 표본크기 3
3. 연구도구 3
4. 자료수집 방법 4
5. 자료분석 방법 4
III. 연구결과 4
1.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전담인력 상담매뉴얼 개발과 적용 4
2. 상담매뉴얼 교육 5
3.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차이분석 5
IV. 논의 5
V. 결론 7
참고문헌 7
저자소개 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보건복지가족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안내,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8. | 미소장 |
2 | 보건복지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연보,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 미소장 |
3 | http://www.khealth.or.kr | 미소장 |
4 | 양명희, 김성희,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제12권, 제5호, pp.1629-1644, 2011. | 미소장 |
5 | 이장호, 상담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2005. | 미소장 |
6 | 박정민, 상담자 회기 내 자기지각이 상담과정에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미소장 |
7 | 손난희, 상담 수퍼비전에서 초심 상담자들의 자기고양적 성향과 위협지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8 | A. Bandura, Self Efficacy; The Exc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 미소장 |
9 | Review of the Counseling Self-Efficacy Literature ![]() |
미소장 |
10 | 홍수현, 상담 초기단계에서 상담자 자기효능감및 상태불안이 상담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미소장 |
11 | 이수현, 서영석, 김동민,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 국내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9권, 제3호, pp.655-673, 2007. | 미소장 |
12 | R. Lent, C. Hill, and M. Hoffma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s,"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 pp.97-108, 2003. | 미소장 |
13 | C. Hill and L. O'Brien, Helping Skill; 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9. | 미소장 |
14 | R. Goodyear and C. Guzzardo, "Psychotherapy Supervision and Training," In S. Brown and R. Lent,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Wiley, 2000. | 미소장 |
15 | The Sci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 |
미소장 |
16 |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s. ![]() |
미소장 |
17 | 김영란, 상담단계별 상담자 공감과 내담자 체험및 상담성과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 미소장 |
18 | 강석영,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상담성과의 관계에서 상담자 역전이 행동 및 내담자 협력관계의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19 | 황인호,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행동 및상담 협력관계가 상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20 |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in charge of counselling work for training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