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국 해양전략의 인식적 기반 : 해권(海權)과 국가이익을 중심으로 / 하도형 1

요약 1

I. 서론 2

II. 중국의 해권개념과 해양전략의 인식적 기반 4

1. 해권의 개념과 특징 4

2. 해양권익의 추구 7

III. 국가이익과 해양권익의 확대 11

1. 경제발전과 해양권익의 확대 12

2. 국방전략과 해군전략 16

IV. 결론 20

참고문헌 21

[요약] 25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해권개념과 국가이익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 해양전략의 인식적 기반이 해양권익의 확보에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중국 해양전략의 인식적 기반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인 국가이익이 측면에서, 중국 해양전략의 인식적 기반인 해양권익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음을 살펴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발전의 측면에서는 경제발전의 추진에 따라 해양권익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음을 고찰하고 있으며, 이어서 안보적 측면에서는 국방전략 및 해군전략의 변화추세를 통해 해양권익의 범위확대에 따른 공세성 강화의 추세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By inquiring into China’s conception of Haiquan and national interests,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gnitive basis of China’s maritime strategy is aimed at guaranteeing sea rights and interests. In terms of national interest, a crucial factor in grasping the cognitive basis of China’s maritime strategy, the scope of sea times rights and interests (a cognitive basis of maritime strategy) is expanding. In terms of development, this paper studies that the scope of sea rights and interests is expanding in tandem with the promotion of economic development. Security-wise, by reviewing China’s national defense strategy and naval strategy, this paper finds that China’s maritime strategy has become more aggressive as the scope of sea rights and interests has been expand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태지역의 미국 패권에 대한 지지요인 분석 김치욱 pp.1-22

보기
동북아 질서에 대한 북한의 법제도적 시각 최은석, 민경배 pp.23-45

보기
중국 해양전략의 인식적 기반 : 해권(海權)과 국가이익을 중심으로 하도형 pp.47-71

보기
군대윤리의 관점에서 본 정신전력 제고 방안 윤영돈 pp.73-96

보기
662년 김유신의 군량 수송작전 이상훈 pp.97-122

보기

참고문헌 (7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Papers : A Study on Sea Power and Maritime History of A . T . Mahan 소장
2 김태호. “21세기 중국의 해양전략: 미래전 구상 및 대만 유사를 중심으로.” 이홍표(편). 중국의 해양전략과 동아시아 안보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3. 미소장
3 The U.S.-China relation around East Asia: focusing on China's seeking for great naval power. 소장
4 2010년 9월 일·중간 센카쿠 열도 분쟁과 독도 소장
5 중국의 해양도서 분쟁 대응전략 : 조어도와 남사군도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6 21세기 동아시아의 지정학 : 미국의 동아태지역 해양패권과 중미관계 소장
7 이서항. “중국의 해양전략과 21세기 미국의 아태전략: 미중 전략관계의 함의와 동북아 안보질서.” 이홍표(편), 중국의 해양전략과 동아시아 안보 한국해양전략연구소,2003. 미소장
8 이홍표. “중국의 해양전략과 해군력 발전: 추세와 전망.” 2006년도 국제정치 학술세미나발표자료 21세기 해양갈등과 한국의 해양전략 . 미소장
9 하도형. “중국 국방정책의 평가와 전망 : 방어적인가, 공세적인가?” 이동률(편), 중국의미래를 말하다 : 글로벌 슈퍼파워의 가능성과 한계 동아시아연구원, 2011. 미소장
10 하도형. “중국의 조어도 영토분쟁과 해결 방식.” 이동률 외 8인, 중국의 영토분쟁 동북아 역사재단, 2008. 미소장
11 高子川. 蓝色警示:21世纪初的海洋争夺与展望 海潮出版社, 2003. 미소장
12 高之国. “制定我国海洋基本法的必要性与可行性.” 中国海洋报 2010年 11月 5日, 9日. 미소장
13 曲金良. 海洋文化概论 青岛海洋大学出版社, 1999. 미소장
14 郭渊. “晚清政府的海权意识与对南海诸岛的主权维护.” 哈尔滨工业大学学报(社会科学版) 第10卷, 第1期 (2008). 미소장
15 軍事科學院戰略硏究部. 戰略學 軍事科學出版社, 2001. 미소장
16 唐世平. 塑造中国的理想安全环境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3. 미소장
17 戴秉国. “坚持走和平发展道路.” 2010年 12月 6日. 미소장
18 刘宏煊. “开展海洋国土教育, 增强海权概念.” 海军院校教育 (1996). 미소장
19 刘宝银. 环中国岛链: 海洋地理、军事区位、信息系统 海洋出版社, 2003. 미소장
20 刘新华. “试论中国发展海权的战略.” 复旦学报 第6期 (2001). 미소장
21 刘新华, 秦仪. “现代海权与国家海洋战略.” 社会科学 第3期 (2004). 미소장
22 劉靜波 主編. 21世紀初中國國家安保戰略 時事出版社, 2006. 미소장
23 刘中民. “理性处理中美海权问题(下).” 海洋世界 8期 (2007). 미소장
24 刘中民. “地缘政治理论中的海权问题(三).” 海洋世界 第7期 (2008). 미소장
25 试论邓小平的海洋政治战略思想 네이버 미소장
26 刘华清. 刘华清军事文选(上卷) 解放军出版社, 2008. 미소장
27 陆儒德. “实施海洋强国战略的若干问题.” 海洋开发与管理 第1期 (2002). 미소장
28 李小军. “论海权对中国石油安全的影响.” 国际论坛 第4期 (2004). 미소장
29 潘忠岐. “國家利益的主體性與中美關係.” 王逸舟 主編. 中國學者看世界:國家利益卷 新世纪出版社, 2007. 미소장
30 史春林. “20世纪90年代以来关于海权概念与内涵研究述评.” 中国海洋大学学报 (社会科学版) 第2期 (2007). 미소장
31 史春林. “近十年来关于中国海权问题研究述评.” 现代国际关系 第4期 (2008). 미소장
32 徐杏. “海洋经济理论的发展与我国的对策.” 海洋开发与管理 (2002). 미소장
33 孙璐. “中国海权内涵深讨.” 太平洋学报 第10期 (2005). 미소장
34 杨金森. 中国海洋战略研究文集 海洋出版社, 2006. 미소장
35 杨震, 周云亨, “论中美之间的海权矛盾.” 中国外交 2011. 9. 미소장
36 倪乐雄. “21世纪对海权的沉思.” http://www.irchina.org/xueren/china/view.asp?id=1110 미소장
37 倪乐雄. “从陆权到海权的历史必然.” 世界经济与政治 第11期 (2007). 미소장
38 王芳. “我国海洋政策的回顾与展望.” 经济要参 第68期 (2009). 미소장
39 王逸周. “國家利益再思考.” 中國社會科學 第2期 (2002). 미소장
40 李少軍 主編. 國際戰略報告 社會科學出版社, 2005. 미소장
41 李而炳 主編. 21世紀前期中國對外戰略的選擇 時事出版社, 2004. 미소장
42 张文木. “经济全球化与中国海权.” 战略与管理 第1期 (2003). 미소장
43 张文木. “论中国海权.” 世界经济与政治 第10期 (2003). 미소장
44 张示平. 中国海权 人民日报出版社, 1998. 미소장
45 张耀光. 中国海洋政治地理学:海洋地缘政治与海疆地理格局的时空演变 科学出版社, 2004. 미소장
46 中國環境與發展國際合作委員會. 中國海洋可持續發展的生態環境問題與政策硏究 2011年2月18日. 미소장
47 陈雪松, 都凯. “中国的海权意识与海军发展建设.” 军事历史 4期 (2008). 미소장
48 楚樹龍. “中國的國家利益, 國家力量和國家戰略.” 戰略與管理 第4期 (1999). 미소장
49 丛胜利. 英国海上力量:海权鼻祖 海洋出版社, 1999. 미소장
50 韩晓娟. “鸦片战争前后官员海权意识初探.” 北华大学学报(社会科学版) 第9卷,第4期 (2008). 미소장
51 许华. “海权与近代中国的历史命运.” 福建论坛(文史哲版) , 第5期 (1998). 미소장
52 叶自成, 慕新海. “对中国海权发展战略的几点思考.” 国际政治研究 , 第3期 (2005). 미소장
53 邓小平文选 第3卷. 미소장
54 中国的国防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新闻办公室, 각 년도판. 미소장
55 中国的军备控制与裁军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新闻办公室, 1995. “加快改革开放和现代化建设步伐 夺取有中国特色社会主义事业的更大胜利: 江 泽民在中国共产党第十四次全国代表大会上的报告.” 1992年 10月 12日. 미소장
56 Dyer, Geoff. “Beijing’s elevated aspirations.” The Financial Times (2010. 11. 10). 미소장
57 Erickson, S. Andrew, Andrew R. Wilson. “China’s Aircraft Carrier Dilemma.” Andrew S. Erickson, Lyle J. Goldstein, William S. Murray, Andrew R. Wilson, China’s Future Nuclear Submarine Force. Naval Institute Press, 2007. 미소장
58 Strangulation from the Sea? A PRC Submarine Blockade of Taiwan 네이버 미소장
59 Undersea Dragons: China's Maturing Submarine Force 네이버 미소장
60 Lai, David. “THE COMING OF CHINESE HAWKS.” Op-Ed, Strategic Studies Institute(Oct 2010). 미소장
61 Why China Cannot Conquer Taiwan 네이버 미소장
62 Navigating the Taiwan Strait: Deterrence, Escalation Dominance, and U.S.-China Relations 네이버 미소장
63 The 1995–96 Taiwan Strait Confrontation: Coercion, Credibility, and the Use of Force 네이버 미소장
64 Sea Power Centre-Australia. Australian Maritime Doctrine. Royal Australian Navy, 2010. 미소장
65 Stokes, Mark. “China’s Evolving Conventional Strategic Strike Capability: The anti-ship ballistic missile challenge to U.S. maritime operations in the Western Pacific and beyond.” PROJECT 2049 INSTITUTE (September 14th 2009). 미소장
66 Tangredi, Sam J. “Sea Power: Theory and Practice.” John Baylis (eds.), Strategy in the Contemporary World: An Introduction to Strategic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2002. 미소장
67 Wong, Edward. “Chinese Military Seeks to Extend Its Naval Power.” The New York Times(2010. 4. 23). 미소장
68 The National Institute for Defense Studies-Japan. NIDS China Security Report. 2011. 미소장
69 The National Institute for Defense Studies-Japan. East Asian Strategic Review. 2011. First Edition 2011. 미소장
70 “China’s three-point naval strategy.” http://www.iiss.org/publications/strategic-comments/past-issues/volume-16-2010/october/chinas-three-point-naval-strategy/ 미소장
71 http://news.xinhuanet.com 미소장
72 http://www.chinanews.com 미소장
73 http://www.nytimes.com 미소장
74 http://www.soa.gov.cn 미소장
75 http://www.taipeitimes.com 미소장
76 http://www.yonhapnews.co.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