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사회적 성공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신종호 ; 조은별 ; 이유경 ; 이혜원 ; 주은선 1
〈요약〉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4
1. 사회적 성공에 대한 인식 4
2. 교사신념과 교사효능감 6
III. 연구 방법 7
1. 연구 참여자 7
2. 측정도구 8
IV. 연구결과 9
1. 교사의 사회적 성공에 대한 인식 9
2. 사회적 성공과 학업적 성공에 대한 인식 차이 11
3. 교사 성공관에 따른 집단 유형 탐색 13
4. 사회적 성공관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14
V. 논의 및 결론 16
참고문헌 19
Abstract 22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난 내 나라가 낯설어요!" : 귀국학생의 국내 학교적응 경험 | 문경숙, 임재훈 | pp.621-649 |
|
보기 |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송희원, 최성열 | pp.651-672 |
|
보기 |
사회적 성공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신종호, 조은별, 이유경, 이혜원, 주은선 | pp.673-694 |
|
보기 |
수학교과 사교육경험패턴, 성별, 자율학습시간과 수업이해도 변화탐색 | 박혜숙 | pp.695-716 |
|
보기 |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척도 개발과 타당화 : 자기결정성이론을 중심으로 | 김소현, 김아영 | pp.717-738 |
|
보기 |
인식론적 신념의 척도 재타당화 및 영역성 탐색 | 박병기, 정영주 | pp.739-767 |
|
보기 |
중·고등 학생용 성격검사 개발 및 타당화 | 정미경, 송인섭, 김희정 | pp.769-786 |
|
보기 |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 pp.787-816 |
|
보기 |
초, 중학교급별 교실목표구조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김종렬, 이은주 | pp.817-835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Differences in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by Personal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s and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 소장 |
2 |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 |
미소장 |
3 | 김경호, 김지훈 (2009). 삶의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2), 87 -106. | 미소장 |
4 | Success attribution among Korean students and adults : An indigeneous perspective ![]() |
미소장 |
5 | 김현재 (2000). 행복한 교실을 위한 신홍익인간의 실천모형 탐색. 홀리스틱교육실천연구, 4(2), 3-48. | 미소장 |
6 | 한국 사회 변혁과 가치·태도교육의 과제 | 소장 |
7 | The Nature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Korea: Psychological, Indigenous, and Cultural Perspectives | 소장 |
8 | Perception of success among Korean students and their parents | 소장 |
9 | 중년기 성인 남여의 성공, 실패, 미래성취의식 : 전업주부, 취업주부와 그들의 남편을 중심으로 | 소장 |
10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Focused on Big 5 Personality Factors and BAS/BIS | 소장 |
11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ife goal questionnaire | 소장 |
12 | 양돈규 (2004). 남자대학생의 성공가치관에 따른 학업성취 및 시험부정행위의 차이. 한국교육학연구, 10(2), 249-269. | 미소장 |
13 | Conditions and Direction of Well-dying from the viewpoint standing on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of Korean`s | 소장 |
14 | The Relationships among the Well-Being Recogni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arning the Korean Dancing | 소장 |
15 | 보육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 소장 |
16 | The Change of Juvenile`s Work Value | 소장 |
17 | Parents' and Teachers' Beliefs about Children's Success in School ![]() |
미소장 |
18 | An Exploratory Study on Successful Lif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소장 |
19 | 정범모 (1997). 인간의 자아실현. 서울: 나남출판. | 미소장 |
20 | 정희욱 (2000). 중등학생의 성공의식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중고등학생의 비교-. 교육연구, 13, 113-142. | 미소장 |
21 | 정희욱, 전경숙, 권오실 (1997). 한․중․일 청소년 의식 비교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 미소장 |
22 | Secondary School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 Efficacy and Instrutional Strategies | 소장 |
23 | 특집 : 웰빙 vs 웰다잉 ; 웰빙의 참된 의미 ![]() |
미소장 |
24 |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as Perceived by Korean Elderly: Constructing Concept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in Korean Cultural Context | 소장 |
25 | 한국 학생과 성인의 미래성취에 대한 사회적 표상 : IMF시대 이전과 이후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소장 |
26 | Korean Society's Changes after IMF Crisis | 소장 |
27 | 홍현방 (2005). 생산활동 수준이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9, 203-235. | 미소장 |
28 |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 |
미소장 |
29 |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 |
미소장 |
30 |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thinking skill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 |
미소장 |
31 |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 미소장 |
32 |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미소장 |
33 |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미소장 |
34 |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 미소장 |
35 | Berman, P. & MaLaughlin, M. W. (1977).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Vol. 7,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 미소장 |
36 | Brophy, J., & Good, T. L. (1986).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achievement. In M. C. Wittrock(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3rd ed., pp.328-375).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 미소장 |
37 | Chess, S., & Thomas, A. (1996). Temperament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Burnner/Mazel. | 미소장 |
38 | Adolescent Goal Orientations and the Perception of Criteria of Success Used by Significant Others ![]() |
미소장 |
39 | Feng, X. (1999). Parental beliefs about school success in six western communitie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onnecticut, Storss. | 미소장 |
40 |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 |
미소장 |
41 | Career success, mobility and extrinsic satisfaction of corporate managers ![]() |
미소장 |
42 | Teachers' belief systems and preschool atmospheres. ![]() |
미소장 |
43 | Importance of Personal Goals in People with Independent Versus Interdependent Selves ![]() |
미소장 |
44 | Religion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uccess ![]() |
미소장 |
45 | Johnson, D., W. & Johnson, R., T. (1999).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on, Competition, and Individualization. Boston: Allyn& Bacon. | 미소장 |
46 | Kim, U., Park, Y., & Kim, M. (2001). Intergenerational gap, conflict, and relationship in Korea: Comparative analysis of adolescents, adults, and the elderly. Paper presented at the Fourth Conference of the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AASP), “Asian Social Psychology in the 21st Century” The University of Melbourne. Australia. | 미소장 |
47 | Career Success and Personal Failure: Alienation in Professionals and Managers ![]() |
미소장 |
48 | Development of perception of own attainment and causal attributions for success and failure in reading. ![]() |
미소장 |
49 |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 |
미소장 |
50 | Categories of success endorsed among religiously identified Seventh-Day Adventist students. ![]() |
미소장 |
51 | Contrasting subjective and objective criteria as determinants of perceived career success: A longitudinal study ![]() |
미소장 |
52 | Perception of success and its effect on small firm performance ![]() |
미소장 |
53 | School Leadership and Student Achieve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Beliefs ![]() |
미소장 |
54 | Teachers' Efficacy and Teaching Behaviors ![]() |
미소장 |
55 |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 | 미소장 |
56 | Schunk, D. H., Pintrich, P, R., & Meece, J. L. (2010).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3rd ed.). Upper Saddle River, N J: Pearson Education. | 미소장 |
57 | The Nature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Beliefs Matters for Students' Achievement Gains: Quasi-Experimental Evidence from Elementary Mathematics. ![]() |
미소장 |
58 | Making It Their Ow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Beliefs, and Classroom Practices ![]() |
미소장 |
59 |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 |
미소장 |
60 |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task values: A theoretical analysis ![]() |
미소장 |
61 | Woolfolk. A., E. (1990). Educational psychology (4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il. | 미소장 |
62 | Prospecti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s about Control. ![]() |
미소장 |
63 | Woolfolk, A., E., Rosoff, B., & Hoy, W., K. (1990).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ir beliefs about managing studen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6, 137-14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