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각막을 침범한 overhanging bleb의 치료로 인도시아닌그린 용액을 사용하여 제거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1세 남자 환자가 좌안의 이물감 및 각막 혼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좌안 만성 폐쇄각 녹내장으로 섬유주절제술 및 주변부 홍채 절제술을 시행 받은 과거력이 있었고 전안부 소견상 여과포의 각막침입이 심하였으며 심한 이물감을 호소하여 수술적인 제거를 시행하였다. 수술 시 정상여과포와의 교통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도시아닌그린 용액을 이용하여 염색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안압은 정상적으로 잘 유지되었고 전방의 염증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여과포로부터의 누출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 2개월 후의 좌안 안압은 11 mmHg로 안정적이었으며 여과포의 각막침투 또한 재발하지 않았다. 결론: 여과포의 윤부각막 침범 시 수술제거를 시행하는 경우에 인도시아닌그린 용액을 이용한 염색법은 정상 여과포와의 침입 여과 포의 분리를 용이하게 해주며 방수누출 등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overhanging bleb excision using Indocyanin green (ICG) dye. Case summary: A 71-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a white corneal foreign body in his left eye. The patient underwent mitomycin-assisted trabeculectomy surgery 8 years prior. Slit lamp examination revealed a large overhanging bleb. Because of its large size, surgical excision using ICG dye was performed. After excision surgery, the IOP was well controlled and no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was observed. Two months later, the IOP was still stable at 11 mm Hg and no recurrence of the overhanging bleb was found. Conclusions: ICG dye is useful in delineating between a functioning bleb and a non-functioning overhanging bleb. ICG dye-assisted bleb excision is a useful method for decreasing complications such as aqueous humor leakage and damage of the original bleb.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쪽눈꺼풀판띠고정술과 퀴커트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한 퇴행성 눈꺼풀속말림의 치료결과분석 김상원, 이우석, 노주헌 pp.1213-1218

눈물점 폐쇄에서 눈물점성형술과 Pigtail Probe를 이용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김인근, 김상수 pp.1219-1225

마취법 차이에 따른 백내장 수술 후 눈꺼풀처짐의 발생 비교 김영국, 문지영, 김성진 pp.1226-1230

성인 코눈물관 부분폐쇄에서 실리콘관 삽입술 후 마이토마이신 점안의 효과 정진구, 안민 pp.1231-1235

원발 군날개절제술 후 영구양막이식술과 일시양막이식술의 비교 김희준, 이상범 pp.1236-1246

전층각막이식술 후 각막감각의 장기 변화 및 이와 관련된 눈물막변수의 분석 정세형, 오한진, 윤경철 pp.1247-1253

홍채고정안내렌즈 삽입술 후 엎드린 자세가 임계거리에 미치는 영향 김욱겸, 김희선, 조은영, 김진국, 양훈 pp.1254-1259

동공크기에 따른 미세절개 백내장 수술 후의 고위수차 변화양상 장재용, 오한진, 윤경철 pp.1260-1268

소절개창 백내장 수술에서 절개방법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 및 자각증상의 변화 김의연, 김민호, 양홍석 pp.1269-1275

망막정맥폐쇄환자에서 황반부종의 양상에 따른 단기 시력예후 박가희, 노인호 pp.1276-1284

열공망막박리 환자의 수술 후 시야 및 망막신경섬유층 변화 비교 윤제환, 남동흔, 이대영 pp.1285-1290

표층황반원공에서 수술적 치료의 결과 최우석, 김상원, 이우석, 문상정, 윤희성 pp.1291-1295

하부열공망막박리에서 실리콘기름 충전술의 수술결과 및 의의 서상진, 이수정, 박정민 pp.1296-1303

스트레스가 안압 및 눈물분비에 미치는 영향 우영준, 김지업, 나상훈, 이종혁 pp.1304-1310

Ocular Response Analyzer의 재현성 및 골드만압평안압, 비접촉안압과의 비교 조가은, 전루민, 최규룡 pp.1311-1317

간헐외사시에서 외직근 후전 후의 속발내사시 나경익, 이주연 pp.1318-1323

일차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외회선의 임상적 평가 조순영, 이세엽, 이영춘 pp.1324-1329

결막의 출혈성 림프관확장증 1예 왕동현, 정진권, 최경식 pp.1330-1333

아메바 모양의 침착물을 동반한 독성 전방 증후군에서 야그레이저를 이용한 치료 박인기, 김재훈, 김재찬, 전연숙 pp.1334-1340

24시간 만에 호전된 단안성 푸르처 망막병증 의증 환자의 OCT 양상 1예 이민영, 박재영, 서원문 pp.1341-1345

상대정맥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안허혈에 의한 신생혈관녹내장 1예 전지훈, 조경진, 장기철, 장무환 pp.1346-1351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 레이저광응고술 후 생긴 맥락막신생혈관의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정종현, 문건, 김광수, 김유철 pp.1352-1356

하이드록시클로로퀸에 의한 망막병증 1예 이정진, 백승국, 이태곤, 유수진 pp.1357-1363

인도시아닌그린 염색약을 이용한 여과포의 윤부각막 침입의 치료 1예 정종진, 이정진, 김황기, 손용호 pp.1364-1367

압박시신경병증으로 발현된 내경동맥의 미파열성 거대동맥류 박재영, 구남균 pp.1368-1371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Post-operative complication of trabeculectomy in Ibadan, Nigeria: outcome of 1-year follow-up. 네이버 미소장
2 Bell RW, Habib NE, O'Brien C. Long-term results and complications after trabeculectomy with a single per-operative application of 5-fluorouracil. Eye (Lond) 1997;11(Pt 5):663-71. 미소장
3 Sutureless revision of overhanging filtering blebs. 네이버 미소장
4 Sony P, Kumar H, Pushker N. Treatment of overhanging blebs with frequency-doubled Nd:YAG laser.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04;35:429-32. 미소장
5 Desai K, Krishna R. Surgical management of a dysfunctional filtering bleb. Ophthalmic Surg Lasers 2002;33:501-3. 미소장
6 A Case of Human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Overhanging Bleb 소장
7 Staining of the Lens Capsule for Circular Continuous Capsulorrhexis in Eyes With White Cataract 네이버 미소장
8 Visualization of conjunctival cyst by indocyanine green 네이버 미소장
9 Ito K, Miura K, Sugimoto K, et al. Use of indocyanine green during excision of an overhanging filtering bleb. Jpn J Ophthalmol 2007; 51:57-9. 미소장
10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ing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of an overhanging filtering bleb. 네이버 미소장
11 Slit‐lamp‐adapt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assessment of an overhanging filtering bleb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