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캘리그래피의 요소 연구 / 김묘수 ; 김영호 ; 김지현 1

[Title] 1

ABSTRACT 3

요약 3

1. 서론 4

1.1. 연구의 목적 4

1.2. 연구방법 및 범위 4

2. 캘리그래피와 커뮤니케이션 4

2.1.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4

2.2. 캘리그래피 5

2.3. 캘리그래피의 요소 6

3.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캘리그래피의 요소분석 7

3.1. 감각적 요소 7

3.1.1. 시각적 요소 7

3.1.2. 청각적 요소 7

3.1.3. 촉각적 요소 8

3.2. 의미적 요소 8

3.3. 구성적 요소 9

3.3.1. 공간구성요소 9

3.3.2. 시간구성요소 9

3.4. 감성적 요소 10

4. 결론 11

참고문헌 11

초록보기

여러 매체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캘리그래피는 실험적 관점이나 적용방법론, 교육방안, 현상적 분석 등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캘리그래피의 커뮤니케이션요소로서 개별적 분석에 대한 접근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문자의 한 영역에 속해있는 캘리그래피를 기호모델로 보고 기존의 선형적 과정모델에서 발전된 거브너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수정하여 캘리그래피의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연구하였다. 거브너의 커뮤니케이션 수정모델은 지각, 수용의 차원과 의사소통, 통제의 차원으로 지각과 의미 문제를 수직 수평의 차원으로 다룬다. 이러한 거브너의 모델을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멀티미디어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발전시킨 커뮤니케이션 모델로 수정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캘리그래피의 감각적, 의미적, 구성적, 감성적 요소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생산자, 해석자의 시각을 통해 지각된 캘리그래피는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포함하는 복합적 요소들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며 지각, 심리, 문화적 경험 등으로 인해 다양하고 잠재적인 층위의 인식과 감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복합기호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Calligraphy is used broadly in various media and fields, and has given birth to numerous studies which give a wide range of analyses - from experimental perspectives, methodological applications, and educational use, or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done on analyzing calligraphy separately as an element of communication. This paper looks at calligraphy as a code model and studies its method of communication by revising Gerbner’s communication model, which, in turn, has developed the existing sequential/procedural model. Gerbner’s revised communication model approaches the problem of perception and meaning in two dimensions - first, of perception and reception, and second, of communication and control - which are vertical and horizontal. In this study, Gerbner’s revised communication model is further revised and developed to suit the current trends in multimedia, and proposes a new communication model to analyze calligraphy by categorizing it into four elements: sensory, meaning, composition, and emotion. Calligraphy, perceived visually through the eyes of the producer and the interpreter, enables communication through complex elements, and is used as a communication medium of composite symbols which delivers various subconscious cognition and emotions based on the interpreter’s sensory, psychological, and cultural experienc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지털 어포던스를 이용한 공간 디스플레이의 전략적 구성에 관한 연구 강민수, 김동수, 홍원화 pp.1-11

보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캘리그래피의 요소 연구 김묘수, 김영호, 김지현 pp.13-23

보기
친환경디자인을 위한 여성용 패션가방연구 김별 pp.25-34

보기
소비자의 제품 디자인 평가요소가 제품구매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김영석 pp.35-45

보기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친환경 재료 사용에 관한 사례 분석 김영실, 김경숙 pp.47-56

보기
시지각적 특성에 따른 경계의 모호성에 관한 연구 김예진, 이규백 pp.57-67

보기
비형태적 감성 디자인 요소의 역할에 관한 연구 : 팬틸드라이브 개념을 중심으로 김우진 pp.69-79

보기
시선고정과 도약에 나타난 공간의 주시특성에 관한 연구 : 주시시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종하, 반영선 pp.81-91

보기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에 나타나는 외적 표현 양식에 관한 연구 김지원 pp.93-103

보기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미술교육의 관계와 중요성 고찰 김형숙 pp.105-115

보기
미니멀리즘 형식을 활용한 도시야간환경 연구 나재민, 김종덕 pp.117-127

보기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디자인 지침 개발 류혜지 pp.129-139

보기
멀티터치 테이블탑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동물 해부 어플리케이션 문석호, 김현희 pp.141-151

보기
농촌주택 옥외공간의 사용에 관한 조사연구 : 강원도 인제군 농가의 사용실태를 중심으로 문정인 pp.153-163

보기
위대한 미국의 우울한 텍스트 : 로버트 프랭크의 『미국인 The American』을 중심으로 민병욱, 박종현 pp.165-175

보기
그림 동화책 등장인물의 얼굴 표정에 대한 연구 박성완 pp.177-186

보기
소형 자영업 베이커리의 디자인 요소 활용 현황과 활성화에 대한 연구 박여진, 공용택 pp.187-199

보기
고양 꽃 전시회의 전시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2007-2012년 작품을 중심으로 박은영 pp.201-211

보기
신선로 원형으로서 유물에 관한 연구 박은희, 강병길 pp.213-223

보기
폴드 건축에 나타난 경관 해석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형진, 이종석 pp.225-236

보기
일본그림책에 나타난 메시지 전달의 기호학적 분석 사카베 히토미, 문철 pp.237-249

보기
물화(物化)적 표현을 통한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이와사키 치히로의 『작은 새가 온 날』을 중심으로 사카베 히토미 pp.251-261

보기
인터넷 광고에 따른 수용자들의 정보태도 및 신뢰도에 대한 연구 신재욱 pp.263-273

보기
패션아트에 표현된 인간의 욕구계층과 조형적 특성 연구 신정임, 강병석 pp.275-287

보기
프랑스 영화<비인간 L'lnhumaine> 영화미술의 조형적 분석과 영화미술사적 의미 연구 심형근 pp.289-299

보기
극사실주의에서 나타나는 음식물 표현에 대한 연구 : 2000년대 한국미술을 중심으로 오세권 pp.301-316

보기
돈아이디의 기술철학을 통해 바라본 미디어아트에서의 기술에 대한 접근과 고찰 오한나, 이현진 pp.317-328

보기
시각화 매체를 통한 이미지 정보 접근 방안 연구 : 시각영상, 적외선, X-ray 영상장치를 활용한 시각적 한계 보완 이가영, 문철 pp.329-339

보기
독일 제 3제국의 과시 양식 특성 이병종 pp.341-351

보기
제품디자인 영역의 레트로 디자인 표현특성 및 적용방향 이성훈 pp.353-363

보기
장자끄 상페의 일러스트레이션에 내재된 풍자 요소 분석 이소영, 문철 pp.365-377

보기
게임 체험을 활용한 BTL의 브랜드 체험 전략 연구 : Gamification과 게임의 재미 요소 중심으로 이수정, 장동련 pp.379-391

보기
그림책 화면구성에서 샷(Shot)효과 활용 연구 이유림, 문철 pp.393-403

보기
니체 비극론에 의거한 미적 쾌(快)에 관한 고찰 : 희곡 『파우스트』 중 '헬레나 막'과 영화 『말레나』의 비극성 분석을 중심으로 이정명 pp.405-420

보기
브랜드 가치 창출로서 UBI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아이비리그 대학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이정윤 pp.421-434

보기
의복배색 선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임지영, 김민채 pp.435-447

보기
불안감과 사회적지지에 따른 사용자 행동에 대한 유형 연구 장유리, 이수정, 이수진 pp.449-460

보기
국내 지상파 3사 News 오프닝 타이틀의 문제점 및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뉴스와 채널 지표의 표현형식 및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전광실 pp.461-475

보기
한국 장편애니메이션에 표현되는 리얼리티의 확장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마당을 나온 암탉을 중심으로 전정숙 pp.477-487

보기
사용자참여 디자인방법을 적용한 아동가구디자인 개발 연구 정경숙 pp.489-499

보기
개념미술 이후 텍스트의 조형성 변형에 대한 고찰 정무환 pp.501-513

보기
패션 리테일 스토어의 조명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 및 인식 정현, 박화순 pp.515-525

보기
도시 골목 공간의 특징과 의미 분석 : 프랑스 파리 <몽마르트 언덕의 골목> 영화 배경을 중심으로 조병철 pp.527-538

보기
르네 콕스 : 흑인여성주체와 탈식민주의적 신체 주하영 pp.539-549

보기
업 사이클링 디자인 특성 연구 최민숙 pp.551-563

보기
사무용 IP전화기의 색채 방향성에 관한 연구 최용혁 pp.565-574

보기
그림책의 영화 매체 전환에 따른 비교 : 원작 괴물들이 사는 나라 중심으로 피종삼, 김종덕 pp.575-587

보기
인터렉티브 미디어아트의 환영과 설치매체에 대한 고찰 하임성, 송대섭 pp.589-599

보기
새로운 사회 환경에서 요구되는 디자인의 예측 방법 허윤실, 최경란 pp.601-611

보기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경용,『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1994. 미소장
2 김성도,『기호, 리듬, 우주』, 일산: 인간사랑, 2007. 미소장
3 김영순,『신체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미소장
4 마크 고베 지음, 이상민. 브랜드앤컴퍼니 옮김,『감성디자인 감성브랜딩』, 서울, 김앤김북스, 2002. 미소장
5 발리스 듀스, 남도현 옮김,『그림으로 이해하는 현대사상』, 서울: 개마고원, 2002. 미소장
6 윌터 J. 옹, 이기우·임명진 옮김,『구슬문화와 문자문화』, 서울: 문예출판사, 2006. 미소장
7 임태승, 『아이콘과 코드』, 서울: 미술문화, 2006. 미소장
8 제이 데이비드 볼터·리처드 그루신, 이재현 옮김,『재매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미소장
9 존 피스크, 강태완·김선남 옮김,『커뮤니케이션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미소장
10 줄리오 바텔리, 김정하 옮김,『서양 고서체학 개론』, 서울: 아카넷, 2010. 미소장
11 안상수, 한재준, 이용제, 『한글디자인교과서』, 서울, 안그라픽스, 2009. 미소장
12 이병주, 『타이포그래피의 빈공간』, 서울: 홍디자인, 2011. 미소장
13 The Emotional Expression Character study of Utilizing Advertising Media 소장
14 Feelings about the Social Role in the Study Calligraphy 소장
15 캘리그래피를 활용한 영화 포스터 타이틀 로고의 감성표현 고찰 소장
16 Study on Module for Digital Font from Hangeul Calligraphy 소장
17 디지털 환경에서의 시각 재현 요소로서의 점에 관한 연구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