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활성탄의 이산화탄소 흡착에 미치는 유무기계 첨가제의 영향 / 조동현 ; 조기숙 ; 박청기 ; 김성현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1

2. 실험 2

2-1. 아민 첨가제 표면 처리 2

2-2. 금속산화물 첨가제 표면 처리 2

2-3. 표면 특성 및 이산화탄소 흡착 거동 분석 2

3. 결과 및 고찰 2

3-1. 아민 처리를 한 활성탄소의 이산화탄소 흡착 특성 2

3-2. 금속산화물 처리를 한 활성탄소의 이산화탄소 흡착 특성 4

4. 결론 5

감사 5

참고문헌 5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소의 이산화탄소 흡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민과 금속산화물 첨가제에 관하여 고찰하였 다. 표면 처리한 활성탄소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X-ray photoelection specstroscopy (XPS), 질소등온흡착곡선, X-ray diffraction (XRD), BET 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활성탄소 표면의 아민 기능기는 산성가스인 이산화탄 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기 위한 염기성 자리로 작용하며, 2차아민을 갖는 기능기가 1차아민에 비하여 이산화탄소흡착 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활성탄소에 첨가된 금속산화물은 표면에서 전자 도우너(electron donor) 역할을 하며 알 칼리 특성을 지니고, 아민 기능기와 유사하게 이산화탄소 가스와 산-염기 반응을 유도한다. 금속산화물 표면처리를 했 을 경우 순수한 활성탄소와 비교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용량이 85% 증가하였으며, 이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금속산 화물 첨가제는 활성탄소의 이산화탄소 흡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아민 첨가제와 병행하거나 대체할 수 있 는 물질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amine and metal oxide additives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CO2 adsorption capacity of activated carbons (ACs).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modified ACs were studi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N2 adsorption, X-ray diffraction (XRD), and BET. Amine surface treatment decreased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of ACs, but increased alkalinity by the incorporated nitrogen functional groups. Adsorption capacities of amine functionalized ACs was larger than original ACs, because basic group which can react with CO2 was grafted on the ACs surface. Presence of copper oxides on ACs also enhances the carbon dioxide adsorption. The copper oxides could increase the adsorption rate of carbon dioxides due to the acid-base interaction (or electron acceptor-donor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copper oxide loading was a promising method to improve the CO2 adsorption capacity of AC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3-프로판디올의 생물학적 생산을 위한 분리공정 홍연기 pp.759-765

보기
디메틸 카보네이트(DMC)로부터 디페닐카보네이트(DPC) 합성을 위한 반응속도론 최유미, 조임표, 조훈, 이진홍, 한명완 pp.766-771

보기
SCR 공정에서 Calcium 성분이 V₂O₅/TiO₂촉매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진길, 박광희, 홍성창, 이의동, 강용 pp.772-777

보기
PEMFC에서 전극과 전해질 막의 열화 가속 시험 송진훈, 김세훈, 안병기, 고재준, 박권필 pp.778-782

보기
경질 폴리 우레탄의 기계적물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영향 나석은, 최환오, 이전규, 김시영, 주창식 pp.783-788

보기
폴리머 시멘트 몰타르 포장재용 Carboxylated Styrene Butadiene 라텍스의 제조와 적용 특성 이봉규, 주창식 pp.789-794

보기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dodecanethiol로 안정화된 금속 나노입자 합성 이영은, 이성윤, 유성식 pp.795-801

보기
1 N㎥/h급 연료 변환시스템에서 메탄의 자열 개질반응 구정분, 신장식, 양정민, 이종대 pp.802-807

보기
수열합성법에 의한 산화아연의 제조와 광분해 특성 정상구, 나석은, 김시영, 주창식 pp.808-814

보기
추출 열 통합 증류계의 프로필 위치 제어 조훈, 최유미, 이진홍, 조임표, 한명완 pp.815-824

보기
무격막식 해수 전기분해 방식을 통한 배연 탈질에 관한 연구 김태우, 최수진, 김종화, 송주영 pp.825-829

보기
Continued Fraction Expansion을 이용한 Dead Time 근사의 새로운 접근 조원휘, 이지태 pp.830-836

보기
1 MWe급 순환유동층 열병합 보일러 운전연구 선도원, 배달희, 조성호, 이승용 pp.837-842

보기
매체순환식 가스연소기에서 고온 환원반응성 증대 방법 류호정, 박상수, 이동호, 최원길, 이영우 pp.843-849

보기
유동층 반응기에서의 목질계 바이오매스 입자의 탈휘발 예측 모델 김광수, Bo Leckner, 이정우, 이은도, 최영태 pp.850-859

보기
저열량 바이오매스 합성가스의 혼소특성 윤상준, 김용구, 전창준, 이재구 pp.860-865

보기
IgY(Immunoglobulin Yolk) 분리를 위한 3-영역 SMB(Simulated Moving Bed)와 4-영역 SMB 비교전산모사 윤상희, 김인호 pp.866-873

보기
Aspergillus niger NRRL 567을 이용한 고체배양에서 완충용액이 구연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 김진우 pp.874-878

보기
고체발효에서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구연산 생산 최적화 김진우 pp.879-884

보기
활성탄의 이산화탄소 흡착에 미치는 유무기계 첨가제의 영향 조동현, 조기숙, 박청기, 김성현 pp.885-889

보기
합성 천연가스의 하이드레이트 형성 거동 연구 이종원, 이주동 pp.890-893

보기
어트리션 밀과 DMF 용매를 이용한 폐 인쇄회로기판에서 분리된 재생 유리섬유의 재활용 김종석, 이재천, 정진기 pp.894-899

보기
국제특허분류에 의한 정삼투막 기술의 현황과 전망 임은정, 김성현, 김상곤 pp.900-907

보기
수증기개질 가스화반응을 이용한 나왕톱밥으로부터 수소제조특성 박성진, 김래현, 신헌용 pp.908-912

보기
액-액 교반조내에서의 물질이동용량계수 및 액적경의 특성 이영세 pp.913-922

보기
수산화칼슘/인산 현탁제가 스타이렌 기반 현탁중합토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유재광, 김대수 pp.923-928

보기
플라스틱기판 미세회로구조 제조를 위한 소프트 석판 기술의 적용 박민정, 주형규, 박진원 pp.929-932

보기
벗김전압전류법을 이용한 카본나노튜브 전극에서의 구리 분석 최장군, 정영삼, 김낙주, 박대원, 정건용, 김래현, 권용재 pp.933-937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