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국내 신경언어프로그래밍(NLP)의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 진명일 ; 이영순 ; 이연숙 ; 김미선 1

◀논문요약▶ 1

I. 서론 2

II. 방법 8

1. 분석대상 8

2. 평정자 9

3. 분류기준 9

4. 평정영역 10

5. 자료분석 10

III. 결과 11

1. 연구시기별 분류 11

2. 연구대상별 분류 12

3. 연구주제별 분류 12

4. 연구유형 분류 13

5. 전공별 연구동향 13

6. 활용 기법 14

IV. 논의 15

〈참고문헌〉 24

〈ABSTRACT〉 27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국내 신경언어프로그래밍(NLP)의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NLP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표가 있다. 국내에 NLP가 보급된 이래, NLP가 상담학계뿐만 아니라 최면, 기업, 교육, 코칭, 리더십, 스포츠, 마케팅 분야 등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NLP에 관한 경험적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동안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의 NLP연구에 관한 방향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1994년부터 2011년까지의 학위논문 24편과 학술지 39편, 총 63편의 NLP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NLP를 다룬 연구들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유형, 전공영역, 활용된 기법에 초점을 맞추어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NLP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에서 NLP연구를 수행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 현재의 위치를 가늠해봄으로써 NLP연구에 대한 미래 방향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논의하고, 연구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럽연합(EU) 정책이전의 문제점과 시사점 : 공동농업정책(CAP)을 중심으로 김종업, 신상우, 임상규 pp.1-25

보기
외환위기 시기의 비정규직정책 영향요인 연구 김시백 pp.27-49

보기
우리나라 대학 행정조직의 효율적인 성과관리제도 구축방안 : 대학유형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배재완, 윤광재, 전기우 pp.51-90

보기
5·18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인물의 미국에 대한 인식 : 윤한봉과 윤상원을 중심으로 이종인 pp.91-147

보기
중국 '화평발전(和平發展)' 외교정책의 구도·개념 분석 : '中國的和平發展(道路) 白皮書'를 중심으로 송기돈 pp.149-188

보기
요양보호사 전문직업 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정여주, 서문진희 pp.189-226

보기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봉재 pp.227-249

보기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살생각과 분노표현양상 비교 진은영, 고성희 pp.251-270

보기
라이프코스 자료 수집 방법으로서 생애사 달력(Life History Calendar) 마경희, 이순미 pp.271-292

보기
국내 신경언어프로그래밍(NLP)의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진명일, 이영순, 이연숙, 김미선 pp.293-319

보기
이슈에 대한 언론의 보도경향 판단과 자신의 찬반, 지각된 여론이 제3자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주·완주 통합을 중심으로 이성원, 최윤규, 이균형 pp.321-359

보기

참고문헌 (4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석만․남종호․박영석․박창호․최윤미․한규석. 2001. 『학술논문 작성 및 출판 지침』. 서울: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2 A review on the NLP techniques for reducing anxiety in dental phobic patients 소장
3 NLP의 신경논리적 단계(Neurological level)로 본 다각적 코칭 접근 소장
4 김계현. 2000. 『상담심리학 연구: 주제론과 방법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5 김대식. 2008. “NLP자기성장프로그램 훈련이 기업체 성인학습자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김병준. 2004. “시합회상법을 이용한 국가대표 사격선수의 심리문제 진단과 심리훈련 설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5(2): 93-114. 미소장
7 김창대․김형수․신을진․이상희․최한나. 2011.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미소장
8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치료 프로그램 개발 소장
9 NLP 최면요법 심리임상 사례 2건 소장
10 The Third Wave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소장
11 박선영. 2010. “NLP기법의 자원전략을 통한 자기신념과 의사소통과의 관계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박성희. 2001. 『상담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학지사. 미소장
13 박영관. 2005. “범죄수사에서 NLP심리기법 적용 연구.” 『NLP상담연구』1(1): 149-165. 미소장
14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의 매개효과 소장
15 설기문. 2003. 『자기 혁신을 위한 NLP파워』. 서울: 학지사. 미소장
16 설기문. 2005. “NLP가 본 뇌과학.” 『한국정신과학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54-68. 미소장
17 설기문. 2009. 『에릭슨최면과 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미소장
18 설기문. 2010. 『NLP입문』. 서울: 학지사. 미소장
19 오윤미. 2010. “NLP를 활용한 고객만족 교육 프로그램이 서비스 종사자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및 기업상담의 연구동향 분석 : 효과연구를 중심으로 소장
21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Using NLP on Prisoner 소장
22 이동은. 2008. “신경언어학적 프로그래밍(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의 이해와 한의학적 응용에 관한 고찰.” 포천중문의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이성엽. 2005. “기업 내 HRD의 관점에서 본 성인상담과 NLP.” 『NLP상담연구』1(1): 117-125. 미소장
24 사회불안과 우울의 인지특성 네이버 미소장
25 이정자. 2010. “NLP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6 A Study on Meditative Characteristics of Neuro-Linguistic Programming 소장
27 국내 다문화 연구와 다문화 상담 연구의 현황 소장
28 전경숙. 2003a. 『NLP Practitioner 트레이닝과정』. 한국 NLP 아카데미 심리전략 연구원. 미소장
29 전경숙. 2003b. 『NLP Master Practitioner』. 한국 NLP 아카데미 심리전략 연구원. 미소장
30 전경숙. 2003c. 『NLP 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미소장
31 상담학의 연구 동향 분석 : 「상담학연구」 학회지 게재논문, 창간년도~2009 소장
32 Analysis of Research i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1988-2003) 소장
33 Development of a Personal Growth Program for Christian Parentin 소장
34 대학생의 비합리적인 사고와 정신병리적 경향 간의 상관 네이버 미소장
35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73-1998) 네이버 미소장
36 Neuro-linguistic Programming and learning theory 네이버 미소장
37 Corey, G. 2003.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조현춘․조현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1991에 출판, 6판). 미소장
38 Quantitative motion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cellular structures 네이버 미소장
39 Observations concerning research literature on neuro-linguistic programming. 네이버 미소장
40 Molden, D. 2001. NLP Business Masterclass. FT/Prentice-Hall, London. 미소장
41 O'Connor, J. & I. McDermott. 2000. 『NLP의 원리 [Principles of NLP]』. 설기문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4에 출판). 미소장
42 O'Connor, J. & J. Seymour. 1996. 『새 심리치료 개론: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Introducing Neuro-Linguistic Programming: The New Psychology of Personal Excellence]』. 전경숙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에 출판). 미소장
43 O'Connor, J. & J. Seymour. 2010. 『NLP입문 [Introducing Neuro- Linguistic Programming: Psychological Skills for Understanding and Influencing People]』. 설기문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3에 출판). 미소장
44 Pelz, S. L. & L. M. Hall. 2007. “The Theoretical Roots of NLP-Based Coaching.” The Coaching Psychologist 3(1): 32-46. 미소장
45 Research findings on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onsupportive data or an untestable theory? 네이버 미소장
46 Neuro-linguistic programming and learning theory: a response 네이버 미소장
47 Exploring inner landscapes through psychophenomenology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