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조선 초기 향악기의 종류. 2 | 김성혜 | pp.5-40 |
|
|
근현대 한국음악가의 음악사적 업적 조명 | 김우진 | pp.41-70 |
|
|
왕대비 加上尊號儀의 의례와 음악 : 정조대(1776∼1800)『尊號都監儀軌』를 중심으로 | 김종수 | pp.71-107 |
|
|
죽지사(竹枝詞)의 한·중 비교 연구 | 박은옥 | pp.109-146 |
|
|
월드뮤직 컨텐츠 연구 : 그래미 어워즈 최고 전통 월드뮤직 음반을 중심으로 | 오은이, 김희선 | pp.147-196 |
|
|
대한제국기 순종황제 즉위 행사와 음악 | 이정희 | pp.197-236 |
|
|
대한제국 고취 편성에 대한 연구 : 『大韓禮典』을 중심으로 | 임정미 | pp.237-294 |
|
|
파강(巴江) 김두남(金斗南)과『양금신보』 | 최선아 | pp.295-324 |
|
|
출토금의 복원에 관한 고찰 : 파손한 출토금의 복원을 중심으로 | 나카가와 리츠코 ; 권혜근 역 | pp.325-338 |
|
|
『영집해』(令集解) 직원령(職員令) 아악료(雅樂寮)에 보이는 '한금(大理須古)'에 관해서 | 나카야스 마리 ; 권혜근 역 | pp.339-346 |
|
|
일본 야요이·고분 시대 코토의 출자(出自)에 관해서 | 이시모리 아키라 ; 권혜근 역 | pp.347-354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종실록 . | 미소장 |
2 | 高宗大禮儀軌 . 서울: 서울대학교규장각, 2001. | 미소장 |
3 | 國朝五禮儀 . | 미소장 |
4 | 大韓禮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도서번호 藏K2-2123 | 미소장 |
5 | 대한매일신보 . | 미소장 |
6 | 大皇帝陛下卽位禮式儀註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미소장 |
7 | 法規類編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도서번호 奎16032. | 미소장 |
8 | 순조실록 . | 미소장 |
9 | 순종실록 . | 미소장 |
10 | 新聞集成明治編年史 . | 미소장 |
11 | 영조실록 . | 미소장 |
12 | 儀註謄錄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도서번호 藏K2-2134. | 미소장 |
13 | 統監府文書 . | 미소장 |
14 | 通牒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도서번호 奎17822. | 미소장 |
15 | 皇城新聞 . | 미소장 |
16 | La Tribuna Ilustrata 1907년 8월 4일자. | 미소장 |
17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 서울: 돌베개, 2011. | 미소장 |
18 | 안창모. 덕수궁 . 서울: 동녘, 2009. | 미소장 |
19 |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 서울: 태학사, 2000. | 미소장 |
20 | 이태진 등. 백년 후 만나는 헤이그 특사 . 서울: 태학사, 2008. | 미소장 |
21 | 임미선.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의 사적 전개 . 서울: 민속원, 2011. | 미소장 |
22 | 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 . 국립고궁박물관, 2010. | 미소장 |
23 | 조광 편(정교 저). 대한계년사 8 . 서울: 소명출판, 2005. | 미소장 |
24 | 楢崎桂園 著. 韓國丁未政變史 . 京城: 日韓書房, 1907. | 미소장 |
25 | 김문식·송지원. “국가제례의 변천과 복원.” 서울 20세기 생활문화 변천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 미소장 |
26 | 세손 정조의 대리청정 | 소장 |
27 | 高宗의 皇帝 登極儀에 나타난 상징적 함의 | 소장 |
28 | 목수현.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 상징물.”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미소장 |
29 | 민경찬.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대한제국 애국가’를 생각하며.” 한국음악평 론 (서울: 한국음악평론가협의회, 2010). | 미소장 |
30 | 이경미.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미소장 |
31 | Transactions : The First Perspective on Western-style Court Costumes in the Late 19th Century of Joseon Dynasty -Through the Problems Receiving the New Styled Credential- | 소장 |
32 | 대한제국기 서구식 문관 대례복 제도의 개정과 국가정체성 상실 | 소장 |
33 | The System of the Royal Music Institute掌樂機關 of Daehanjeguk 大韓帝國 | 소장 |
34 | Study on Military Bands 軍樂隊 at the Age of the Daehan Empire 大韓帝國 | 소장 |
35 | 이정희. “개항기 근대식 궁정연회의 성립과 공연문화사적 의의.”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미소장 |
36 | The Commemoration Event and Music of Konwonjol during the Great Imperial Korea | 소장 |
37 | 윤소영. “한국통감부의 궁내부 해체와 변용.”, PDF파일. | 미소장 |
38 | 장두식. “근대결혼제도 정착과정과 소설의 관련양상 연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중점연구소 연구과제 학술회의 자료집: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 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 Ⅵ (죽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1). | 미소장 |
39 |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40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미소장 |
41 |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
미소장 |
42 | 이지선의 일본전통문화.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