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순종황제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이다. 순종의 황제 즉위는 일제의 강압에 의한 고종황제 강제 퇴위로 인해 이행되었다. 순종의 황태자의 신분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했다는 공식적인 기록은 1907년 7월 19일이다. 그리고 순종황제 즉위식은 그로부터 40여일이 지나 1907년 8월 27일에 거행되었다. 순종황제 즉위식은 돈덕전에서 오전 9시 30분에 시작되었다. 순종은 즉위식에 참석하기 전에 환구단에 고유제를 올리지 않았다. 그대신 일본의 국서를 받았다. 순종황제 즉위식에서는 축하문 낭독이 핵심 절차였다. 총리대신 이완용, 통감 대리 장곡천대장, 영사 대표 방카르트가 축하글을 읽었다. 즉위식장에 참석한 이들은 서구식 대례복이나 후록코트를 착용한 채 몸을 공손하게 숙이는 서양식 인사법으로 사배례(四拜禮)를 대신하였다. 순종황제 즉위식에는 음악이 적극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전통 악대인 전정궁가와 서양식 군악대가 모두 등장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전자는 순종황제가 등퇴장 할 때와 참석자들이 인사할 때 전통음악을 연주하였다. 구체적인 레파토리는 여민락만, 여민락령, 낙양춘으로 추정된다. 군악대는 에케르트가 서양음악 어법으로 작곡한 대한제국 애국가를 연주하였다. 순종황제 즉위식이 끝난 후 각계에서 기념행사가 펼쳐지기도 하였다. 돈덕전 식당에서는 입식(立食)의 형태로 축하 파티를 하였다. 특히 일진회는 독립관에서 매우 성대한 경축회를 벌여 당시 유행하던 악(樂)·가(歌)·무(舞)·희(戱) 일체를 감상하며 즐거워했다.

Emperor Sunjong 純宗皇帝 is the last emperor of the Imperial Korea. The coronation of King Sunjong as emperor was held owing to the forced abdication of Emperor Kojong 高宗皇帝. The official record date that Sunjong began his regency as the crown prince was July 19, 1907. Also, the coronation of Emperor Sunjong was held on August 27, 1907 which was 40 days after the beginning of his regency. The coronation of Emperor Sungjong began at 9:30 in the morning at Tondŏkchŏn 惇德殿. Before his participation in the coronation, Sunjong did not hold Koyuje 告由祭 at Hwan'gudan 圜丘壇. Instead, he received the credentials of Japan. In his coronation, the reading of a congratulatory address was the key procedure. Prime Minister Yi Wan-yong 李完用, Resident- General Deputy Chang Kok-ch'ŏn 長谷川, and the consular representative Bankart read the congratulatory address. Those who gathered in the place of the coronation replaced a quadruple greeting manner with a western style greeting of bowing their upper body politely while wearing western style court dress or frock coats. In his coronation, music was actively introduced. It also features the appearance of both Chŏnjŏng kungga 殿庭宮架, a traditional band and the western style military band 軍樂隊. The former, traditional music was performed when Emperor Sunjong appeared and walked out and when participants bowed to him. Concerning the detailed repertoire, it was supposed to include Yŏmillak man 與民樂慢, Yŏmillak ryŏng 與民樂令, and Nagyangch'un 洛陽春. The military band played and Eckert played the national anthem of the Taehan Empire that he composed after the pattern of western music. After the coronation of Emperor Sunjong, some commemorative events took place in every circle. In the banquet of Tondŏkchŏn, there was a standing celebration party. In particular, Ilchinghoe 一進會 held a very flourishing celebration feast in the Independence Hall, and appreciated and enjoyed the whole presentation of music 樂, song 歌, dance 舞, and amusement 戱, which were prevalent back the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선 초기 향악기의 종류. 2 김성혜 pp.5-40

근현대 한국음악가의 음악사적 업적 조명 김우진 pp.41-70

왕대비 加上尊號儀의 의례와 음악 : 정조대(1776∼1800)『尊號都監儀軌』를 중심으로 김종수 pp.71-107

죽지사(竹枝詞)의 한·중 비교 연구 박은옥 pp.109-146

월드뮤직 컨텐츠 연구 : 그래미 어워즈 최고 전통 월드뮤직 음반을 중심으로 오은이, 김희선 pp.147-196

대한제국기 순종황제 즉위 행사와 음악 이정희 pp.197-236

대한제국 고취 편성에 대한 연구 : 『大韓禮典』을 중심으로 임정미 pp.237-294

파강(巴江) 김두남(金斗南)과『양금신보』 최선아 pp.295-324

출토금의 복원에 관한 고찰 : 파손한 출토금의 복원을 중심으로 나카가와 리츠코 ; 권혜근 역 pp.325-338

『영집해』(令集解) 직원령(職員令) 아악료(雅樂寮)에 보이는 '한금(大理須古)'에 관해서 나카야스 마리 ; 권혜근 역 pp.339-346

일본 야요이·고분 시대 코토의 출자(出自)에 관해서 이시모리 아키라 ; 권혜근 역 pp.347-354

참고문헌 (4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종실록 . 미소장
2 高宗大禮儀軌 . 서울: 서울대학교규장각, 2001. 미소장
3 國朝五禮儀 . 미소장
4 大韓禮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도서번호 藏K2-2123 미소장
5 대한매일신보 . 미소장
6 大皇帝陛下卽位禮式儀註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미소장
7 法規類編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도서번호 奎16032. 미소장
8 순조실록 . 미소장
9 순종실록 . 미소장
10 新聞集成明治編年史 . 미소장
11 영조실록 . 미소장
12 儀註謄錄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도서번호 藏K2-2134. 미소장
13 統監府文書 . 미소장
14 通牒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도서번호 奎17822. 미소장
15 皇城新聞 . 미소장
16 La Tribuna Ilustrata 1907년 8월 4일자. 미소장
17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 서울: 돌베개, 2011. 미소장
18 안창모. 덕수궁 . 서울: 동녘, 2009. 미소장
19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 서울: 태학사, 2000. 미소장
20 이태진 등. 백년 후 만나는 헤이그 특사 . 서울: 태학사, 2008. 미소장
21 임미선.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의 사적 전개 . 서울: 민속원, 2011. 미소장
22 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 . 국립고궁박물관, 2010. 미소장
23 조광 편(정교 저). 대한계년사 8 . 서울: 소명출판, 2005. 미소장
24 楢崎桂園 著. 韓國丁未政變史 . 京城: 日韓書房, 1907. 미소장
25 김문식·송지원. “국가제례의 변천과 복원.” 서울 20세기 생활문화 변천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미소장
26 세손 정조의 대리청정 소장
27 高宗의 皇帝 登極儀에 나타난 상징적 함의 소장
28 목수현.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 상징물.”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29 민경찬.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대한제국 애국가’를 생각하며.” 한국음악평 론 (서울: 한국음악평론가협의회, 2010). 미소장
30 이경미.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31 Transactions : The First Perspective on Western-style Court Costumes in the Late 19th Century of Joseon Dynasty -Through the Problems Receiving the New Styled Credential- 소장
32 대한제국기 서구식 문관 대례복 제도의 개정과 국가정체성 상실 소장
33 The System of the Royal Music Institute掌樂機關 of Daehanjeguk 大韓帝國 소장
34 Study on Military Bands 軍樂隊 at the Age of the Daehan Empire 大韓帝國 소장
35 이정희. “개항기 근대식 궁정연회의 성립과 공연문화사적 의의.”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36 The Commemoration Event and Music of Konwonjol during the Great Imperial Korea 소장
37 윤소영. “한국통감부의 궁내부 해체와 변용.”, PDF파일. 미소장
38 장두식. “근대결혼제도 정착과정과 소설의 관련양상 연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중점연구소 연구과제 학술회의 자료집: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 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 Ⅵ (죽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1). 미소장
39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40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미소장
41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 미소장
42 이지선의 일본전통문화. .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