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검사의 기소유예처분에 대한 헌법소원 인용결정의 비판적 검토 / 이경렬 1

【초록】 1

I. 들어가는 말 3

II. 헌법재판소 2010.10.28.자 2008헌마629 결정(기소유예처분취소) 5

1. 사건의 개요 5

2. 피의사실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단 5

3. 간단평석 6

III.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의 법률효과 8

1. 학계의 입장 8

2. 대법원판례의 태도와 그 분석 10

3. 대상사건에의 적용 13

IV. 헌법재판소 2008헌마629 결정의 의미와 영향 16

1. 불기소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의 도입 16

2. 헌법소원심판 인용결정의 효력 - 기소편의주의·독점주의와 관련하여 18

3. 헌법소원심판 인용결정의 기속력 범위 - 기속력의 주관적 대상과 객관적 범위와 관련하여 21

V. 결어 24

■ 참고문헌 27

【ABSTRACT】 29

초록보기

 이글에서는 헌법재판소 2008헌마629 결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재판소원을 허용하지 않는 현행법제하에서 검사의 기소유예처분에 대해 헌법소원을 인정하는 경우에 야기될 의문들을 제시하고 이의 해결책을 제안하려고 하였다.

헌법재판소 2008헌마629 결정은 검사의 (협의의) 불기소처분에 대한 고소인의 헌법소원 심판과는 달리 검사의 적극적인 공권력행사(기소유예처분)에 관한 피의자의 헌법소원이라는 점에 특색이 있다. 이론적으로는 헌법소원의 전제가 된 피의사실이 (종래 형법학에서 주요쟁점의 하나로 취급되어 왔지만 형사실무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이른바 '교과서범죄'의 전형, '오상방위' 내지 위법성조각사유의 (객관적) 전제사실의 착오에 관한 법적 평가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에도 특이성이 있다.

이글에서는 헌법재판소 2008헌마629 결정의 결정이유에 관하여 먼저,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의 착오에 관하여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의 판단과 달리 검사의 기소유예처분이 엄격책임설의 입장에 연유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을 적시하였다. 헌법재판소판단의 당부에 관한 판단은 이런 유형의 착오에 직면한 형사실무가 형법 제15조 및 제16조의 해석·적용에 있어서 어떤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가 제공할 것이다.

다음으로 헌법소원심판의 효력과 관련하여, 기소유예처분을 취소하라는 헌법소원의 인용결정에 따라 피청구인인 검사가 청구인에게 불기소처분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그 결정이유에서 밝힌 바와 같이 미진한 수사를 재기보완하고, 만일 기소유예처분이 부당하여 공소를 제기함이 상당한 경우에는 새로이 기소처분을 할 수 있는지의 의문이다. 이는 헌법재판소의 인용결정에 그 주문을 넘어 결정의 이유에도 기속력이 인정되는 것인가와 관련이 있다. 이 의문에 대해서는 검사의 소추재량권에도 내재적인 한계가 있는 합목적적인 자유재량으로 이해함으로써, 만일 그 행사에 영향을 끼친 현저한 수사미진과 중대한 사실오인 또는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은 경우, 헌법재판소에 의한 법적 규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이 문제의 심각성을 배가시키는 것은 오히려 인용결정의 기속력이 아니라 그 기속력의 범위에 관한 것이다. 헌법소원심판의 기속력이 결정의 주문에만 미치는지, 아니면 인용결정의 이유에도 기속력이 미치는 것인가가 논의되어 왔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헌법의 최고규범성과 법적 명확성과 통일성의 규제를 위하여 헌법재판소 결정의 기속력은 핵심적인 결정이유에 미칠 뿐만 아니라 결정이유에 대한 기속력은 헌법 또는 헌법재판제도에서 도출되는 것으로 이를 배제하는 것이 위헌이라고 결론지었다. 물론, 결정이유에 기속력을 인정하더라도 결정주문과 함께 활용되거나 될 때에만 인정되고 단독으로는 기속력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통상적인 검찰실무에 따라 재기수사를 한다면, 오상방위의 법리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존중하고 따라야 하는 것인지가 문제이다. 형법은 오상방위(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의 착오)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규정하지 않았으며 더욱이 폭행의 죄에 대하여는 과실범처벌규정을 두고 있지도 않다. 이런 유형의 착오의 법적 효과에 대하여, 학계의 주장내용과 헌법재판소의 판단 사이에 중대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헌법재판소는 이 사건 착오를 법적으로 평가하여 그 어느 견해에 의하더라도 책임'조각'되어 청구인이 처벌받을 여지가 없다고 하지만 학계·판례의 입장에 의하면, 책임'감경' 내지 책임'감면'의 효과가 인정된다고 볼 여지가 있다고 한다. 이처럼 헌법재판소 2008헌마629결정의 이유에는 위법성조각사유의 객관적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의 법률효과와 관련하여, 학설의 주장내용과 그 어느 견해에 근거한 헌법재판소 자신의 규범적 판단이 혼재되어 있으며 헌법소원의 심판대상이 된 당해 기소유예처분을 행한 검사의 판단기초나 과정, 나아가 그 이유에 대하여 고려하지 못한 잘못이 있다. 이는 헌법재판소가 증거와 사실관계에 대한 조사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지위에 있지도 않고 대부분 수사기록상 현출된 사실관계 및 법령의 적용에 대해서만 자의금지의 측면에서 심사하는데 불과한데서 연유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법인 아닌 사단의 재산관계 규율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정병호 pp.1-31

보기
온라인 게임 퍼블리싱 계약의 법적 성질과 당사자간 법률관계 황태희 pp.33-54

보기
폐경기 이후 고령출산의 법적 제 문제 이은영 pp.55-83

보기
친권행사에 있어서의 공동대리 사동천 pp.85-110

보기
인간존엄의 비교법적 고찰과 그 시사점 강승식 pp.111-140

보기
검사의 기소유예처분에 대한 헌법소원 인용결정의 비판적 검토 이경렬 pp.141-170

보기
이탈리아헌법과 협동조합법제 김정현 pp.171-198

보기
미국 사립대학내 언론의 자유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이노홍 pp.199-230

보기
장애판정제도에 따른 복지서비스에 관한 법적 고찰 김명수 pp.231-266

보기
민법 제646조 임차인의 부속물매수청구권의 임의규정화 제안 김서기 pp.267-285

보기
안전조치의무위반죄의 성립요건과 형사책임 :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를 중심으로 우희숙 pp.287-311

보기
현주건조물등방화죄의 해석상 몇 가지 논점에 대한 연구 박상진 pp.313-336

보기
현행범인체포에 있어서 준현행범인의 인정여부 송승현 pp.337-363

보기
형사증거법의 재조명. 1, 전문법칙과 불일치진술 김희균 pp.365-389

보기
사인 작성 진술서면의 증거능력 최병각 pp.391-417

보기
형사법상 합리적 의심에 관한 연구 강동우 pp.419-443

보기
강제추행죄의 구성요건 중 강제추행의 의미와 그 판단기준 조현욱 pp.445-470

보기
사립학교 교비회계 자금의 용도외 사용과 횡령죄 성립여부 황병돈 pp.471-498

보기
환경정의와 리스크규제에 관한 연구 김은주 pp.499-529

보기
치안활동에 있어서 민간참여의 가능성과 한계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상해 pp.531-552

보기
인터넷 내용규제와 지배구조 모델에 관한 연구 임영덕 pp.553-580

보기
규제행정법상의 경제적 효율성에 대한 고찰 : 규제행정법의 경제적 분석을 위한 경제학적 방법론의 기초 김판기 pp.581-618

보기
附款 統制로서의 진정일부취소소송 활용에 관한 小考 이상천 pp.619-648

보기
韩国个人信息保护的行政手段 : 以 ≪个人信息保护法≫ 中的 '个人信息影响评价'和 '实效性保障手段' 为中心 郑然富 pp.649-668

미국법상 경찰권 행사의 근거와 한계 : 「경찰관직무집행법」의 원리적 해석을 위한 시론 송시강 pp.669-699

보기
주주의 회계장부열람청구권의 활용 및 그 한계 : 우호적 M&A시 주식발행회사 노조의 실사 비협조시를 중심으로 윤은경 pp.701-723

보기
FCPA's legacy for multinational corporations : foreign officials can come in many guises Lydia Kang pp.725-762

보기
상법상 항공운송인의 책임의 제한에 관한 연구 : 지상 제3자에 대한 책임의 제한을 중심으로 주강원 pp.763-789

보기
국제기구 2차 규범의 국내이행과 적용 정경수 pp.791-820

보기
위험사회에서의 책임구조 : 자연 재해에 대한 법적 담론 김영환 pp.821-842

보기
유류분제도 시행 전 증여된 재산에 대한 유류분반환 : 대법원 2012.12.13. 선고 2010다78722 판결 정구태 pp.843-866

보기
부가가치세법상 비과세 사업관련 매입세액공제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11.9.8. 선고 2009두16268 판결 평석 김석환 pp.867-899

보기
전자장치부착법 부칙조항 합헌결정에 대한 비판적 분석 : 헌법재판소 2012.12.27. 2010헌가82와 2011헌바89결정 이인영 pp.901-936

보기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RIGHT TO PROSECUTE OF PUBLIC PROSECUTOR 소장
2 고경희·이진국, 검사의 불기소처분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6년 12월. 미소장
3 김성돈, 형법각론, 제2판, SKKUP, 2009년 2월. 미소장
4 김성돈, 형법총론, 제2판, SKKUP, 2010년 9월. 미소장
5 김일수·서보학, 형법총론, 제11판, 박영사, 2006년 2월. 미소장
6 김재봉, “형법 제310조와 의무합치적 심사”, 형사판례연구(8), 박영사, 2000년 6월, 202면 이하. 미소장
7 憲法裁判所와 司法府 소장
8 남복현, “헌법불합치결정을 둘러싼 현안”, 법률신문, 제4003호, 2012년 1월 30일 (http://www.lawtimes.co.kr/LawPnnn/Pnnyn/PnnynContent.aspx?serial=2067). 미소장
9 법무부, 개정 형사소송법, 2007년 6월. 미소장
10 배종대, 형법총론, 제8전정판, 홍문사, 2005년 8월. 미소장
11 배종대 외 3인, 신형사소송법, 제4판, 홍문사, 2012년 2월. 미소장
12 손동권, 형법각론, 개정판, 율곡출판사, 2005년 3월. 미소장
13 손동권, 형사소송법, 세창출판사, 2008년 4월. 미소장
14 신동운, 판례백선 형법총론, 개정증보판, 경세원, 1998년 10월. 미소장
15 신양균, 신판 형사소송법, 화산미디어, 2009년 6월. 미소장
16 신양균, 형사소송법, 제2판, 법문사, 2004년 8월. 미소장
17 오영근, 형법총론, 제2판, 박영사, 2009년 3월. 미소장
18 이기철, “헌법재판소결정은 주된 이유에도 기속력이 미치는가?”, 한양법학 제13집, 한양법학연구회, 2002년 12월, 63면 이하. 미소장
19 이덕연,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둘러싼 헌재와 대법원의 충돌”, 법률신문 제3739호, 2009년 4월 20일(http://www.lawtimes.co.kr/LawPnnn/Pnnyn/PnnynContent.aspx?serial=1896). 미소장
20 이상규, “헌재와 대법원의 갈등?”, 법률신문 제2659호, 1998년 1월 1일, 15면 이하. 미소장
21 이재상, 신형사소송법, 제2판, 박영사, 2010년 2월. 미소장
22 이재상, 형법총론, 제6판, 박영사, 2008년 2월. 미소장
23 이재상, 형사소송법, 제5판, 박영사, 1997년 6월. 미소장
24 이정원, 형법총론, 제3판, 법지사, 2004년. 미소장
25 임동규, 형사소송법, 제6판, 법문사, 2009년 7월. 미소장
26 임웅, 형법총론, 개정판 제2보정, 법문사, 2008년 11월. 미소장
27 정성근·박광민, 형법총론, 제5판, 삼영사, 2011년 3월. 미소장
28 정종섭, 헌법소송법, 박영사, 2002년. 미소장
29 The legitimate reason and the possibility of excluding the illegality 소장
30 차용석·최용성, 형사소송법, 제3판, 21세기사, 2008년. 미소장
31 하태훈, “상관의 명령에 복종한 행위”, 형사판례연구(9), 박영사, 2001년 6월, 167면 이하. 미소장
32 한수웅,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의한 헌법소원심판에서 한정위헌결정의 문제점”, 홍익법학, 제8권 제2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년 8월, 137면 이하. 미소장
33 허영, 헌법소송법론, 제6판, 박영사, 2011년 2월. 미소장
34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 20년사, 2008년 7월. 미소장
35 황도수,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관계 –헌법재판소의 위헌법률심판권과 법원의 법률해석권-”, 고시계 97/5, 81면 이하. 미소장
36 Fischer, Thomas, Strafgesetzbuch, 56. Aufl., C. H. Beck, 2009. 미소장
37 Schlach, Klaus, Das BVerfG, 2. Aufl., 199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