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전통적인 장소의 변화와 '비장소(non-place)'의 등장 : 마르크 오제의 논의와 적용사례들을 중심으로 / 정헌목 1
1. 머리말 1
2. 장소(place)와 공간(space) 5
3. '비장소'의 공간들 11
4. '비장소' 개념의 적용과 비판 16
5. 맺음말: '비장소'의 상대성과 한국사회에의 적용 22
참고문헌 28
[요약] 34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젠더'와 트랜스섹슈얼리즘 : 성전환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인류학에 대한 성전환적 연구 | 이강원 | pp.5-39 |
|
보기 |
시간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고찰 : 전통적 시간과 근대적 시간의 대조를 중심으로 | 안주영 | pp.41-82 |
|
보기 |
費孝通 人類學의 방법론적 검토 : <江村經濟> 정독하기 | 전경수 | pp.83-106 |
|
보기 |
전통적인 장소의 변화와 '비장소(non-place)'의 등장 : 마르크 오제의 논의와 적용사례들을 중심으로 | 정헌목 | pp.107-141 |
|
보기 |
티모시 애쉬의 '인도네시아 민족지영화' : <발리의 강신의례>와 <저로가 저로를 말하다>를 중심으로 | 이기중 | pp.143-182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양차미 2012 “비장소로서의 도시 카페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Consilience of Knowledge and Anthropology | 소장 |
3 | 유일상 2011 “초국적 공간의 구성과 이주 전략: 국내 인도네시아 노동자의 사 례”,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이길호 2011 “사이버스페이스의 인류학: 존재, 행위, 장소”, 인류학의 위치를 묻다 , 2011 한국문화인류학회 하반기 학술대회 자료집, pp.233- 247. | 미소장 |
5 | Urban Machine Space as (Non-)Place: Interpreting Semiotic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in Daegu | 소장 |
6 | 골목길과 광장 및 공원 : 도시에서의 '우리 동네' 형성에 관한 인류학적 에세이 | 소장 |
7 | Agamben, Giorgio 2008[1995] Homo Sacer: Il Potere Sovrano e la Nuda Vita, 박진우옮김,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 서울: 새물결. | 미소장 |
8 | Introduction: Place and Voice in Anthropological Theory ![]() |
미소장 |
9 | Appadurai, Arjun 1996 “The Production of Locality,” in A. Appadurai, Modernity at Larg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178-200. | 미소장 |
10 | Non‐place and placelessness as narratives of loss: Rethinking the notion of place ![]() |
미소장 |
11 | Augé, Marc 1995 Non-Places: Introduction to an Anthropology of Supermodernity, trans. by J. Howe, London & New York: Verso. | 미소장 |
12 | Bachelard, Gaston 1969 The Poetics of Space, Boston: Beacon Press. | 미소장 |
13 | Berland, Jody 2005 “Place,” in T. Bennett, L. Grossberg, and M. Morris, eds., New Keywords: A Revised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Oxford: Blackwell, pp.256-258. | 미소장 |
14 | Bolter, J. David & Richard Grusin 2006[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이재현 옮김, 재 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15 | Bourdieu, Pierre 1977 Outline of Theory of Practice, trans. by R. N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6 | Casey, Edward 1997 The Fate of Place: A Philosophical Histor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17 | Castells, Manuel 2000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Malden: Blackwell. | 미소장 |
18 | Spaces of Immigration "Prevention": Interdiction and the Nonplace ![]() |
미소장 |
19 | Debord, Guy 1977 Society of the Spectacle, Detroit: Black & Red. | 미소장 |
20 | De Certeau, Michel 1984 Practice of Everyday Lif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21 | Eliade, Mircea 1998[1957] Das Heilige und das Profane, 이은봉 옮김, 성과 속 , 서울: 한길사. | 미소장 |
22 | Feld, Steven & Keith H. Basso (eds.) 1996 Senses of Place, Santa Fe: School of American Research Press. | 미소장 |
23 | Fernandez, James 1984 “Emergence and Convergence in some African Sacred Places,” in M. Richardson, ed., Place: Experience and Symbol, L.A.: Geoscience Publications, pp. 31-42. | 미소장 |
24 | Foucault, Michel 1980 “Questions on Geography,” in Colin Gordon, ed., Power/ 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New York: Pantheon Books, pp. 63-77. | 미소장 |
25 | Of Other Spaces ![]() |
미소장 |
26 | Foucault, Michel 2003[1975] Surveiller et punir: Naissance de la prison, 오생근 옮김,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 , 서울: 나남출판. | 미소장 |
27 | Foucault, Michel 2004[1976] Histoire de la sexualite: Tome 1 La volonte de savoir,이규현 옮김, 성의 역사 1: 앎의 의지 , 서울: 나남출판. | 미소장 |
28 | Gupta, Akhil & James Ferguson 1992 “Beyond “Culture”: Space, Identity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Cultural Anthropology 7(1): 6-23. | 미소장 |
29 | Hall, Edward T. 1966 The Hidden Dimension, Garden City: Doubleday. | 미소장 |
30 | Revisiting the nonplace Urban Realm: Have we come full circle? ![]() |
미소장 |
31 | Harvey, David 2005[1989]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구동회․박영민 옮김, 포스트모더 니티의 조건 , 파주: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32 | Heidegger, Martin 1958 “An ontological consideration of place,” in M. Heidegger, The Question of Being, New York: Twayne Publishers. | 미소장 |
33 | Hirsch, Eric 1995 “Landscape: Between Place and Space,” in E. Hirsch & M. O'Hanlon, eds., The Anthropology of Landscape: Perspectives on Place and Space, Oxford: Clarendon Press, pp. 1-30. | 미소장 |
34 | Latour, Bruno 2007 Reassembling the Social: an Introduction to Actor-Network The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5 | Latour, Bruno 2009[1993] We Have Never Been Modern, 홍철기 옮김,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 서울: 갈무리. | 미소장 |
36 | The Built Environment and Spatial Form ![]() |
미소장 |
37 | Lefebvre, Henri 1991 The Production of Space, trans. by D. Nicholson-Smith, Oxford: Blackwell. | 미소장 |
38 | Levi-Strauss, Claude 1987[1963] Structural Anthropology, 김진욱 옮김, 構造人類學 , 서 울: 종로서적. | 미소장 |
39 | Airport Technology, Travel, and Consumption ![]() |
미소장 |
40 | Low, Setha M. 1996 “The Social Production and Social Construction of Public Space,” American Ethnologist 23(4): 861-879. | 미소장 |
41 | Low, Setha M. 2000 On the Plaza: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and Culture,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 미소장 |
42 | Low, Setha M. & Denise Lawrence-Zúñiga 2003 “Locating Culture,” in S. Low & D. Lawrence-Zúñiga, eds., The Anthropology of Space and Place: Locating Culture, Malden: Blackwell Pub., pp. 1-47. | 미소장 |
43 | Malinowski, Bronislaw 1935 Coral gardens and their magic: a study of the methods of tilling the soil and of agricultural rites in the Trobriand Islands, New York: Dover Publications. | 미소장 |
44 | Merriman, Peter 2004 “Driving Places: Marc Augé, Non-places, and the Geographies of England's M1 Motorway,” Theory, Culture & Society 21 (4/5): 145-167. | 미소장 |
45 | Meyrowitz, Joshua 1985 No Sense of Place: The Impact of Electronic Media on Social Behavio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6 | Excluded Spaces: The Figure in the Australian Aboriginal Landscape ![]() |
미소장 |
47 | Relph, Edward 2005[1976] Place and Placelessness,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옮김, 장소와 장소상실 , 서울: 논형. | 미소장 |
48 | BARING LIFE AND LIFESTYLE IN THE NON-PLACE ![]() |
미소장 |
49 | Soja, Edward W. 1997[1989] Postmodern Geographies: The Reassertion of Space in Critical Social Theory, 이무용․구동회․이정욱․정병순 옮김,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 서울: 시각과 언어. | 미소장 |
50 | Tuan, Yi-Fu 1977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inneapolis: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미소장 |
51 | Webber, Melvin M. 1964 “The Urban Place and the Nonplace Urban Realm,” in M. Webber et al., Explorations into Urban Structure,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p. 79-153. | 미소장 |
52 | Mobilizing Place: Mobile Media, Peripatetics, and the Renegotiation of Urban Places ![]() |
미소장 |
53 | 오마이뉴스, “행복한 마을에는 벽화가 있다”, 2009년 10월 20일자.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