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꼬르네이 추꼽스끼 동화의 뻬쩨르부르그 테마 : 동화 『악어』와 『깨끗이 씻자』에 나타난 공간을 중심으로 / 곽해미 1
국문요약 1
I. 서론 2
II. 본론 3
1. 비평가 추꼽스끼의 『체홉에서 현재까지』에서 나타난 뻬쩨르부르그 테마 3
2. 동화 『악어』에 나타난 공간 뻬쩨르부르그 8
3. 동화 『깨끗이 씻자』에 나타난 뻬쩨르부르그 테마 11
III. 결론 18
참고문헌 20
Резюме 22
꼬르네이 추꼽스끼는 1905년 오데사에서 뻬쩨르부르그로 상경하여 문학비평가로 활동하면서 뻬쩨르부르그 문학가의 작품에 대한 일련의 논문을 모아 『체홉에서 현재까지』라는 논문집을 발표한다. 여기에서 그의 뻬쩨르부르그에 대한 사유는 이 도시에 대한 시와 시인들의 문화적 의식의 반영으로 찾아낸 정신적-윤리적 변형에 대한 숙고와 결합하여 발전되었고, 러시아 고전 작품을 접하면서 추꼽스끼를 매료시킨 뻬쩨르부르그 테마는 그의 창작 라이트모티프 중 하나가 된다. 이런 의미에서 1917년 발표된 추꼽스끼의 첫 동화 『악어』는 그의 비평 활동의 연장이었다. 『악어』에 나타난 뻬뜨로그라드는 억압과 박해를 상징하는 도시로 도스또옙스끼의 풍자 중편 『악어, 이상한 사건, 혹은 아케이드 안의 아케이드』와 비교될 수 있는데, 두 작품에서 악어는 도시의 희생물로 ‘욕조 (ванна)와 물통 (лохань)’으로 비유되는 뻬쩨르부르그에서 죽어가고 있다.
1923년 발표된 『깨끗이 씻자』는 독특한 ‘지리적’ 특성을 담보한 구체적인 뻬쩨르부르그 공간에서 사건이 일어난다. 이 공간적 형상들은 ‘최상의 의미와 목표와 관계하는’ ‘종합적인 초텍스트 (синтетический сверхтекст)’를 이루면서 직관적 이해의 도움이나 자기화시킨 뻬쩨르부르그의 형상들을 활성화하여 새로운 에너지를 행위 안으로 끌어들이는, 더 높은 리얼리티로 이르게 한다. 씻지 않는 아이의 센나야 광장과 사도바야 거리 도주는 도스또옙스끼 『죄와 벌』의 주인공의 이동 경로와 관련된다. 주인공이 일정한 지리적 경로를 거쳐 귀환하는 것은 라스꼴리니꼬프가 죄인에서 속죄 받은 자로 변화하는 것처럼, 추꼽스끼의 동화에서는 ‘더러운 아이/씻지 않는 아이’에서 ‘깨끗한 아이/씻는 아이’로 변화하는 것과 유사하다. 또한 따브리체스끼 공원은 지상 천국의 비의적인 변형 공간으로서 인간의 영혼이 변화하는 곳으로 상징주의 시인들에 의해 상징화되었는데, 추꼽스끼의 동화에서는 이 공원에서 부지깽이를 삼킨 악어의 꾸지람을 듣고 집으로 돌아가서 깨끗이 씻게 된다. 센나야 광장과 사도바야 거리, 그리고 따브리체스끼 공원 등 『깨끗이 씻자』의 구체적인 뻬쩨르부르그 공간은 함축적인 의미를 가지는 뻬쩨르부르그 형상들이다. 이렇듯 『악어』와 『깨끗이 씻자』의 뻬쩨르부르그 공간은 러시아 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유사성이 나타나며, 이런 식으로 형식화된 텍스트들은 그 고유의 경계를 넘어 텍스트 외적인 것과의 연관으로 ‘종합적인 초텍스트’를 이룬다.
Данная статья посвящена анализу темы Петербурга в литературно-критическом и художественном творчестве автора. Эмоциональная окращенность мыслей и оценок петербургской жизни в раннем творчестве Чуковского формировалась под сильным влиянием литературной образности, почерпнутой им у русских классиков. В литературно-творческом воображении автора тема города наделялась устойчивым-комплексом тем, мотивов и эстетических оценок.
В статье исследуются рецепция и образное отражение петербургской темы в ранней критике и К.И. Чуковского и первой стихотворной сказке ≪Крокодил≫ в сопоставлении с повестью Достоевского ≪Крокодил, необыкновенное событие или пассаж в Пассаже≫ и приходим к выводу, что сказка Чуковского во многом продолжает традицию классической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согласно которой Петербург воспринимается как пространство, где образное единство реального и фантастического оказывается устойчивым свойством.
В статье рассматриваютс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е образы сказки К.И. Чуковского ≪Мойдодыр≫, обладающие своеобразными ≪географ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Автор исследует символику топонимического круга, по которому движется главный герой сказки, в сопоставлении с ≪маршрутом≫ Раскольникова, в романе Достоевского ≪Преступление и наказание≫. Возвращение героев по ранее пройденному пути к определенному географическому месту в повествовании является маршрутом ≪преображения≫ ≪от грязнули к чистюле≫ у Чуковского, и движением от греха к покаянию в романе Достоевского.
Таким образом, образы пространства Петербурга являются важнейщим элементом поэтики сказок Чуковского. Сказки《Крокодил》и《Мойдодыр》 заключают в себе целый ряд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х образов, обладающих своеобразными《географ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как реальными, так и воображаемыми. Они получают коннотатмивные значения, оказываются 《синтетическим сверхтекстом》, с которым связываются высшие смыслы и цели.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꼬르네이 추꼽스끼 동화의 뻬쩨르부르그 테마 : 동화『악어』와『깨끗이 씻자』에 나타난 공간을 중심으로 | 곽해미 | pp.3-25 |
|
보기 |
"짧은 이야기(рассказ)"의 미학으로 본 러시아 문학(제정러시아의 체호프와 소비에트러시아의 도블라토프) | 김현정 | pp.27-49 |
|
보기 |
쯔베따예바 작품의 사포 형상에 나타난 젠더관 | 이한주 | pp.51-91 |
|
보기 |
체홉의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에서 사랑테마 연구 | 함영준 | pp.93-112 |
|
보기 |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 사상의 철학적 근원에 대한 고찰 | 박영은 | pp.115-142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Чуковский, К.И. Собр. соч.: В 6 т. Т. 2. М., 1965. | 미소장 |
2 | Чуковский, К.И. Собр. соч. В 15 т. Т. 1. М., 2001. | 미소장 |
3 | Чуковский, К.И. Собр. соч.: В 15 т. Т. 2. М., 2001. | 미소장 |
4 | Чуковский, К.И. Собр. соч.: В 15 т. Т. 6. М., 2002. | 미소장 |
5 | Чуковский, К.И. Собр. соч.: В 15 т. Т. 14. М., 2002. | 미소장 |
6 | 20세기 초 러시아 아동문학에 나타난 입체미래주의의 영향 : 추꼽스끼, 마야꼽스끼, 하름스를 중심으로 | 소장 |
7 | Берман, Д.А. Корней Иванович Чуковский. Биобиблиографический указатель. М., 1999. | 미소장 |
8 | Гаспаров, Б.М. “Мой до дыр” // Новое литературное обозрение. №1. 1992. | 미소장 |
9 | Дилакторская, О.Г. Петербургская повесть Достоевского. СПб., 1999. | 미소장 |
10 | Достоевский, Ф.М. Собр. соч.: В 12 т. Т.5. М., 1982. | 미소장 |
11 | Керлот, Х.Э. Словарь символов. М., 1994. | 미소장 |
12 | Кудряцева, Т.А. Книга для тех, кто не любит читать. СПб., 2006. | 미소장 |
13 | Лотман, Ю.М. “Символика Петербурга и проблемы семиотики города” // История и типология русской культуры. Издательство СПб., 2002. | 미소장 |
14 | Лукьянова, И.В. Корней Чуковский. М.: Молодая гвардия, 2006. | 미소장 |
15 | Маяковский, В.В. Полн.собр.соч. Т.1 в 13 т. 3-е изд. М., 1955. | 미소장 |
16 | Мелетинский, Е.М. Поэтика мифа. М., 2006. | 미소장 |
17 | Неёлов, Е.М. Переступая возрастные границы. Проблемы дет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Петрозаводск, 1976. | 미소장 |
18 | Петровский, М.С. Крокодил в Петрограде // Книги нашего детства. СПб., 2006. | 미소장 |
19 | Письма К. Чуковского разных лет. Вст. статья, публикация и комментарии Л.Крысина // Вопросы литературы. 1972. № 1. | 미소장 |
20 | Пропп, В.Я. Исторические корни волшебной сказки. М., 1998. | 미소장 |
21 | Пропп, В.Я. Морфология волшебной сказки. М., 2003. | 미소장 |
22 | Пушкин, А.С. Избранные сочинения в 2 т. Т. 1. М., 1978. | 미소장 |
23 | Топоров, В.Н. “Петербург и «Петербургский текст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 Топоров, В.Н. Миф. Ритуал. Символ. Образ. Исследования в область мифопоэтического: Избранное. М., 1995. | 미소장 |
24 | Тынянов, Ю.Н. “Корней Чуковский”// Детская литература. №4. 1939. | 미소장 |
25 | Ходель, Р. “Петербургский текст в свете «Трансцендентальнойдиалектики» И. Канта” // Существует ли Петербургский текст? Петербургский сборник. Выпуск. 4. СПб., 2005. | 미소장 |
26 | 《Я люблю Ленинград любовью писателя…》// www.chukfamily.ru | 미소장 |
27 | http://www.nnre.ru/istorija/kniga_peremen_sudby_peterburgskoi_toponimiki_v_gorodsko m_folklore/p3.php | 미소장 |
28 | http://mir24.tv/news/culture/6134848 | 미소장 |
29 | http://www.stihi-rus.ru/1/Nekrasov/18.ht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