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창작시기에 따른 바흐 교회칸타타들의 양식적 발전과정 연구 | 나진규 | pp.11-36 |
|
|
프레토리우스, 마테존, 키른베르거, 그리고 정량기호체계(Mensuration) 전통 | 이가영 | pp.37-61 |
|
|
페루치오 부조니와 고전주의 | 신혜수 | pp.63-91 |
|
|
구조분석과 해석학적 접근의 상호작용 : 쇼팽의 마주르카 Op. 50/3을 중심으로 | 송무경 | pp.93-131 |
|
|
초기한국교회음악과 여성 | 손금숙 | pp.133-159 |
|
|
≪율리시즈의 귀향≫에 대한 새로운 해석 : '무'의 관념과 익명학회에 근거하여 | 정의경 | pp.163-188 |
|
|
'케이지 우연성음악'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동아시아 철학 수용의 문제를 중심으로 | 강나원 | pp.189-216 |
|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발전부의 구성요소 : 화성, 조성 그리고 구상의 상관관계 | 김선아 | pp.217-24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영미. “Bach Cantata No. 4의 분석.” 『고신대학교 논문집』제21집 (1994): 151-188. | 미소장 |
2 | A Study on the Parody-Problem in Bach's Weihnachts-Oratorium | 소장 |
3 | 박을미. 『서양음악사 100장면(1)』. 서울: 가람기획, 2001. | 미소장 |
4 | Bach’s Ritornello: Considering the Opening Choruses of Cantatas 8, 180, and 1 | 소장 |
5 | 바흐의 칸타타에 나타난 숫자 상징 연구 ![]() |
미소장 |
6 | Bach, Johann Sebastian. Neue Ausgabe sämtlicher Werke, Serie I. Herausgeben von Johann-Sebastian-Bach-Institut, Göttingen und Bach-Archiv, Leipzig. Kassel und Leipzig, 1954-. | 미소장 |
7 | Bach als Wegbereiter ![]() |
미소장 |
8 | Bimberg, Guido. Musik in der europäischen Gesellschaft des 18. Jahrhunderts. Köln, 1997. | 미소장 |
9 | Blankenburg, Walter. “Die Geschichte der Evangelischen Kirchenmusik”, Die evangelische Kirchenmusik . Herausgeben von Erich Valentin und Friedrich Hofmann, 38-106. Regensburg, 1967. | 미소장 |
10 | Blume, Friedrich. Die evangelische Kirchenmusik, Handbuch der Musikwissenschaft Bd. 10. Herausgeben von E. Bücken. Laaber, 1979. | 미소장 |
11 | Blume, Friedrich. “Umrisse eines neuen Bach-Bildes.” Musica 16 (1962): 169-176. 김용환 번역. “새로운 바흐 상에 관한 개요.” 『바흐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들』, (서울: 음악세계, 2007), 153-175. | 미소장 |
12 | Dürr, Alfred. Die Kantaten von Johann Sebastian Bach, Band 1, 2, Kassel 1985. | 미소장 |
13 | Harnoncourt, Nikolaus. Musik als Klangrede . Salzburg und Wien, 1982. 강해근 번역. 『바로크 음악은 말한다』, 서울: 음악세계, 2006. | 미소장 |
14 | Poos, Heinrich. “Johann Sebastian Bach. Der Choralsatz als musikalisches Kunstwerk.” Musik-Konzepte 87 (1995). | 미소장 |
15 | Schweitzer, Albert. J. S. Bach. Leipzig, 1908; Wiesbaden, 1972.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vol. 2, edited by Stanley Sadie. Second Edition. London, New York, 2001. | 미소장 |
16 | Werner-Jensen, Arnold. Reclams Musikführer, Johann Sebastian Bach, Bd. 2: Vokalmusik. Stuttgart, 1993. | 미소장 |
17 | Wolff, Christoph. Johann Sebastian Bach. New York, 2000. 이경분 번역. 『요한 세바스찬 바흐 2』.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7. | 미소장 |
18 | 音樂之友社 編, 『最新名曲解說全集 제23권 聲樂曲 I』. 세광음악출판사 번역.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