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안전한 결혼 이주'? : 몽골 여성들의 한국으로의 이주 과정과 경험 / 김현미 ; 김민정 ; 김정선 1
[요약] 1
I. 문제제기 2
II. 국내 연구 동향 및 제도적 변화 5
III. 몽골의 사회변화와 '결혼이주' 7
IV. 결혼이주 중개 과정 11
1. 여성들의 모집 11
2. 맞선과 합방 13
3. 결혼식과 결혼등록 16
V. 여성들의 이주 경험과 선택 20
1. 새로운 삶의 기획으로서의 한국인과의 결혼 21
2. 자유로운 맞선과 중개 시스템의 혼돈 24
3. 노동이주와 결혼이주의 중첩된 욕망 26
VI. 결론 28
참고문헌 30
〈Abstract〉 34
최근 한국으로 오는 결혼이주자의 수가 증가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짐에 따라, 한국 정부는 결혼 이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지원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이주자들이 국내에 입국하기 전 이주 과정 중에 경험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해서는 한국 관할권 밖의 일로 여겨져 관심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국제이주의 특성상 결혼 이주자들이 한국에서 처하는 어려움 중 많은 부분은 그 근본원인(rootcause)이 출신국으로부터의 이주 과정에서 기인한다. 현재 관행화된 결혼 중개 방식은 비용 전액을 지불하는 남성의 이해와 욕구에 초점이 맞추어져있을 뿐 아니라 최대 이윤의 추구라는 시장 논리에 의해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여성들은 결혼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인권유린에 대해 취약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중개 과정 자체에 내재된 이러한 젠더 불평등은 결혼 후 가족 내에서 여성에게 대한 착취와 극단적인 폭력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중개업을 통해 한국 남성과 결혼한 몽골 여성들의 결혼이주 과정을 분석한다. 중개업에 의해 제공된 허위정보에 의해 여성들이 결혼 과정에서 자유로운 의사결정권을 상당부분 제약받거나 박탈당함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동의’에 이르게 되는지 그 구체적인 과정을 고찰하였다.
한국은 가장 많은 몽골 여성들이 결혼 이주를 하는 국가이다. 2000년부터 2005년 사이 몽골 여성과 한국 남성과의 국제결혼은 총 1,648건으로 몽골 여성의 전체 국제결혼 건수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07년 8월부터 12월까지 약 5개월 간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심층면접을 했고, 10월 22일부터 29일까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시에서 현지 조사를 했다. 몽골 여성들은 사회주의 교육의 영향으로 양성평등의식이 강하고, 한국 남편보다 고학력인 경우가 많지만, 중개업자가 제공한 허위 정보를 믿고 한국에 오는 경우가 많다. 여성들이 결혼 이주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런 허위 정보지만, 한국인과의 결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이들은 결혼 중개 시스템에 큰 저항 없이 참여하게 된다. 여성들의 안전한 이주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현재 한국정부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결혼이민자 ‘정착’과 ‘통합’뿐 아니라, 중개업을 통해 여성들이 한국으로 유입되는 과정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As the number of marriage migrants is rapidly increasing, the government is carrying out various policies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those women. However, it is true that many problems migrants undergo throughout the migration process prior to their arrival in Korea, are not considered the Korean government's territory and therefore poorly recognized. The root-cause of the hardships marriage migrants experience in Korea lies mostly in the women's migration process from their native country to Korea. The way current marriage brokerage works is not only focused on men's interests and desires, but it is also structured by the market. Women are vulnerable in front of the various violations in human rights that occur during the marriage process. Moreover, the gender inequality rooted in the marriage brokerage process itself, sometimes leads to violence and exploitation of women during marriage. This article analyzes the marriage migration process and migration experiences of Mongolian women who have married Korean men through brokerage, and the human rights violation that occurs in the course.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여성적 빈곤, 민주주의와 젠더-거버넌스 : 필리핀 사례를 중심으로 | 허성우 | pp.5-49 |
|
보기 |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과학과 젠더 개념 : 켈러, 하딩, 하러웨이의 논의를 중심으로 | 하정옥 | pp.51-82 |
|
보기 |
제도화 과정과 갈등적 협력의 동학 : 한국의 반(反)성폭력운동과 국가정책 | 신상숙 | pp.83-119 |
|
보기 |
'안전한 결혼 이주'? : 몽골 여성들의 한국으로의 이주 과정과 경험 | 김현미, 김민정, 김정선 | pp.121-155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신, (2007)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몽골학 | 미소장 |
2 | 고현웅, (2005) 국제결혼 중개 시스템 : 베트남, 필리핀 현지 실태조사,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 미소장 |
3 | 김민정, (2006a)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상담 및 지원활동을 통해서 본 한국살이의 어려움 상담사례를 중심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살이 자료집 발표문(2006. 8. 31). | 미소장 |
4 | 김민정, (2006b) 2006년 이주노동자인권연대 주최 정기심포지엄, 정부의 이주정책 돌아보기와 뛰어넘기 자료집 발표문(2006. 11. 2), | 미소장 |
5 | 김민정 ; 유명기 ; 이혜경 ; 정기선, (2006)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 미소장 |
6 | 김선호, (2002) 동아시아의 ‘한류’: 몽골 ‘한류’의 특성과 전망, 동아연구 | 미소장 |
7 | 김이선, (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 미소장 |
8 | 김영옥, (2007) 결혼이민자 여성과 다문화가족, 이화여대아시아여성학센터주최 2007년도 한일연속 심포지움 여성인권의 관점에서 본 이주 결혼 자료집 발표문(2007. 8. 3). | 미소장 |
9 | 김재원, (2006) 상업화된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이주자의 유입에 관한 정부 정책 고찰, 정부의 결혼이민자 가족 정책 다시보기 , 자료집 발표문 | 미소장 |
10 | 김정선, (2007) 공동체 경험을 통해 본 이주 여성의 귀속(belonging)의 정치학 : 한국남성과 결혼한 필리핀 여성들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서울여성영화제 조직위원회 주최 2007년도 제9회 서울여성영화제 국제포럼 제국, 지구화, 아시아 여성들의 이주 자료집 발표문 | 미소장 |
11 | 김지은, (2006) 적응과 세력화의 경계에 선 외국인 아내들 : 농촌 지역의 베트남 결혼이민자 사례연구, | 미소장 |
12 | 김지은, (2007) 한국인 아내 만들기 : 베트남 여성 사례를 통해 본 결혼이민의 제도화, 비교문화연구 | 미소장 |
13 | 김현미, (2006)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 정치학 :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 미소장 |
14 | 김현미, (2007) 국가와 이주여성 :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족’ 만들기의 갈라지는 희망들,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주최 지구지역 시대 지식생산과 여성연구의 도전 학술대회 자료집 발표문(2007. 11. 1-2) | 미소장 |
15 | 김홍진, (2007) 체제전환이후 몽골의 거시경제 성과분석과 전망, 몽골학 | 미소장 |
16 | 두레방, (2005) 국제인신매매방지와 필리핀 여성이주자의 권리향상을 위한 필리핀-한한국 인턴십 프로그램 자료집, | 미소장 |
17 | 문경희,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계기로 살펴보는 다문화주의와 한국의 다문화 현상, 21세기정치학회보 | 미소장 |
18 | 박환영, (2000) 사회ㆍ경제적인 측면에서 본 현대 몽골의 가족과 민속에 대한 일고찰, 한국문화인류학 | 미소장 |
19 | 보건복지부 ,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정책 방안, 미래인력연구원 | 미소장 |
20 | 설동훈,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 미소장 |
21 | 설동훈, (2005) 결혼이민자와 국제결혼 중개업자, 보건복지부 | 미소장 |
22 | 소소마 출란바토르, (2006) 국제결혼 속의 인신매매,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주최 매매혼적 국제결혼 예방과 방지를 위한 아시아 이주여성 전략회의 자료집 발표문(2006. 11. 21-24). | 미소장 |
23 | 소라미, (2007) 결혼이주여성의 인권실태 및 법적쟁점,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주최 국제결혼 이주여성, 쟁점과 전망 국제 학술대회 자료집발표문(2007. 11. 30) | 미소장 |
24 | 위홈(안양전진상 복지관 이주여성쉼터 위흠), (2003) 국제결혼과 여성폭력에 관한 정책제안을 위한 원탁토론회, 국제결혼과 여성폭력에 관한 정책제안을 위한 원탁토론회 자료집 발표문(2003. 6. 4). | 미소장 |
25 | 윤정숙, (2004) 성별화된 이주방식으로서의 국제결혼과 여성에 대한 폭력:필리핀여성과 한국남성의 결혼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창립20주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발표문 | 미소장 |
26 | 윤형순, (2004a)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in: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 | 미소장 |
27 | 윤형숙, (2004b)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주최 10월 심포지움 발표문(2004. 10. 16). | 미소장 |
28 | 이일청, (2006) 지구촌 돋보기 : 몽골 노사관계에 관한 소고: 체제 전환, 중층적 구조, 사회적 교섭, 노동사회 | 미소장 |
29 | 이진안, (2002) 한국과 몽골의 문화 및 교육교류, 몽골학 | 미소장 |
30 | 임안나, (2005) 한국 남성과 결혼한 필리핀 여성의 가족 관계와 초국가적 연망, | 미소장 |
31 | 정기선 , (2007)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가족여성개발원 | 미소장 |
32 | (2006) 제74회 국정과제 회의자료 ,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및 혼혈인.이주자의 사회통합방안 (2006. 4. 26). , 청와대 | 미소장 |
33 | 조은경, (2004) 몽골의 부패 현황 및 반부패정책, 한국부패학회 | 미소장 |
34 | 하밍타잉,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 : 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 미소장 |
35 | 한건수, (2006) 농촌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 미소장 |
36 | 한건수, (2006) 결혼중개업체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 미소장 |
37 | 한국염, (2006) 인신매매성 국제결혼 현황과 과제 , 매매혼적 국제결혼 예방과 방지를 위한 아시아 이주여성전략회의 자료집, | 미소장 |
38 | 홍기혜, (2000)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 미소장 |
39 | CHRD, (2004) Combating Human Trafficking Mongolia : Issue and Opportunities, | 미소장 |
40 | MGEC, (2006) Main finding of “Human trafficking and Sexual Exploitation of Mongolian girls and women survey, | 미소장 |
41 | 몽골사회보장노동부 , (2005) 몽골인의 해외취업현황 실태조사 보고서 (몽골어) , | 미소장 |
42 | (2007) МОНГОЛЫН МЭДЭЭ (Mongolyn Medee) 몽골의 피는 몽골에 있어야 한다 (몽골어)(2007. 10. 2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