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선전벽보의 슬로건 분석 : 역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 홍득표 1

◈ 국문요약 ◈ 1

I. 들어가는 말 2

II. 선전벽보 슬로건 이해 3

1. 선전벽보의 의의 3

2. 선전벽보 슬로건의 역할 4

3. 선전벽보 슬로건의 요건 5

III. 선전벽보 슬로건의 경험적 분석 7

1. 선전벽보 슬로건 현황 7

2. 선전벽보 슬로건의 키워드 분석 10

3. 선전벽보 슬로건의 유형 11

4. 슬로건과 시대정신의 연계 12

5. 슬로건의 특징 14

IV. 맺음말 15

ㆍ참고 문헌ㆍ 17

Abstract 19

초록보기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 선거의 선전벽보 슬로건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슬로건은 무엇보다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표심을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선전벽보의 슬로건에 대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87명의 대선 출마자 중 가용한 55명의슬로건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슬로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가 ‘대한민국’(나라, 한국, 코리아 등), ‘변화’(정권교체, 혁신 등), ‘경제’(살림살이, 일자리, 잘살아 보자 등), ‘서민’(국민, 대중, 민중 등),‘신뢰’(믿음 등), ‘젊음’과 ‘깨끗함’ 순으로 나타났다. 선전벽보 슬로건의 키워드 순위를 보면 대통령 선거의 성격, 국민의관심사, 한국정치의 문제점 등을 이해할 수 있다. 유형별 분석에서는 국민이 공유한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내용, 후보자 개인의 장점을 부각시켜 지지를 호소하는 내용, 자신의지지층을 겨냥한 구호 순으로 나타났다. 역시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기 위하여 국민이 기대하는 가치를 강조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슬로건의 내용 요건으로 효과성과 시대정신을 제시하였으나 효과성 분석은 불가능한 상황이라 슬로건과시대정신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시대정신의 범주로제시한 국가건설과 국민형성보다는 국가발전과 관련된 슬로건이 훨씬 많았다. 또 다른 특징으로 선거홍보 차원에서 화려한 수사를 동원하거나 추상적·상징적 언어의 동원보다는 표심을 움직여 유권자가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직설적인 표현의 슬로건이 많았다. 다음으로 후보가 그리는 미래 대한민국의 모습,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의 슬로건, 여야 후보 간 차이 등의 특징이 발견되었다. 선거 때 내세운 슬로건은 적어도 국정운영의 철학과비전을 담아야 할 것이다. 그 슬로건을 구체화시킨 것이 선거공약이 되고 집권 후에는 국정운영의 플랜과 방향이 되어야 한다. 선거 때 실제 국정운영방향과 동떨어진 구호성 슬로건을 내걸어 유권자의 눈길을 끌고 감성에만 호소하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국민이 원하는 시대정신을 담고, 당선 후 국정운영 프레임으로 삼을 수 있는 슬로건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슬로건은 개인홍보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국민의 마음에 쉽게 와 닿으면서 시대정신을 효과적으로 담아내고 집권 후 국정운영의 기본 프레임으로 작용할 수 있는 상징적이고 구체적이며 압축적인 내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logans found on campaign posters of presidential election. There have been 87 candidates in 1-17th Presidential elections, but 55 slogans are available. Words being used to slogan are Korea, change, economy, people, and trust in order. In terms of slogan pattern, it finds that campaign poster has emphasized mainly on shared values of the people, followed by the candidate himself, and finally the supporters of the candidate. It also finds number of characteristics of the slogan. First, campaign slogan are focused on direct expression to appeal voters instead of retholic, abstract and symbolic words. Second, the slogan shows candidate’s ideal future image of the Korea. Third, slogan has designed to concrete contents. Fourth,slogan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incumbent to those of the opponents. Lastly, outstanding slogan reflects spirits of times, but words in relation to nation-development are more than those of state-making and nation-building.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that campaign slogan has to focus on PR of the candidate and reflection of his political philosophy, as well as providing the framework for overall picture of the national policy.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나무. 2012. “대선승리? 바보야, 문제는 슬로건이야!.” http:// 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41476.html(검색일: 2012. 7. 14). 미소장
2 권형진. 2012. “앞으로 10년 풀어야 할 핵심과제는?”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 25111(검색일: 2012. 7. 26). 미소장
3 韓國政治學에서 「科學的 硏究」의 의미 네이버 미소장
4 김동완. 1992. 대통령을 만든 슬로건 . 서울: 폴리미디어. 미소장
5 김용한. 2009. 선거수첩 . 서울: 가림출판. 미소장
6 김종철. 2012. “시대정신을 담을 슬로건 경쟁 치열···정책은 가물가물.”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541568.html(검색일: 2012. 7. 12) 미소장
7 김창남. 2004. “선거 캠페인과 미디어.” 이동신 외.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이해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pp. 43-69. 미소장
8 김창남. 2007. 선거캠페인의 원리와 실행전략 . 서울: 나남. 미소장
9 김흥순·이원우. 2008. 선거전술전략 . 서울: 청어. 미소장
10 동아일보. 2012. “국민 마음 사로잡을 한마디····대선주자들 슬로건 경쟁.” 7월 7일. 미소장
11 동아일보. 2012. “성난 20대, 지지후보 당선돼도 당장 바꾸지 않을 것.” 7월 30일. 미소장
12 박성혁. 2004. 대한민국 일등광고의 20법칙 . 서울: 생각의 나무. 미소장
13 박양신. 2008. 정치인 이미지 메이킹 . 서울: 새빛에듀넷. 미소장
14 배다연. 2009. “기호학적 분석에 의한 국내외 선거포스터 디자인의 시각 표현요소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서준석. 2007. 이승만과 제1공화국 . 서울: 역사비평사. 미소장
16 서준석. 2008. 대한민국 선거이야기 . 서울: 역사비평사. 미소장
17 아인편집부. 2007. 대통령출마하기 . 서울: 아인. 미소장
18 원용진. 2012. “고단한 시민 삶 반영한 치유 언어로 채워진 슬로건, 가짜 감별해야.” http://media.daum.net/issue/289/newsview?newsId=20120721100005662&issueId=289(검색일: 2012. 7.21). 미소장
19 이성춘. 2008. “역대 대통령 취임사와 국정운영.” 자유공론 . 3월호, pp. 16-23. 미소장
20 이수형. 2010. 일본의 미디어 정치 . 서울: 미래를소유한사람들. 미소장
21 이시훈. 2004. “정치광고.” 이동신 외, pp. 100-139. 미소장
22 임종률. 2001. “정치슬로건이 유권자의 의사결정에 미친 영향: 1948-2000년 대통령 선거 및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정성호 편저. 2004. 선거캠페인과 미디어전략 . 서울: 차송. 미소장
24 정용원. 2009. “선거 포스터의 시각적 구성요소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중앙일보. 2012. “이 시대가 요구하는 한마디 대선 슬로건 전쟁 막 올랐다.” 7월 8일. 미소장
26 최혜실 외. 2007.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 . 서울: 다할미디어. 미소장
27 당면한 시대정신의 탐색 시도 소장
28 “대선후보 선전벽보에 숨은 전략.” 2007.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category_id = QFA&qid=3PIM4&q=%EC%84%A0%EC%A0%84%EB%B2%BD%EB%B3%B4&srchid= NKS3PIM4(검색일: 2012. 7. 11). 미소장
29 Almond, Gabriel A. and G. Bingham Powell. 1966. Comparative Politics: A Developmental Approach. Boston: Little Brown and Co. 미소장
30 Katz, Richard S. 1997. Democracy and Ele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1 Kotler, P. 1991. Marketing Management.(7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미소장
32 Effect of Partisanship o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andidate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