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플래시 기반 교육용 프로그램의 콘텐츠 접근성 준수 현황 분석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이승훈 1

《요약》 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II. 연구 방법 4

1. 분석 대상 4

2. 평가항목 및 평가도구 4

3. 평가 절차 6

4. 자료 처리 7

III. 연구 결과 7

1. 콘텐츠 접근성 사용자 평가 결과 7

2. 인식의 용이성에 대한 주요 오류 유형 및 해결 방안 8

3. 운용의 용이성에 대한 주요 오류 유형 및 해결 방안 13

IV. 결론 17

참고 문헌 20

〈ABSTRACT〉 21

초록보기

이 연구는 에듀넷에서 제공되는 플래시 기반의 교육용 콘텐츠에서 장애인의 정보접근권을보장하기 위한 콘텐츠의 접근성 현황을 알아보고, 플래시 기반의 교육용 콘텐츠 접근성을 구현하는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에, 초등 에듀넷에서제공되는 플래시 기반의 초등학교 4학년 국어과 콘텐츠 25개를 무선표집 하여 콘텐츠 접근성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을 활용하였고, 평가도구로는 익스플로러 9.0과 Microsoft Windows SDK 7.1과 UI Accessibility Checker(AccChecker) 2.0을 사용하였다. 평가는 웹 콘텐츠 전문가 4인이 수동으로 평가하였다. 플래시기반의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인식의 용이성' 영역 6개 항목과 '운용의 용이성' 영역 8개 항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는, 플래시기반의 교육용 콘텐츠 접근성을 구현할 수 있는 실제적 측면에서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contents accessibility of educational contents made by Flash. I selected 25 educational contents of Edunet site and investigated with Korea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2.0.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n accessibility problems of educational contents in respect of the awareness and the operable. In the results, It was a serious problem that there was not alternative texts in the respects of awareness and was not keyboard accessible and focus cues in the respects of operable. We suggested the methods to improve the educational contents accessibility of Edunet sit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원능력개발평가 모형을 기반으로 한 특수교사의 자기장학과 직무성과와의 관계 김소연, 이재원 pp.1-22

보기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한 특수교육 예비교사의 성과기대와 자기효능감 분석 이정은 pp.23-49

보기
중도장애학생의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육의 실제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이미경, 한경근 pp.51-73

보기
플래시 기반 교육용 프로그램의 콘텐츠 접근성 준수 현황 분석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이승훈 pp.75-95

보기
특수교육 음악치료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 2002년부터 2011년까지의 전문 학술지를 중심으로 박소연 pp.97-117

보기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에 대한 담당 교원의 인식 비교 김선미, 정민호, 권택환 pp.119-143

보기
시각장애학교 조명과 색 대비 환경에 대한 저시력학생의 인식과 요구 이태훈, 김동복 pp.145-168

보기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관계 분석 최성규 pp.169-191

보기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에 의한 초등학교 과정 정신지체학생들의 선호곡 조사와 악곡 분석 연구 : 기본교육과정 음악 1의 제재곡을 중심으로 한홍석 pp.193-216

보기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고등교육 형태에 대한 탐색 김주영, 강경숙 pp.217-240

보기
음악활동이 통합 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장혜원 pp.241-266

보기
자기결정학습모형(SDLMI)이 정신지체학생의 주사기 조립작업수행과 기대목표에 미치는 효과 김창호 pp.267-292

보기
상황이야기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성용, 강영택, 이정현 pp.293-319

보기
아스퍼거 장애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과 단일대상연구 효과 크기 적절성 검토 김은경 pp.321-359

보기
The effectiveness of a time delay procedure along with the learn unit on the acquisition of matching pictures to three dimensional objects for three children with autism Ji Kyung Lee, Jiwon Kang pp.361-38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