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책 읽어주는 남자』와 〈더 리더〉 : 소설언어와 영상언어의 비교 / 류진상 1

I. 들어가는 말 1

II. 대중주의 전략과 스타숭배 2

III. 공동체주의와 개인주의 5

IV. 성장소설과 애정영화 9

V. 문맹의 존재론적 역설 12

VI. 소급적 묘사와 현재적 재현 15

VII. 맺는 말 18

참고문헌 20

Zusammenfassung 22

초록보기

In dieser Arbeit werden die wesentlichen Charakteristika des Romans Der Vorleser und des US-amerikanischen Kinofilms The Reader von Stephen Daldry aus dem Jahr 2008 miteinander verglichen. Der Film basiert auf dem 1995 erschienenen deutschen Roman von Bernhard Schlink. Es wird zuerst verglichen, wie es sowohl dem Film als auch dem Roman gelingt, die Auswirkungen des Populismus in unserer Gesellschaft darzustellen. Im Film wird deutlich, inwiefern Kino unvermeidlich vom Mechanismus der hiesigen Hollywood-Produktion abhängig ist. Hiernach vergleiche ich die im Roman und Film dargestellten Weltanschauungen und Ideologien. Der Roman setzt sich mit dem Kommunitarismus auseinander und zeigt, wie Vergangenheitsbewältigung durch die Gemeinschaft funktionieren kann, während der Film eher individualistische Charakterzüge in den Mittelpunkt rückt. Dies wird insbesondere bei der Liebesgeschichte zwischen einem 15-jährigen Jungen und einer 36-jährigen Frau deutlich, dem Hauptthema des Films. Zudem widme ich mich in dem Aufsatz den wesentlichen Motiven des Romans wie Adoleszenz und Analphabetismus. Ich komme durch meine Analyse zu dem Schluss, dass der Roman, hier verstanden als traditionell schöngeistige Literatur (Belletristik), in jedem Fall seinen eigenen inhärenten Wert behalten muss, gerade weil er im Zeitalter von Internet und anderen visuellen Medien in Vergessenheit zu geraten schei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헤세의 음악가 소설『게르트루트』속의 음악 이신구 pp.5-22

보기
헤르만 헤세의『싯다르타』에 나타난 체험을 통한 삶의 발전 조창현 pp.23-39

보기
헤세의『유리알 유희』에 나타난 각성과 책임의 문제 : Vita Contemplativa에서 Vita Activa로 김선형 pp.41-60

보기
묵독과 해석에 관한 연구 : 경험구성주의 문학이론과 18세기 독일의 문학체계를 중심으로 김용현 pp.61-80

보기
죽음의 무도 : 미술적 모티프의 문학적 수용에 관하여 이군호 pp.81-104

보기
바그너의『발퀴레』에 나타난 개인과 공동체 간의 갈등문제 홍명순 pp.105-126

보기
문학 속의 유토피아 : 릴케와 백석과 윤동주 : 시적 주체와 공간의식의 관점에서 김재혁 pp.127-151

보기
젠더학적·문화비판적으로 재조명한 토마스 만의『파우스트 박사』 : 레버퀸의 성적 욕망과 두려움 그리고 좌절과 (자기)파괴를 중심으로 김륜옥 pp.153-187

보기
『책 읽어주는 남자』와 <더 리더> : 소설언어와 영상언어의 비교 류진상 pp.189-210

보기
'기억예술'로서의 여성문학 : 엘프리데 옐리넥의 경우 장순란 pp.211-234

보기
다문화관점에서 본 독일영화 :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와 <미치고 싶을 때>를 중심으로 최석희 pp.235-254

보기
독일 시와 노래의 활용 가능성 정경량 pp.255-272

보기
이미지미학으로서 형식미학. 2, 에두아르트 한스릭의 '음악적 미' 개념을 중심으로 김윤상 pp.273-291

보기
Europäische integration und theoretische überlegungen zu kulturellen unterschieden Kim, Kyunghee pp.293-307

보기
국내의 독일어 교재 분석 : 『대학생을 위한 활용독일어 Ⅰ, Ⅱ』와『Willkommen! Neu』 조한렬, 최문선 pp.309-336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달드리, 스티븐(연출):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DVD), 누리 픽쳐스 2009. 미소장
2 슐링크, 베른하르트(김재혁 옮김): 책 읽어주는 남자, 세계사 1999. 미소장
3 Schlink, Bernhard: Der Vorleser, Zürich 1995. 미소장
4 Schlink, Bernhard(이일범 옮김): The Reader 더 리더, 스크린영어사 2009. 미소장
5 김창우: 영화로 보는 독일문화, 신아사 2008. 미소장
6 문학과영상서사연구회(편): 영화? 영화!-문학의 시각으로 본 영화, 글누림 2006. 미소장
7 로버트 리처드슨(이형식 옮김): 영화와 문학, 동문선 2000. 미소장
8 소벅, 토마스 외(주창규 외 옮김): 영화란 무엇인가, 거름 1998. 미소장
9 야코비, 욜란디(이태동 역): 칼 융의 심리학, 성문각 1978. 미소장
10 오몽 자크 외(강한섭 옮김): 영화학, 어떻게 할 것인가, 열린 책들 1992. 미소장
11 유종호(편): 문학예술과 사회상황, 민음사 1986. 미소장
12 이부영: 분석심리학 - C. G. Jung의 인간심성론, 일조각 1981. 미소장
13 임지현 외: 우리 안의 파시즘, 삼인 2000. 미소장
14 쟈네티, 루이스: 영화의 이해, 현암사 1987. 미소장
15 조창현: 영화로 읽는 독일 및 독일인들 Ⅰ, 한국학술정보 2004. 미소장
16 하우저, 아놀드(백낙청 외 역):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창작과비평사 1984. 미소장
17 Heigenmoser, Manfred: Bernhard Schlink-Der Vorleser, Stuttgart 2005. 미소장
18 Hesse, Hermann: Demian, Frankfurt a.M. 1977. 미소장
19 Köster, Juliane: Bernhard Schlink-Der Vorleser, München 2005. 미소장
20 Möckel, Magret: Bernhard Schlink-Der Vorleser, Hollfeld 2001. 미소장
21 Ostermann, Micha: Aporien des Erinnerns-Bernhard Schlinks Roman der Vorleser, Bochum 2004. 미소장
22 Reisner, Hanns-Peter: Bernhard Schlink-Der Vorleser, Stuttgart 2005. 미소장
23 Tiedemann, Rolf u.a.(Hrsg.): Walter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Ⅰ.2, Frankfurt a.M., 197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