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지리학적 관점의 재해 연구의 중요성과 역할 / 박정재 1

1. 서론 1

1) 재해의 개념 1

2) 연구배경 및 목적 3

2. 재해의 위험성 4

1) 재해로 인한 피해의 심각성 4

2) 재해 사례들 6

3)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 빈도 및 강도 심화-2007년의 전세계 기후를 중심으로 9

3. 재해 관리 12

1) 예방(mitigation) 12

2) 대비(Preparation) 13

3) 대응(Response) 14

4) 복구(Restoration) 14

4. 재해 연구 15

1) 자연과학적인 연구의 필요성 15

2) 인문사회과학적인 연구의 필요성 17

5. 재해연구와 지리학 19

6. 결론 22

참고문헌 26

Abstract 28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GIS를 활용한 과학적 재난관리체계 구축방안 소장
2 「기후변화와 국내외 이상기상현상 및 예측」,『방재정책세미나』 ,소방방재청, 2005. 미소장
3 GIS를 활용한 방재국토 구축 : 재해에 강한 국토 만들기 소장
4 소방방재청, 『자연재해 현황』, 소방방재청, 2008. 미소장
5 각종 기록을 경신한 우리나라의 2007년 기후 및 장기 기후변화 네이버 미소장
6 「자연친화적인 자연재해완화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 • 연구원, 2007. 미소장
7 (2002) Principles of emergency planning and management Oxford. 미소장
8 "The Asian Tsunami: A protective role for coastal vegetation.” science 310. 2002. 643. 미소장
9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Elsevier/Butterworth-Heinemann, 2006 미소장
10 Summary of Major Observations and Conclusions 네이버 미소장
11 Tropical Cyclone Report: Hurricane Katrina: 23 - 30 August 2005.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6. 미소장
12 "Where we have been and where we might go," In Quarantelli E.L. (ed.), What Is A Disaster? London: Routledge. 1998. pp 146-159. 미소장
13 Human contribution to the European heatwave of 2003 네이버 미소장
14 The Chernobyl Forum. Chernobyl's Legacy: Health, Environmental and Socio —Economic Impacts and Recommendations to the Governments of Belarus, the Russian federation and Ukraine, IAEA. 2006. 미소장
15 The City of Kobe. The Great Hanshin —Awaji Earthquake, Statistics and Restoration Progress. 2008. 미소장
16 U.S. House of Representatives. 2006. A Failure of Initiative: Final Report of the Select Bipartisan Committee to Investigate the Preparation for and Response to Hurricane Katrina.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미소장
17 London: a special place in the maritime world's heart 네이버 미소장
18 WMO. WMO statement on the status of the global climate in 2007. WMO. 200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