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복합재료(Mixed-media)의 활용과 현대장신구의 전개 / 남화경 1

[Title] 1

(요약) 2

(Abstract) 2

1. 서론 3

2. 오브제와 현대공예의 전개 3

2-1. 오브제의 등장과 현대공예에 미친 영향 3

2-2. 현대공예의 전개에서 나타난 복합재료 5

3. 현대장신구에서의 복합재료 활용과 오브제의 전개 6

4. 결론 9

참고문헌 10

초록보기

20세기 복합재료와 복합미디어(mixed-media)의 활용은 현대 미술 분야에 매우 큰 도약과 표현 영역의 확대를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장신구의 다양한 전개 양상 중 하나인 오브제성과 복합재료의 활용양상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장신구 작가들의 보다 자유로운 표현양식과 새로운 재료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탐구를 돕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오브제 개념의 등장이 현대 미술사에 미친 영향을 공예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현대 공예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복합재료의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현대 장신구에서 나타나고 있는 경향, 즉 오브제와 복합재료의 활용을 통해 장신구가 더 이상 몸을 치장하는 단순한 장식품이 아니라 작가들의 예술적 감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순수조형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입체파 화가들에 의한 콜라주(collage)기법이 그 시초가 된 오브제 미술은 창작된 오브제를 서로 조합함으로써 복합재료를 활용하는 아상블라쥬(assemblage)미술로 전개되면서 현대 미술의 영역을 변화시켰다. 공예분야에도 실용적 기능이 축소된 조형적 표현으로서의 오브제 공예가 등장함으로써 공예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종류의 매체를 서로 혼합시킨 매체 즉 재료와 또 다른 재료의 복합개념을 어떤 매체에 의해 단일 개념으로 변조시키는 복합재료(Mixed-media)의 활용으로 이어졌다. 장신구 분야 또한 오브제의 등장과 복합재료의 활용이 가져다 준 변화를 통해 재료의 제한이나 기존의 전통적 제작방식을 벗어나 완성된 장신구들이 다양한 작가들에 의해 시도 되면서 현대장신구의 영역이 더욱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tendency of object craft and application of mixed-media shown in the contemporary jewelry art. For this purpose, we need to find out how the concept of object influenced modern art history, focusing on the craft art. Next, we figure out the one of the outstanding features during the development of modern craft art-the application of mixed-media technique. Based on this perspective, a new trend has appeared in the jewelry art, that is, tendency of object craft and application of mixed-media. It means that jewelry are not just ornaments which can adorn human body but fine sculptures which express more effectively the artistic sensibility of the artists. The Object art was originated from a Collage-technique which was created by the cubists in modern art. It has been developed into the assemblage art. The tendency of modern art also had influenced the craft art, so that so called 'Object-Craft Art' had appeared. In this tendency it has necessarily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mixed media or a complex concept, which started from mixing the diverse media or materials, and finally it has been changed into a single concept by the modulation of some media. This historical change in craft art has influenced also the jewelry art, a realm of craft art. Beyond the traditional material limits or making method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in modern jewelry art has been expanded by many experiments and artistic achievemen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동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정아 pp.1-10

보기
M. C. 에셔의 인지적 착시(多시점)가 TV광고에 나타난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이진영, 김헌 pp.11-20

보기
스마트폰을 통한 QR코드 디자인의 마케팅전략 연구 조성태 pp.21-30

보기
바이오미미크리 건축 특성과 컨텍스트 표현 제안 연구 최성경, 문정민 pp.31-41

보기
소리와 자태(字態)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정미네르 pp.43-54

보기
자크라캉의 욕망이론 관점에서 본 관음증에 대한 시각적 해석에 관한 연구 : 정신분석학에 기초한 패션 진(jeans) 영상광고를 중심으로 노현지, 이용일 pp.55-64

보기
아웃도어 플래그쉽스토어를 통한 체험마케팅의 공간표현에 대한 연구 박지혜, 남경숙 pp.65-74

보기
융합시대 디자인 창의성 개념에 대한 고찰 조성환 pp.75-87

보기
제품 아이덴티티(Product Identity : PI)의 조형적 요소와 사용자 인식과의 관련성 분석 : S 사의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김영석 pp.89-102

보기
역사문화미관지구 가로경관의 색채분석 : 수원 역사문화미관지구 행궁로를 중심으로 서주환, 이옥근 pp.103-112

보기
3D 프린터를 활용한 오픈 소스 하드웨어 디자인 : 3D 프린팅의 엔지니어링 디자인 특성 실험 연구 김원섭 pp.113-124

보기
프로젝션 매핑을 이용한 공간의 환영성과 확장성 표현방법 조재준, 이혜영, 이원형 pp.125-133

보기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한자 이미지화와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한자와 형태의 결합을 중심으로 정려화 pp.135-144

보기
영화『스위니 토드』의 타생지연과 카니발리즘 재현에 관한 연구 김효일 pp.145-155

보기
야간경관계획에서 건축물 경관조명 디자인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자치단체의 야간경관계획을 중심으로 김규진, 이주향 pp.157-166

보기
지자체 디자인 행정체제의 수월성 제고방안 연구 석승민, 임헌혁 pp.167-177

보기
복합재료(Mixed-media)의 활용과 현대장신구의 전개 남화경 pp.179-188

보기
VoIP 태블릿 전화기 디자인 : 사용자 환경 연구를 중심으로 김원섭 pp.189-200

보기
정치 포스터에 나타난 프로파간다 유형과 시각적 수사 접근 연구 김연주 pp.201-210

보기
미디어 파사드의 뉴미디어 가능성에 대한 연구 서은선 pp.211-220

보기
에코 디자인 패키지의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정주연, 정지우 pp.221-230

보기
게임의 몰입요소를 고려한 디지털 게임 아트 연구 이혜영, 이원형 pp.231-238

보기
상실과 국제화, 그리고 중국화 : 현대 중국 건축 디자인의 중국화 이상옥 pp.239-247

보기
디자인기반의 '의료인문학' 교육개발을 위한 의학전공 대학생의 창의적 강점 요인 분석 현은령 pp.249-258

보기
패션·제품 융합디자인의 상호보완적 방안 제안을 위한 패션과 제품 디자인의 본질적 특성 분석 최수아 pp.259-270

보기
조선시대 민화에 나타난 전통색 분석 주미경 pp.271-282

보기
농촌지역 제품 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 : 지역특산물·공예품·공예체험상품을 중심으로 최정욱, 서주환, 여화선 pp.283-290

보기
여아를 위한 돌파티 웨어 디자인 개발 변미연, 백민숙 pp.291-300

보기
시각 커뮤니케이션 요소로 분석한 모션그래픽 광고 사례연구 강태임 pp.301-310

보기
스마트폰의 사용자 경험 기반 인터페이스 트렌드 연구 : URL을 활용한 관련 키워드 검색을 중심으로 김선철 pp.311-320

보기
한국 전통적 의미가 함유된 국기원 태권도 공인도복 신규 디자인 개발 최수아 pp.321-334

보기

참고문헌 (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계간미술 편집국, 현대미술용어사전, 중앙일보사, 1989. 미소장
2 디자인하우스, 누벨오브제Ⅰ, 2000. 미소장
3 루시 스미스(저), 김춘일(역), 현대 미술의 흐름,미진사, 1985. 미소장
4 서도식, 현대 공예에 있어서 오브제의 성격,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미소장
5 이근삼, 대중사회에서의 예술, 나남출판, 1998. 미소장
6 A Study on the Aspects of Reception of Mixed media in the Modern Craft Art 네이버 미소장
7 최준자, 장신구의 세계, 예경, 1992. 미소장
8 클레어 필립스, 김숙(옮김), 장신구의 역사, 시공사, 1999. 미소장
9 Amanda Game and Elizabeth Goring, Jewellery Moves, NMS Publishing, 199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