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중국철학사의 탄생 : 20세기 중국철학사 텍스트 성립을 중심으로 / 양일모 1
[목차] 1
【논문 요약】 2
I. 서양철학의 수용과 아시아 지역의 학술 3
II. 소개된 '필로소피' 5
III. 이학·지학·철학 8
IV. 금지된 '철학'과 '철학'의 변론 11
V. '철학'의 복권과 요청된 철학사 14
VI. 중국철학과 중국철학사 16
VII. 중국철학과 민족철학 20
VIII. 맺음말 25
참고문헌 27
〈Abstract〉 28
이글은 아시아 지역에서 만들어진 지역 이름을 단 철학 혹은 철학사의 불안정한 기원을 탐색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우선 중국에서 중국철학사의 탄생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서양철학과 대비되어 중국철학이 학문분과로서 탄생하고 사회적으로 권위를 확립해 가는 과정, 그리고 ‘철학’이라는 한자 번역이 중국어로 정립되고 중국철학사라는 이름을 단 저술이 성립하는 과정에서 야기된 혹은 사상된 문제들을 분석하면서 중국철학의 근대적 기원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명말청초 이래로 중국에 건너온 유럽의 선교사들은 필로소피를 중국에 소개했고, 理學, 性學, 格物窮理 등 중국의 학술 전통에 근거한 다양한 한자 번역어를 고안했으며, 智學, 愛智學 등의 의미를 포함한 번역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중국에서 필로소피의 번역은 20세기를 전후하여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 번역어 ‘철학’으로 정착되었다. 일본으로부터 전래된 철학이라는 번역은 기원의 불온성으로 인해 청대까지의 왕조체제 하에서는 금지되었고 중화민국 성립 이후에야 정치적으로 복권될 수 있었다. 복권의 과정은 서양의 철학과 중국의 전통 학술을 등치시키는 방식이었다.
량치차오를 비롯하여, 셰우량, 후스, 루마오더, 중타이, 펑유란 등 20세기 전반기에 중국철학사를 집필한 중국의 지식인들은 서양철학을 염두에 두고서 중국철학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들은 전통적 교육과 근대적 교육을 동시에 받았으며, 세대의 차이로 혹은 시대적 차이로, 전통과 근대 사이의 진폭의 차이를 드러내면서도 각자 근대적인 중국철학사의 텍스트를 만들어 냈다. 중국철학사라는 텍스트 정립 작업이 분과학문으로서 중국철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서양철학을 의식하면서 중국의 지나간 철학사를 정립하는데 치중한 결과 현실과 미래를 위한 살아 있는 철학을 제시하지 못하는 곤경에 부딪혔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birth of Chinese Philosophy in the early 20th century, inquiring its instability of origin and establishment as a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First, I reviewed Chinese translations for Philosophy’ from late Ming dynasty, secondly searched for intellectual problems caused by building up the texts on A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Since 17th century Jesuit missionaries had devised various Chinese translations on their own terms for the missionary activities, based on the terminology of Confucianism. However, after the 20th century, their goods of idea was changed by the Japanese kanji, tetusgaku(哲學). But the 잭아, tetsugaku, was forbidden due to its impropriety of origin under the rule of Qing Dynasty,
Several authors of A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Xie Wuliang, Hu Shi, Lu Maode, Zhong Tai, Feng Youlan, could not help being deeply conscious of Western philosophy, still using a term tetsugaku. Although their endeavors could be highly evaluated in the point of finding a possibility of Chinese philosophy, it could also be said their texts also ran into a predicament, because of the underlying dilemma of harmonizing the universality and the particularity, or the West and the Chinese nationality.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율곡학파의 이단상 계열이 이해한 '리'의 의미 | 김승영 | pp.1-23 |
|
보기 |
명초 정주학파(程朱學派)의 심학화 경향과 사상적 의의 : 심여리일(心與理一)의 이념과 심신지학(心身之學)의 공부론을 중심으로 | 박길수 | pp.25-67 |
|
보기 |
유표성 이론을 통한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 재해석 : 주자철학의 감정 이해를 중심으로 | 이찬 | pp.69-104 |
|
보기 |
『주역』에 나타난 원형리정(元亨利貞)에 관하여 | 백은기 | pp.105-128 |
|
보기 |
중국철학사의 탄생 : 20세기 중국철학사 텍스트 성립을 중심으로 | 양일모 | pp.129-156 |
|
보기 |
林隱 程復心의 心性說 : 퇴계『聖學十圖』의 관련 내용과 비교하여 | 전병욱 | pp.157-189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심재룡 외, 한국에서 철학하는 자세들, 집문당, 1986. | 미소장 |
2 | 胡適 지음, 송긍섭 외 옴김, 中國古代哲學史,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5. | 미소장 |
3 | 格致彙編, 南京古籍書店, 1992. | 미소장 |
4 | 名理探, 三聯書店, 1959 | 미소장 |
5 | 飮冰室合集, 中華書局, 1989. | 미소장 |
6 | 中江兆民全集, 岩波書店, 1983-6. | 미소장 |
7 | 蔡元培全集, 浙江教育出版社, 1997. | 미소장 |
8 | 天學初函, 臺灣學生書局, 1965. | 미소장 |
9 | 寰有詮, 劉俊文 總纂, 中國基本古籍庫, 北京愛如生數字化技術硏究中心. | 미소장 |
10 | 謝無量, 中國哲學史, 上海: 中華書局, 1916. | 미소장 |
11 | 舒新城 編, 中國近代敎育史資料 上, 人民敎育出版社, 1962. | 미소장 |
12 | 徐宗澤 編著, 明淸間耶蘇會士譯著提要, 中華書局, 1989. | 미소장 |
13 | 王寶平 主編, 日本國志, 上海古籍出版社, 2001. | 미소장 |
14 | 王栻 主編, 嚴復集, 中華書局, 1986. | 미소장 |
15 | 姚凎銘ㆍ王燕 編著, 王国维文集, 中國文史出版社, 1997. | 미소장 |
16 | 陸懋德, 周秦哲學史, 北京: 京華印書局, 1923. | 미소장 |
17 | 張西平, 中國與歐洲早期宗教和哲學交流史, 東方出版社, 2001. | 미소장 |
18 | 鍾泰, 中國哲學史, 商務印書館, 1929. | 미소장 |
19 | 朱有瓛 主編, 中國近代學制史料第二輯 , 華東師範大學出版社, 1987. | 미소장 |
20 | 陳德溥 編, 陳黻宸集, 中華書局, 1995. | 미소장 |
21 | 陳來, 現代中國哲學的追尋-新理學與新心學, 人民出版社, 2001. | 미소장 |
22 | 蔡仲德, 憑友蘭先生年譜初編, 河南人民出版社, 1994. | 미소장 |
23 | 馮友蘭, 三松堂自序, 群言出版社, 1993. | 미소장 |
24 | 馮友蘭, 三松堂全集, 河南人民出版社, 1985. | 미소장 |
25 | 馮友蘭, 中國哲學簡史,北京大學出版社, 1996. | 미소장 |
26 | 馮友蘭, 中國哲學史上卷,商務印書館, 1947. | 미소장 |
27 | Elman, Benjamin A. On Their Own Terms: Science In China, 1550-1900,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