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일제강점기 목포 도시계획의 내용과 특징 : 시구개정과 시가지계획을 중심으로 / 윤희철 1
Abstract 1
1. 서론 2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1.3. 선행연구 3
2. 개항도시 목포의 성장 5
2.1. 목포부의 설치와 도시의 성장 5
2.2. 도시문제의 대두와 기반시설의 확충 6
3. 시구개정과 시가지계획 9
3.1. 목포부의 사구개정(1929년) 9
3.2. 목포시가지계획(1937년) 13
3.3. 소결 18
4. 결론 19
주 20
참고문헌 21
[저자소개] 22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일제강점기 목포 도시계획의 내용과 특징 : 시구개정과 시가지계획을 중심으로 | 윤희철 | pp.1-22 |
|
보기 |
지방 대도시권 소득격차의 변화 패턴에 관한 연구 | 마강래, 강은택, 이원빈 | pp.23-42 |
|
보기 |
도심재생사업을 위한 로컬 거버넌스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 마산합포구를 중심으로 | 김영, 정규식, 천성봉 | pp.43-69 |
|
보기 |
정비사업의 현금청산 판례분석을 통한 법적 주요 쟁점과 정책적 시사점 | 김주진, 김옥연, 정경석 | pp.71-88 |
|
보기 |
공장 개별입지로 인한 난개발의 공간통계학적 모니터링기법 개발 : 비도시지역을 중심으로 | 이경주, 권일 | pp.89-114 |
|
보기 |
동적DCF 및 실물옵션모형에 의한 부산항(북항) 재개발사업의 가치평가분석 | 구태이, 유정석 | pp.115-130 |
|
보기 |
제주도의 관광수요 예측과 대응 | 김형기, 문경종, 이성호 | pp.131-159 |
|
보기 |
공동주택단지 공동체 활성화사업의 효과분석 : 충청남도의 살기좋은 아파트 만들기 사업을 사례로 | 오용준, 윤갑식 | pp.161-177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병기,박종철. (1989). 목포시의 시가지획지분할,합병에 관한 연혁적 고찰, 국토계획, 24(2), pp. 131-155. | 미소장 |
2 | 고석규. (2004).근대도시 목포의 역사,공간,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3 | Colonial Modernity in the Popular Culture of the Modern City of Mokpo | 소장 |
4 |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의 도시화 추이 | 소장 |
5 | 德間一芽. (2010). 개항기 목포 이주 일본인의 도시건설과 도시생활, 전남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목포부. (1930).목포부사. 목포: 목포부. | 미소장 |
7 | 목포시 편. (1987).목포시사. 목포시: 목포시. | 미소장 |
8 | 목포지편찬회 편. (1914).목포지. 목포 : 목포지편찬회. | 미소장 |
9 | 박세훈. (2000). 1920년대 경성도시계획의 성격: 경성도시계획연구회와 ‘도시계획운동’,서울학연구, 제15호, pp. 167-198. | 미소장 |
10 | 박종철,강병기. (1989). 목포 시가지형성과정과 도시계획의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1), pp. 135-155. | 미소장 |
11 | 木浦및 鎭南浦開港 ![]() |
미소장 |
12 | 손정목. (1990).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연구. 서울: 일지사. | 미소장 |
13 | 송석기. (2008). 개항도시 목포와 군산의 구도심 공간 형성과정 비교 -20세기 전반기의 도시확장과 기능 분포를 중심으로-, 大韓建築學會支會聯合論文集, 10(2), pp. 149-158. | 미소장 |
14 | 목포각국 공동거루지의 도시공간의 형성 과정에 관한 고찰 ![]() |
미소장 |
15 | 염미경. (2008). 개항장의 형성과 목포의 식민도시화, 그리고 일생생활의 재편, 호남문화연구, 제42 호, pp. 35-62. | 미소장 |
16 | 염복규. (2009). 일제하 경성도시계획의 구상과 시행.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윤희철. (2011). 시가지계획령(1934-1962)의 성립과 전개에 관한 법제사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Government-General of Joseon`s City Planning Policy Deliberative Committee ![]() |
미소장 |
19 | 이승익. (1993). 개항을 전후한 목포의 경관 및 기능변화, 공주대학교 대학원 지리교육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조선총독부 편. (1937).조선토목사업지. 경성: 조선토목건축협회. | 미소장 |
21 |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Urban tissue in Foreign Settlement of Mokpo Old Town | 소장 |
22 | The Seaport Nature of Mokpo and the Features in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Opening to a Trade Port | 소장 |
23 | 개항기 이후 목포항의 역할과 발전 | 소장 |
24 | 石田賴房. (2004).日本近現代都市計画の展開 1868-2003. 東京: 自治体硏究社. | 미소장 |
25 | 五島寧. (2004). 朝鮮市街地計劃令の立案過程に關する硏究,日本都市計劃學會學術硏究論文集, 제39회, pp. 919-924. | 미소장 |
26 | 原田純孝 編. (2001).日本の都市法 I. 東京: 東京大学出版会.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