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LED 보광 재배에 따른 딸기‘대왕’과‘설향’품종의 과실품질과 생산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11월 10일부터 3월 20일까지의 생육기간 동안 각각의 LED 광인 청색, 적색 그리고 혼합(청색:적색 = 3:7) 광을 17시부터 23시까지 75±5 μmol·m-2·s-1의 광량으로 조절하여 전조하였다. 겨울철 딸기 전조 재배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백열등을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딸기 두 품종에 있어, 생산량은 청색 LED 광에서 증가하였고, 과실 경도와 당 함량은 3종류의 LED 광 모두에서 향상되었다. 반면에 산도는 적색 LED 광에서 가장 높았다. 과실의 안토시아닌 함량에 있어서‘대왕’은 청색과 혼합 LED 광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설향’은 혼합 LED에서 증가하였다. 적색 LED는 유기산에 있어‘대왕’과‘설향’과실에 각각 말산과 옥살산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대왕’ 과실의 페놀화합물 함량은 적색 LED와 대조구인 백열등이 다른 LED 광 처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설향’ 과실은 대조구인 백열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효과적인 생산량과 과실품질을 고려해 볼 때, 겨울철 딸기 재배에 있어 보조광원으로 청색 LED 광이 유리할 것이다.

The effects of supplemental LED lightings on fruit quality and yield of two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cultivars ‘Daewang’ and 'Seolhyang' were determined when blue (441 nm), red (659 nm) and mixed (blue:red = 3:7) LED lights were each supplied daily from 17:00 to 23:00 h, throughout growth period (from Nov. 10 to Mar. 20), with light intensity being adjusted to 75 μmol·m-2·s-1. Incandescent bulbs, which are usually supplemented for winter strawberry cultivation, was used as a control. In both cultivars, blue LED increased yield, and all three types of LEDs enhanced fruit hardness and SSC, while acidity was highest in red LED. Anthocyanin contents in frui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both blue and mixed LED lightings in 'Daewang', while in 'Seolhyang' only by the blue LED, compared to the incandescent bulb control. Blue and mixed LED lights enhanced glucose contents in‘Daewang’ fruit, while did the mixed LED light in 'Seolhyang’ fruit. As for fruit organic acids, red LED significantly increased malic and oxalic acid contents in 'Daewang' and 'Seolhyang', respectively. In 'Daewang', fruit phenolic compounds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ed LED or incandescent bulb control than other LED treatments, while in‘Seolhyang’seemed to be highest in the incandescent bulb control. Considering its positive effect on yield and fruit quality, blue LED could be a potential supplemental lighting source for strawberry cultivation winter seas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목제품에 투영된 산림인증의 경제적 가치 추정 김동현, 김의경 pp.1-10

Effects of culture media on catechins and caffeine production in adventitious roots of tea tree(Camellia sinensis L.) Yong-Duck Kim, Hak-Gon Kim, Seon Jeong Sim, Jong-Cheol Kim, Ji-Yun Min, Jung-Gyu Hwang, Seung Mi Kang, Hyun-Shik Moon, Jong-Kab Kim, Myung-Suk Choi pp.11-20

제주지역 '헤이워드' 참다래 과원 토양의 화학적 성질과 잎의 양분조성 김천환, 문두경, 성기철, 손다니엘, 김성철, 송은영, 임찬규 pp.21-28

대나무 용기와 토양처리가 도라지 근계 생장에 미치는 영향 강정희, 윤준혁, 전권석, 권수덕 pp.29-37

Biological seed treatment : viable population changes of Paenibacillus polymyxa on seed and root and its antagonistic activity after seed formulation Okhee Choi, Choong-Min Ryu, Jinwoo Kim pp.39-47

LED 전조재배가 딸기의 과실품질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최효길, 정호정, 문병용, Khoshimkhujaev Bekhzod, 권준국, 박경섭, 이선이, 조명환, 강남준 pp.49-56

Growth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lettuce, tomato and melon grown under spectrum conversion greenhouse films Joon-Kook Kwon, Kyoung-Sub Park, Hyo-Gil Choi, Sun-Yi Lee, K. Bekhzod, Mi-Ran Hwang, Nam-Jun Kang pp.57-63

완전단감 형질선발을 위한 SCAR 마커 개발 박여옥, 제희정, 황지현, 김성철, 이용재, 손병구, 박영훈 pp.65-74

호박 흰가루병 발병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유기와 항산화효소의 활성화 황미란, 김희은, 박동금, 허윤찬, 이희주, 강남준 pp.75-81

cDNA microarray 분석을 통한 돼지 지방형질 관련 후보유전자 발굴 이종연, 이경태, 조규호, 김태헌, 김명직, 이현정, 최봉환, 연성흠, 김범수, 박창민 [외] pp.83-94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증진 최적 식물추출물 조합 조건 김은중 pp.95-103

개방한우사 북측 윈치커튼 최소개방면적에 관한 연구 이승주, Winson M. Gutierrez, 장홍희 pp.105-111

흑피부색 돼지의 착색 원인 규명을 위한 MC1R, KIT 및 ASIP 유전자 분석 박경옥, 정은지, 이재봉, 유채경, 박희복, 이정규, 임현태 pp.113-125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ICSI) 방법을 이용한 돼지 체외수정란 생산 황수미, 한주희, 박천규, 김병우, 신택순, 이홍구, 조병욱, 강한석, 조성근 pp.127-135

A comparative phylogenetic analysis of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Isoptera: Rhinotermitidae) on Jeju island, Korea Hyeon-Jin Park, Chang-Hwan Bae, Jeung-Joo Lee, Teak Soon Shin, Hyean-Cheal Park pp.137-146

Nuclear reprogramming in the nuclear transfer embryos Joon-Hee Lee, Yeoung-Gyu Ko, Sung-Woo Kim, Soo-Bong Park pp.147-155

젖소사양에서 동물복지의 이해 윤호백, 김진욱 pp.157-166

섬진강산 벚굴의 식품성분 특성 황석민, 오광수 pp.167-176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GAP모델 확립을 위한 사과 재배단계의 화학적, 생물학적 위해평가 심원보, 김경열, 김정숙, 윤요한, 김장억, 심상인, 김윤식, 정덕화 pp.177-186

Bacillus clausii I-52의 형질 전환에 의한 Alkaline Protease의 생산성 향상 및 Pilot-scale 생산 연구 주한승, 박동철, 최장원 pp.187-196

Major rheological and sensory analysis to determine the textural properties of cheeses Won-Jae Lee, Mee-Ryung Lee pp.197-204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방법 연구 김성재, 김성민, 김상민 pp.205-213

(ERRATUM) 침지액의 NaOH와 NaCl의 농도 및 계란 침지기간이 계란 피단의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oncentration of NaOH and NaCl in Dipping Solution and Dipping Period of Egg in Completeness of Egg Pidan 신택순, 조성근, 이홍구, 조병욱, 강한석, 박현철, 배석현, 김윤석, 김병우 p.215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zad, M.O.K., I.J. Chun, J.H. Jeong, S.T. Kwon, and J.M. Hwang. 2011. Response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ytochemical contents of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ling with supplemental LED light in glass house. J. Bio-Environ. Control 20: 182-188. 미소장
2 Basson, C.E. 2008. Analysis of intermediate carbon metabolism in strawberry plants. M.D. Thesis, Stellenbosch University, Stellenbosch. 미소장
3 Gheong, J.W., H.J. Jeong, N.J. Kang, J.K. Kwon, H.B, Jeong, and H.T. Kim. 2002. Effect of lighting period on the growth and yield of strawberry cultivar ‘Red Pearl’ in light culture. Kor. J. Hort. Sci. Technol. 20: 30(Abstract). 미소장
4 Hong, S.C. 2012. Development of practical energy saving technology using by LEDs in crop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27-36. 미소장
5 Changes in Bioactive Compounds Contents of ‘Maehyang’ and ‘Seolhyang’ Strawberry Fruits by UV Light Illumination 소장
6 Lee J.E., I.K. Yeon, H.W. Do, D.W. Choi, J.D. Cheung, and D.W. Suh. 2011. Effect of Light Quality in Night Break on the Growth of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Kor. J. Hort. Sci. Technol. 29(SUPPL. 1): 89. 미소장
7 Lee, J.G., S.S. Oh, S.H. Cha, Y.A. Jang, S.Y. Kim, Y.C. Um, and S.R. Cheong. 2010. Effects of red/blue light ratio and short-term light quality conversion on growth and anthocyanin contents of baby leaf lettuce. J. Bio-Environ. Control 19:351-359. 미소장
8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Pigments of photosynthetic biomembranes 네이버 미소장
9 The role of light in the regulation of anthocyanin accumulation in Gerbera hybrida 네이버 미소장
10 M.F.A.F.F.R.K. 2011.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indices-december.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public of Korea. Pp. 3-43. 미소장
11 Biochemical Changes during Fruit Development of Four Strawberry Cultivars 네이버 미소장
12 R.D.A. 2009. Standard farming handbook of strawberr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120-139. 미소장
13 Samuolienė, G., A. Brazaitytė, A. Urbonavičiūtė, G. Šabajevienė, and P. Duchovskis. 2010. The effect of red and blue light componen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frigo strawberries. Zemdirbyste-Agr. 97: 99-104. 미소장
14 THE EFFECT OF BLUE LIGHT ON PLANTS AND MICROORGANISMS 네이버 미소장
15 Slinkard, K. and V.L. Singleton. 1977. Total phenol analysi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s. Amer. J. Enol. Vitic. 28: 49-55. 미소장
16 Effect of different cultural systems on antioxidant capacity, phenolic content, and fruit quality of strawberries (Fragaria x aranassa Duch.). 네이버 미소장
17 Effect of Blue and Red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tic Rate of Strawberry Leave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