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토목섬유 및 메타카올린 첨가 시멘트 벤토나이트 혼합토의 내구성 및 미세구조 특성 / 김열규 ; 김용성 ; 김범주 ; 박성용 1

Abstract 1

요지 1

1. 서론 1

2. 재료 및 방법 2

2.1. 사용재료 2

2.2. 배합설계 및 제작 3

2.4. 시험 방법 3

3. 결과 및 고찰 4

3.1. 혼합토의 재료 특성 4

4. 결론 6

감사의 글 9

References 9

초록보기

본 연구는 토사계 혼합 차수재를 이용한 가축 매몰지 침출수 대책공법으로 시멘트-벤토나이트 혼합토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토목섬유 및 메타카올린 첨가에 따른 시멘트-벤토나이트 혼합토의 인장강도 특성, 동결융해 및 건조습윤 저항성, SEM 및 X선 회절분석 등 미세구조 특성을 고찰하였다. 시멘트(0, 10%), 벤토나이트(0, 5, 10, 15, 20%) 및 풍화토(100, 95, 90, 85, 80%)를 혼합한 혼합토에 메타카올린(시멘트 중량비 0, 5, 10, 15, 20%) 및 토목섬유(0, 0.5, 1, 1.5, 2%) 혼합율과 재령에 따른 강도 및 내구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혼합토에 메타카올린 5∼10% 첨가시 혼합토의 공극충진 및 시멘트의 포졸란 반응으로 인하여 조기강도가 증가하며, 토목섬유 0.5∼1% 첨가시 혼합토의 부착강도의 증가로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결융해 및 건조습윤 후에도 80∼90%의 강도를 나타내어 계절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ement-bentonite-soil mixture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xamine its applicability as a waterproofing material to prevent leachate migration in infected livestock burial sites. The effects of geosynthetics and metacaolin as additives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tensile strength, resistances to freeze-thaw and drying-wetting, and micro-structures using SEM and X-ray refraction of the cement-bentonite-soil mixtures. As the mixture ratios of the cement-bentonite-soil, the cement of 0 and 10%, the bentonite of 0, 5, 10, 15, 20%, and the weathered soil of 80, 85, 90, 95, 100% were used. The investigations of strength and durability depending on mixture ratios and age were made on the mixtures added with the metacaolin (0, 5, 10, 15, 20% of cement weight) and the geosynthetic (0, 0.5, 1.0, 1.5, 2.0% of cement weight).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metacaolin of 5~10% increases the early strength of the mixtures due to its pore filling and pozzolan reaction, while the addition of the geosynthetic of 0.5~1.0% increase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mixtures due to the increased bonding. Moreover, the mixtures exhibited 80~90% of the strength under freeze/thaw and dry/wetting, revealing high durability against environment influen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동주택 화재시 화염 및 연기 확산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유용호, 최영화, 권오상 pp.1-6

보기
극한해석에 근거한 철근 콘크리트 깊은 보의 현재 설계기준에 대한 타당성 검토 김진우, 홍성걸, 이영학, 김대진 pp.7-14

보기
부착식 주입형 철근앵커의 부착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서성연 pp.15-21

보기
수직지반운동의 특성과 3층 RC건물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 김명한, 김승직 pp.23-29

보기
중력하중을 고려한 H형강 기둥의 방폭성능에 대한 해석적 평가 이경구, 노지은, 김선웅 pp.31-36

보기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f the analysis of heat flow in building fires Lee, Ji-Hee, Kim, Woo-Suk, Yeem, Hyo-Jin, Kim, Wha-Jung pp.37-42

보기
마이크로 CT 이미지를 활용한 단열콘크리트 시편의 성분 분석 정상엽, 한동석, 염광수, 김지수 pp.43-48

보기
미소파괴음을 이용한 KURT 화강암의 미시적 균열발달특성에 관한 연구 이창수, 이경수, 김진섭, 최희주 pp.49-56

보기
교량 및 터널 보수·보강 기준 제정을 위한 국내외 보수·보강 매뉴얼 분석 강철, 오광진 pp.57-65

보기
유리 연마슬러지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복합열화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현기, 오홍섭, 심종성, 지광습 pp.67-74

보기
코핑-주형 일체 교량의 접합부 형상에 따른 거동분석 이희영, 조대연, 정원석, 안주옥 pp.75-81

보기
풍하중을 받는 편지식 지주구조물의 단면설계 알고리즘 김성훈, 이인석, 최준혁 pp.83-88

보기
후 설치 앵커 성능평가와 해석모델 김진섭, 권민호, 서현수, 박재훈 pp.89-95

보기
표준강수 증발산량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와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를 이용한 남한지역 미래 가뭄의 변화전망 김병식, 성장현, 이병현, 김도정 pp.97-109

보기
균일한 점성토 지반에 시공된 석션 케이슨 앵커의 인발력 이한민, 안재훈, 김윤태 pp.111-116

보기
산사면의 지진동 증폭 특성 박두희, 김태균, 안재광, 박인준 pp.117-123

보기
초음파 반사이미지와 고유주파수 변화를 이용한 해상 기초구조물의 세굴도 평가 박기원, 변용훈, 최창호, 이종섭 pp.125-132

보기
토목섬유 및 메타카올린 첨가 시멘트 벤토나이트 혼합토의 내구성 및 미세구조 특성 김열규, 김용성, 김범주, 박성용 pp.133-141

보기
지오셀 보강 친환경성 투수성포장의 현장 적용성 검토 김영진, 조신행, 이수형, 김낙석 pp.143-149

보기
대형 화산재해 사례조사를 통한 방재대응 분석 김혜원, 박재은 pp.151-156

보기
방재자원 통합 서비스 체계 연구 이창열, 김태환, 박상현, 박길주 pp.157-161

보기
사업장 화재 경보음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이영삼, 이동호 pp.163-173

보기
산업기밀 손실 방지를 위한 순환적 산업보안 관리과정 모델 구축에 대한 연구 채정우, 정진홍 pp.175-183

보기
지진해일 대피소 실태 및 주민의식조사 연구 : 삼척지역을 중심으로 김희동, 신호준, 백민호 pp.185-189

보기
지진해일을 고려한 해양경찰의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김성조, 신호준, 백민호 pp.191-196

보기
고온환경에서 소방방화복 착용시 작업강도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 방창훈 pp.197-201

보기
입자크기 변화에 따른 마그네슘 분진의 폭발특성 정우진, 나가이히로시 pp.203-208

보기
화재원인 판정 오류 원인의 분석 이의평 pp.209-216

보기
공간적 분포특성과 엔트로피를 고려한 강우관측소 평가 : 임하댐 유역을 중심으로 이지호, 변효섭, 김형수, 전환돈 pp.217-226

보기
농업용 저수지를 고려한 홍수경보 강우량 산정 김응석, 심규범, 박재범, 박무종, 최현일 pp.227-236

보기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홍수위험지구 선정 최현일, 박승용, 송재하, 박무종 pp.237-243

보기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서울의 상습침수지역 유형화 박창열, 신상영, 손은정 pp.245-255

보기
도심지 하수거 중간맨홀의 유사퇴적 저감 실험 김정수, 김경범, 윤세의 pp.257-267

보기
적설량 예측을 위한 신경망 및 다중회귀 모형의 적용성 평가 김연수, 강나래, 김수전, 김형수 pp.269-280

보기
침투량 산정 방법에 따른 유역유출 연속모의의 정확성 평가 강태욱, 고동근, 정태훈, 이상호 pp.281-290

보기
풍수해 대응을 위한 안양천 유역의 복원탄력성 평가 이임열, 김수전, 김연수, 김형수 pp.291-298

보기
기후변화 시나리오(RCP)를 이용한 도시지역 빗물펌프장의 미래 필요용량 산정 강나래, 이건행, 노희성, 김형수 pp.299-309

보기
낙동강 중소하천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한계강우량 산정과 적용 박재범, 신동수, 박무종, 강봉권, 신현석 pp.311-317

보기
운동파이론 기반 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도를 이용한 도시유역 유출 분석 박재범, 강두기, 신현석 pp.319-326

보기
저수지 준설에 의한 수질개선 효과분석 김응석, 심규범, 갈병석 pp.327-336

보기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uvinet, G.Y. and Hiriart, G. (1980) An Artificial Cooling Pond for the Rio Escondido Coal Fired Power Plant. Proceedings. ASCE Symposium on Surface Water Impoundments, Minneapolis, No. 2, pp. 1089-1098. 미소장
2 Choi, J.B., Jeon, B.H., Lee, S.S., and Song, H.Y. (2008)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owing and Strength Properties of Mortar Using Meta kaolin and Hwangtog.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ublication, Vol. 2008, No. 1, pp. 913-918. 미소장
3 Reinforced Effect of Staple Fiber for Soil - Waste Stone Sludge 소장
4 Effect of fiber-reinforcement on the strength of cemented soils 네이버 미소장
5 Consoli, N.C., Vendruscolo, M.A., and Rosa, F.D. (2009) Fiber Reinforcement Effects on Sand Considering a Wide Cementation Range. Geotexiles and Geomembranes, Vol. 27, No. 3, pp. 196-203. 미소장
6 Chapuis, R.P. (1981) Permeability Testing of Soil-Bentonite Mixtures, Proceedings.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Stockholm, Vol. 4, pp. 744-745. 미소장
7 The Experimental Study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Soil 소장
8 Compressive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highly compressible clay 네이버 미소장
9 Kim, Y.S., Jeong, W.S., Seok, T.Y., and Im, A.S. (2006)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emented Sand of Nak-dong River.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7, No. 4, pp. 43-52. 미소장
10 Kim, Y.T., Kim, H.J., and Lee, J.S. (2007) Experimental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Reinforced Lightweight Soil. Journal of the Ks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3C, pp. 195-202. 미소장
11 Lee, C.H. and Kim, M.G. (2008) A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oil - Fly Ash - Bentonite Liner. Korean Geo- Environmental Society, Vol. 9, No. 6, pp. 21-29. 미소장
12 The Strength Properties of Cement-Bentonite Soil Mixtures with Geosynthetics and Metakaolin 소장
13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네이버 미소장
14 Prabaker, J. and Sridhar, R.S. (2002) Effect of Random Inclusion of Sisal Fiber on Strength behaviour of Soil.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6, pp. 123-131. 미소장
15 Park, S.S. and Hwang, S.H. (2012) A Study on Durability Test of Cemented Soils.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28, No. 11, pp. 79-86. 미소장
16 Park, S.S., Kim, Y.S., Choi, S.G., and Shin, S.E. (2008)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ed Sand Reinforced with Short Fibers. Journal of the Ks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4C, pp. 213-220. 미소장
17 Ramezanianpour, A.A. and Jovein, H.B. (2012) Influence of Metakaolin as Supplementary Cementing Material on Strength and Durability of Concre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30, pp. 470-479. 미소장
18 Song, C.S. and Im, S.Y. (2002)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Soil (1) -Cement Reinforced Soil-.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Vol. 5, No. 6, pp. 9-13. 미소장
19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Pastes Containing Metakaoline 소장
20 Strength and mechanical behavior of short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and cement stabilized clayey soil 네이버 미소장
21 Interfacial shear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soil 네이버 미소장
22 Freezing–thawing behavior of fine-grained soils reinforced with polypropylene fiber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