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컴퓨터 기반 전산화 인지훈련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인지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조덕연, 박지혁, 유은영, 민성호 | pp.1-14 |
|
|
재가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김정운, 오명화, 백지영, 이재신 | pp.15-26 |
|
|
뇌졸중 환자의 낙상 경험 예측을 위한 Fall Efficacy Scale의 활용에 관한 연구 | 박창식, 안승헌 | pp.27-40 |
|
|
뇌졸중환자의 병변부위와 촉각 탐색조건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 안시내, 김광기, 이정원, 최현 | pp.41-55 |
|
|
구강안면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과 구강안면근력에 미치는 영향 | 강보미, 권혁철, 김환, 조영남 | pp.57-69 |
|
|
뇌병변 장애인의 기초 인지지각과 운전적성능력의 관련성 | 박명옥 | pp.71-79 |
|
|
신입 작업치료사의 국가시험 실기과목 점수와 직무능력의 상관성 | 이재신, 전병진, 김수경, 장기연, 정민예, 유은영, 백영림, 함보현 | pp.81-93 |
|
|
통합교육환경에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 참여분석 : PEO모델을 중심으로 | 홍소영, 장문영, 김경미 | pp.95-105 |
|
|
제조업 종사자의 근골격계 통증에 따른 QuickDASH의 특성 | 김장곤, 강진우 | pp.107-118 |
|
|
작업치료사의 관계갈등체험에 관한 연구 : 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방법 적용 | 송병남, 김슬기, 박지훈, 장종식, 전영혜, 전병진 | pp.119-132 |
|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인지재활 필요성 기초조사 | 권재성, 김영근, 구인순 | pp.133-14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구인순, 김철원, 이승우. (2011). 훈련지원프로그램 표준화. 서울, 한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미소장 |
2 |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developed by Process-Specific Approach for Chronic Schizophrenics ![]() |
미소장 |
3 | 이국주, 김현종. (2008).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효과분석.서울, 한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미소장 |
4 | 이국주, 박자경, 장우종. (2007). 직업능력개발센터 재활프로그램 운영방안. 서울, 한국: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 미소장 |
5 | 장애인의 취업욕구와 직업재활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소장 |
6 | 이한선, 박자경, 최경림. (2010). 장애인 맞춤훈련 성과분석. 서울, 한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미소장 |
7 | 임미화, 양수정, 김호진, 김언아. (2010). 2010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서울, 한국: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 미소장 |
8 | 최성규. (2007). 우리나라 청각장애아동의 문해능력 신장을 위한 이중언어접근법의 모형개발. 특수교육연구,14(1), 111-141. | 미소장 |
9 | 황령희. (2002). 장애인직업재활프로그램 및 서비스에 대한 욕구조사. 서울, 한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미소장 |
10 |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1994). Uniform terminology for occupational therapy- Third edi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8, 1047-1054. doi:10.5014/ajot. 48.11.1047 | 미소장 |
11 | Arbesman, M., & Logsdon, D. W. (2011).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employment and education for adult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 238-246. doi:10.5014 /ajot.2011.001289 | 미소장 |
12 | Rehabilitation Counselor Roles and Functions and Sources of Role Strain ![]() |
미소장 |
13 | Ha, D., Haruko, Page, J. J., & Wietlisbach, C. M. (2013). Work evaluation and work programs. In H. M. Pendleton, & W. Schultz-Krohn (Eds.),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7th ed., pp. 341-342). St. Louis, MO: Elsevier Mosby. | 미소장 |
14 | Jacobs, K. (1985). Occupational Therapy: Workrelated programs and assessments. Boston, MA: Little, Brown and Company. | 미소장 |
15 | The concept of work in occupational therapy: a historical review. ![]() |
미소장 |
16 | Cognitive training for supported employment: 2-3 year outcome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
미소장 |
17 | Mosey, A. C. (1993). Working taxonomies. In C. B. Royeen (Ed.), AOTA Self-study series: Cognitive rehabilitation (pp. 23-24). Rockville, MD: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 미소장 |
18 |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Second Edition in Taiwanese persons with schizophrenia.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