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소그룹 역통합교육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수용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 박경우 ; 추연구 1

〈요약〉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 문제 4

II. 연구 방법 4

1. 연구 대상 4

2. 연구 도구 5

3. 연구 설계 10

4. 연구 절차 10

5. 자료 처리 11

III. 연구 결과 11

1.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 11

2.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수용태도 변화 13

IV. 논의 17

1.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에 관한 논의 17

2. 비장애학생의 수용태도 변화에 관한 논의 19

V. 결론 20

참고문헌 21

〈ABSTRACT〉 22

초록보기

본 연구는 소그룹 역통합교육을 통하여 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비장애학생의 수용태도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실험집단에 44명(장애학생 4명 포함), 통제집단에 40명을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1회씩 10주에 걸쳐 소그룹별로 역통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교육과정을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는 첫째, 하위 영역별로 그 증·감이 개인차는 보였으나, 소그룹 역통합교육에 참여한 4명의 장애학생 모두 사회적 상호작용의 발생 비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교제, 생활, 학습 영역에서의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수용태도 변화는 통제집단의 경우 점수가 소폭 감소하거나 유지되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실험집단의 경우 점수가 상승하여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그룹 역통합교육을 활용한 통합교육 지원이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측면과 비장애학생의 수용태도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그 효과가 있으며, 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지속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a student with disabilities social interaction and the general student’s attitude of acceptance created by implementing small group reverse-inclusive education. For this research,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s was forty-four including four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forty-three in control groups.

The first result shows that all four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mall group reverse-inclusive education, had an increase in their social interaction rates. There was, however, individual variances in each social interaction category.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ere no positive or significant changes in acceptance attitude of control group. The attitude towards student with disability mostly remained the same or were decreased. Nevertheless, improved scores by the experimental group show this research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l these findings imply the use of small group reverse-inclusive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cceptance attitudes of general students, which produces a striking effect. Thus, when used in a long term and continuous program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re could well be great success in utilizing this in our current educational syste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발달장애'의 개념에 관한 고찰 : 관련 법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홍중, 이미정 pp.1-21

보기
소그룹 역통합교육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수용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박경우, 추연구 pp.23-44

보기
읽기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읽기 이해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 정현조, 김화수 pp.45-73

보기
초임 특수교사가 경험하는 부모면담의 어려움과 예비 특수교사 교육 방안 김향지 pp.75-94

보기
학령기 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변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신현복, 이근매 pp.95-121

보기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또래아동과의 협동놀이가 정신지체아의 사회생활 능력에 미치는 효과 소장
2 학령기 장애아동 통합교육 현황 실태 조사 소장
3 精神遲滯 幼兒의 統合敎育에 관한 硏究 소장
4 (The) Effect of Small-Group Play Activitie s on the Sociability change of the Disabled Young Children in an opposite Integrated Setting 네이버 미소장
5 (1999). 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경기: 교육과학사. 미소장
6 통합학급 도우미 지원형태에 따른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 변화 소장
7 한국 특수교육의 발전과정 네이버 미소장
8 Effects of Helper Roles in the Integrated Environments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소장
9 (2006).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 서울: 학지사. 미소장
10 Special Friend Program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급우의 수용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소장
11 역통합교육체험이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인식과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장
12 장애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비장애학생의 수용태도 소장
13 (2011). 통합학급을 처음 담당하는 교사를 위한 전략 400. 서울: 양서원.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