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장애극복 사례를 이용한 신문 활용 교육이 초등학교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이영인 ; 추연구 1

〈요약〉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 문제 4

II. 연구 방법 4

1. 연구 대상 4

2. 연구 도구 5

3. 연구 설계 8

4. 연구 절차 8

5. 자료 처리 9

II. 연구 결과 9

1. 장애극복 사례를 이용한 신문 활용 교육이 인지·정의적 측면에 주는 변화 9

2. 장애극복 사례를 이용한 신문 활용 교육이 행동적 측면에 주는 변화 11

V. 논의 및 결론 15

1. 논의 15

2. 결론 16

참고문헌 18

〈ABSTRACT〉 20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장애이해 프로그램 중에서 장애극복 사례를 이용한 신문 활용 교육을 적용해 봄으로써 초등학교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극복 사례가 실린 신문기사를 발췌하여 장애이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집단에 적용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형용사 검사, 활동선호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극복 사례를 이용한 신문 활용 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보다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일반학생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중재도구로 장애극복 사례를 이용한 신문 활용 교육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cognize any difference on the attitude of accepting disability from non-disabl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 distinguished one class for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for simulation control group in two classes of 6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Wonju city. I developed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 followed by extracting an article with the examples of overcoming disability and i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 surveyed the acceptive attitudes toward disability of non-disabled children after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s about preferred activities and adjective criterion. there are two measurements used in this research. In conclusion of these results from the research, we can find out the positive effects on the acceptive attitude toward disability on the experimental group affected by NIE. It is confirmed that NIE can be one of the good mutual means which can change the acceptive attitude toward disability of students in educational aren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발달장애 아동의 학령기 이후 교육참여에 관한 학부모 심층면담 김경열 pp.1-21

보기
여성 고령장애인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권재숙, 김성진 pp.23-45

보기
장애극복 사례를 이용한 신문 활용 교육이 초등학교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영인, 추연구 pp.47-66

보기
통합교육 환경에서 구조화된 미술활동이 장애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권미은, 최낙천 pp.67-91

보기
학령기 뇌성마비아동의 이야기 표현 특성 박선희, 강은희 pp.93-115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장애아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태도 조사 연구 소장
2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소장
3 신문을 활용한 사회과 수업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소장
4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소장
5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신문활용교육(NIE) 프로그램의 적용방안 소장
6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일반 동료들의 수용 태도에 관한 일 연구 소장
7 지리수업에서 NIE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 연구 소장
8 통합적 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소장
9 NIE를 통한 언어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학습 장애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소장
10 신문활용교육(NIE)을 통한 청각장애 학생의 독해능력에 관한 질적 분석 소장
11 NIE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초등학생의 장애수용 태도 변화 소장
12 장애극복 사례 활용이 초등학생들의 장애수용 태도에 미치는 효과 소장
13 The effectiveness of NIE related disability on the change of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소장
14 (2003). 유ᆞ초등학생 장애이해교육.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미소장
15 초등학교 수학 학습에서의 수학화를 위한 신문 활용에 관한 연구 소장
16 장애극복 사례를 이용한 장애이해 교육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소장
17 NIE를 활용한 목적별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소장
18 초등학교 통합교육현장의 장애이해교육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일 연구 소장
19 신문활용교육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