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늘어나는 청소년 범죄 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우울과 분노를 미리 발견하여 청소년 범죄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청소년의 우울과 분노를 선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의 유용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소재지의 소년원에 있는 남학생과 I소재지의 인문계 남학생 178명이며, 연구도구는 Draw A Story 검사, Beck의 우울증 척도와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척도(STAXI-K)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독립표본 t-test,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 특성분노 수준이 일반 남학생들에 비해 소년원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분노표현 양식 중에서 분노억제는 집단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분노표출은 소년원생들이 높게 나타났고, 분노통제는 일반 남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야기 그림검사의 자극 선택 분석 결과, 설명이 없을 때 강조된 선택 도구는 두 집단 모두 낙하산이 1순위였는데, 설명을 고려했을 때 선택된 도구는 소년원생들은 칼, 낙하산 순이었고, 일반 남학생들은 낙하산, 중성적 아이 순이었다. 셋째, 두 집단의 우울, 특성분노, 분노표현과 이야기 그림검사 간의 관계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정서내용은 자아상과, 우울은 특성분노 및 분노억제 표현 양식과 정적관계를 나타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sefulness of the Draw-a-Story Test as a tool that can sort out depression and anger suffered by a youth in an effort to be helpful to the prevention of the ever increasing juvenile delinquency by discovering depression and anger inhering in the hidden side of juvenile crimes in advance The subjects of study were total 178 students; male students in juvenile hall located in G and male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 located in I. The research tools are Draw A Story, Beck's Depression inventory and STAXI-K. The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a male student of a juvenile reformatory showed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trait anger than a general male student. In addition, there wasn't a difference in anger-in among the styles of anger expression between groups, but a male student of a juvenile reformatory showed high anger-out whereas a general male student showed high anger-control. Second, as the analysis result of stimulus selection of the Draw-a-Story test, it was found that the emphasized selection tool in time of non-explanation was a parachute, which was ranked first in both groups, but the selected tool in time of considering an explanation was in the order of a knife and parachute in case of the male students of a juvenile reformatory while being in the order of a parachute and an androgynous child in case of the general male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and the Draw-a-Story test of the two groups, both groups all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self-image while show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e expression methods of trait anger & anger-i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년원 및 일반 남학생들의 우울, 분노에 관한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 반응 특성 연구 지혜정, 최외선 pp.1-19

입체매체와 평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경향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경식 pp.21-46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한국판 동적가족화 반응 특성 연구 현은민 pp.47-65

MBTI 선호지표에 따른 만다라그림의 표현양식 황은일, 김택호, 김갑숙 pp.67-84

여대생의 우울과 모자화 반응특성과의 관계 조주원 pp.85-101

청각장애 어머니를 둔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및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은진, 원희랑 pp.103-127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습활동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박재신 pp.129-157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립의지에 미치는 효과 김영애, 이미옥 pp.159-185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허정선, 전순영 pp.187-213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의 작품에 나타난 말과 기수, 빌보케의 상징 분석 박나미 pp.215-238

참고문헌 (6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anger control and its validation 소장
2 강원도민일보(2012). 청소년 성범죄 더 이상은 안돼. 2012. 7. 20. www.kado. net. 미소장
3 강차연(2006). 미술치료에서의 심리평가. 심리치료, 6(2), 137-159. 미소장
4 강희숙(2011).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우울수준에 따른 Draw A Story 검사의 그림 반응 특성연구.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중술, 이한주, 한수정(2003). 사례로 읽는 임상심리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6 고경희(2001). 특성분노, 분노표현양식과 비합리적신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고미영(1998). 아동과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연구. 정신보건사회사업, 6(1), 51-75. 미소장
8 고영인(1994). 대학생의 분노표현양식과 우울 및공격성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9 국민일보(2012). 연쇄방화 혼혈 10代 보호자 자청김해성 목사 “편견․왕따... 우리 모두가 가해자”. 2012. 6. 26. www.kukinews.com. 미소장
10 곽금주, 윤 진, 문은영(1993). 한국 청소년 비행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7(1), 12-27. 미소장
11 권재훈(2011). 일반 및 보호관찰 청소년의 공격성이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Factors Influencing on School Viol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13 김세은(2008). 군인의 우울, 자살사고, 공격성에 따른 Draw a Story 검사 반응의 특성.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김태순(2008). 고등학생의 우울과 공격성에 관한 Draw A Story 검사 반응 특성 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5 김태희(2006). 분노조절 집단 프로그램이 청소년의분노와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문영희(2007). 아동 우울과 Draw A Story 검사반응 특성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박현정(2001). 아동중기의 애착안정성과 자기상 (Self-Image)이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이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Prediction on the Negative Outcomes of Anger in Female Adolescents 소장
19 박하나(2011). ADHD 성향 아동의 우울에 대한 DAS 반응 특성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 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서지영(1996). 특성분노의 반응양식과 이에 영향을주는 제변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서혜인(2004). 인문계 고등학생의 우울성향과 그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DAS를 적용한 아동의 우울특성 분석 소장
23 신민섭(2007).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서울: 학지사. 미소장
24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SOCIAL SENSITIVITY IN ADOLESCENTS :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SELF-IMAGE,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ENSITIVITY 소장
25 신민희(2004). 소년원 재소 비행 청소년의 자기불일치와 우울 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6 신종희(2003). 분노수준과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우울, 불안, 공격성의 차이: 여중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신효은(2012). 화병이 있는 여자 청소년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분노 및 우울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이문숙(1997). 중학생의 우울 정서와 비합리적 신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이선미(2010). 알코올 중독자의 Draw A Story 반응특성과 집단미술치료가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BDI,SDS,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소장
31 이은숙(2002).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2 임미옥(2010).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에 관한 분노양상모형의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3 장동산, 이길홍, 민병근(1985). 한국 청소년의 불안및 우울 성향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앙의대지, 10, 405-422. 미소장
34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 학회지: 임상, 2(1), 60-78. 미소장
35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Status in Jevenile Delinquent and Non Juvenile delinquent 소장
36 전인자(2002). 고등학생의 분노 수준과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자기통제력 및 자아존중감과의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7 정지은(2006).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Draw A Story 검사반응 특성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8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에 나타난 여고생의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양식 소장
39 주지영(2005). 고등학생의 분노표현양식, 우울 및공격성 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0 중부일보(2012). 고양교육지원청. ‘여름방학 힐링캠프’운영. 2012. 8. 3. www.joongboo.com. 미소장
41 최성일, 김중술, 신민섭, 조맹제(2001). 분노표현양식과 우울 및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신경정신과학, 40(3), 425-433. 미소장
42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Art Material Activity on Anger Emotion and Physiological Arousal of Anger-In Group 소장
43 한국일보(2012). 강력범죄의 근원적 해법. 2012. 8. 31. www. news.hankooki.com. 미소장
44 한동화(2008).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대한 불안, 우울, 자존감의 영향. 서울여자대학교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5 Beck, A. T.(1978). Depression inventory. Philadelpia: Center for Cognitive Therapy. 미소장
46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네이버 미소장
47 Brandt, M.(1995). Visual stories: A comparison study using the Silver Art Therapy Assessment with adolescent sex offen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rsuline Collage, Ohio. 미소장
48 Anger management style and hostility among patients with chronic pain: effects on symptom-specific physiological reactivity during anger- and sadness-recall interviews. 네이버 미소장
49 Schematic processing and self-reference in clinical depression. 네이버 미소장
50 Adapting the Silver Draw-A-Story Assessment 네이버 미소장
51 Screening for Aggression Using the Draw a Story Assessment 네이버 미소장
52 Feindler, E. L.(1989). Adolescent anger control: Review and critique. In Hersen, M., Eisler, R. M., & Miller, P. M.(Eds.). Progression behavior modification. Newbury Park, CA: Sage. 미소장
53 Mental Health and Functional Outcomes of Maternal and Adolescent Reports of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네이버 미소장
54 Silver, R.(2002). Three Assessments. NY: Brunner -Routledge. 미소장
55 Silver, R.(2005). Aggression and Depression Assessed Through Art, Using Draw A Story to Identify Children and Adolescents at Risk. New York: Brunner-Routledge. 미소장
56 Identifying and assessing self-images in drawings by delinquent adolescents (in 2 parts) 네이버 미소장
57 Solomon, E. M.(1987). Negative self concept: Specificity to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ion to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0, 120-127. 미소장
58 Health psychology. 네이버 미소장
59 Spielberger, C. D. Reheiser, E. C. & Sydeman, M.(1995). Measuring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Kassinove(ED). Anger Disorders: Definition, diagnosis, and treatment.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미소장
60 Turner, C.(1993). The Draw a Story in assessment of abuse. Preconference course presentation at the 1993 Conference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Atlanta. 미소장
61 Wilson, M. F.(1990). Art therapy as an adjunctive treatment modality with depressed hospitalized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Ursuline Collage. OH.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