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일본 내각문고와 호사문고에 소장된『대명률직해』의 서지에 관한 기초 연구 / 장경준 1
■ 국문초록 1
1. 머리말 2
2. 내각문고본 『대명률직해』 3
3. 호사문고본 『대명률직해』 12
4. 맺음말 18
참고문헌 19
〈붙임: 봉좌문고본과 내각문고/만송문고본 대교표〉 21
Abstract 27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는 명나라의 법전인 대명률(大明律)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이두(吏讀)로 번역한 이두 자료의 보고(寶庫)이다. 1395년에 간행한 초간본은 전하지 않고 이후의 중간본만 전하는데 이본(異本)에 따라 미세한 텍스트의 차이를 보여 이본의 계통을 파악하고 텍스트의 교감(校勘)을 통해 정본(定本)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여러 이본 가운데 일본 내각문고(內閣文庫)와 호사문고(蓬左文庫) 소장본은 원본이 일본에 있어 접근이 어려운 것들인데, 필자는 이것들을 촬영한 마이크로필름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있음을 최근에 확인하고 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내각문고본은 고려대 만송문고(晩松文庫) 소장본과 동일 판본임을 재확인하였다. 그러나 만송문고본이 더 후쇄본일 가능성이 있으며, 제책 과정에서 각각 4책과 5책으로 묶은 것 이외에 목록의 배열 순서가 다르고 만송문고본에는 일부 결락이 있다는 점을 새로 밝혔다. 또한 고사촬요(攷事撮要)의 책판목록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이 책이 1550년대 광주판일 가능성은 희박하며 1546년 공주에서 개판(開板)한 중간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그리고 호사문고본은 권차에 따라 판식(版式)이 일정하지 않아 형태상으로 불완전하지만, 텍스트를 대교해 본 결과 선행 연구의 기술과 달리 내각문고본이나 만송문고본보다 오히려 오자(誤字)가 적은 선본(善本)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호사문고본은 같은 계통인 고마자와대학본과 함께 앞으로 대명률직해의 정본(定本)을 확정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confirmed the existing research result, which is that the reprint possessed at Naikaku's collection of books(the following: Naikaku) is identical to the reprint housed at Mansong's collection of books of Korea University Library in Korea(晩松文庫).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print housed at Mansong's collection of books(the following: Mansong) has possibility to be later edition than the version of Naikaku and the edition housed at Hosa's collection of books(the following: Hosa) and the version of Mansong was separately bound as 4 volumes or 5 volumes in the bookbinding process. Besides, the sequence of table of contents contained in the version of ManSong is different and it had partly drop-out. Furthermore, it has a bare chance to be 'edition of Gwangju province in the 1550s'. Instead of that, there is great potential to be reprint published, which is revised edition in Gongju province in 1546 upon further review about catalog of Kosachalyo(攷事撮要).
Although the printing style of Hosa version is irregular and imperfect on physical traits, otherwise the advanced research described it, it is better edition, which has less errors than the versions of the Naikaku and the Mansong. Therefore, it is newly proved that the version of Hosa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material to determine the corrected edition of Daemyeongryul-Jikhae.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고려 예종 대 <구실등가(九室登歌)>의 성립 배경과 악장사적 의미 | 김명준 | pp.5-29 |
|
보기 |
『삼국유사』에 수록된 최승로 관련 설화의 양상과 특징 | 이기대 | pp.31-56 |
|
보기 |
柳夢寅 散文에 나타난 孤獨의 양상과 그 의미 | 안득용 | pp.57-85 |
|
보기 |
현대시의 장(場) 연구 : 비유와 리듬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권혁웅 | pp.87-108 |
|
보기 |
해방 전후 정지용의 글쓰기와 내면 풍경 | 김문주 | pp.109-134 |
|
보기 |
잔해와 파편의 시어 : 김종삼,『북 치는 소년』의 경우 | 김종훈 | pp.135-157 |
|
보기 |
통속오락잡지『명랑』을 통해 본 戰後 사랑의 인식구조 : 1950년대 수록 소설을 중심으로 | 김지영 | pp.159-207 |
|
보기 |
상경 청년, 귀향 성장 서사의 의미 | 김한식 | pp.209-232 |
|
보기 |
영화 [은교]의 각색 연구 : 소설『은교』를 원천이야기로 삼은 영화 [은교]의 변형적 각색 방식을 중심으로 | 신종곤 | pp.233-260 |
|
보기 |
조세희 소설의 문체 | 이병헌 | pp.261-302 |
|
보기 |
박완서 단편소설의 생태문학적 가치 | 정연희 | pp.303-327 |
|
보기 |
일본 내각문고와 호사문고에 소장된『대명률직해』의 서지에 관한 기초 연구 | 장경준 | pp.329-35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치우, 고사촬요 책판목록과 그 수록 간본 연구 , 아세아문화사, 2007. | 미소장 |
2 | 남만성, 「解題」(법제처 편(1964) 所收), 1964, 10-17면. | 미소장 |
3 | 문소라, 「朝鮮時代 간행의 『大明律』 註釋書 板本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4 | 법제처 편, 「大明律直解」(法制資料誌 제13집), 법제처, 1964. | 미소장 |
5 | 『大明律直解』 吏讀의 예비적 고찰 | 소장 |
6 | 박희숙, 「大明律直解의 吏讀硏究」, 명지대 박사학위 논문, 1985. | 미소장 |
7 | 서울대학교 규장각 편, 大明律直解 (규장각자료총서 법전편),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1. | 미소장 |
8 | 대명률직해 이두의 연구 | 소장 |
9 | 안병희, 「解題」, 大明律直解 , 보경문화사, 1986, 1-8면. | 미소장 |
10 | 안병희, 「『大明律直解』의 書名」, 한국어연구 1, 2003, 한국어연구회, 117-140면. | 미소장 |
11 | 『대명률직해』의 정본 확정을 위한 기초 연구.1,고려대 도서관과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을 중심으로 | 소장 |
12 | 『大明律直解』의 書誌學的 考察 | 소장 |
13 | 정긍식ㆍ조지만, 「大明律 解題」(서울대학교 규장각 편(2001) 所收), 2001, 7-60면. | 미소장 |
14 | The Reception and Transformation of Daemyeongryul in the first term of Chosun | 소장 |
15 | 천혜봉, 日本 蓬左文庫 韓國典籍 , 지식산업사, 2003. | 미소장 |
16 | 일본 江戶時代의 明律 硏究와 飜譯·註釋書 | 소장 |
17 | 朝鮮總督府中樞院 編, 校訂 大明律直解 , 경인문화사, 1936/2000. | 미소장 |
18 | 花村美樹, 「大明律直解 解說」(朝鮮總督府中樞院 編 所收), 1936, 1-24면. | 미소장 |
19 | 金澤庄三郞, 濯足庵藏書六十一種 , (출판사 불명), 193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