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사육중인 제주재래돼지와 랜드레이스의 상호교차교배를 통해 생산된 417두의 F2집단을 대상으로 성장형질(생시체중, 3주령 체중, 10주령 체중, 20주령 체중)을 측정하고, 개체별 혈액으로부터 Illumina Porcine SNP 60k BeadChip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하여 성장형질과 유전체 전장의 단일염기다형의 유전자형 간에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단일연기다형의 유전자형 분석은 돼지의 성염색체를 제외한 18개의 상염색체 내에 나타난 52,574개의 SNP표지인자 중 다형성이 나타나지 않은 7,564개의 표지인자, 모든 개체에서 이형으로 나타난 47개 표지인자 및 결측률이 10% 이상인 1,830개의 표지인자가 나타나 분석에 앞서 사전 제거를 실시하였으며, 남은 44,133개의 표지인자를 체중형질과 표지인자간 연관성 분석하는데 이용하였다. 체중에 영향하는 고정효과에 대해 일반선형모형을 설정하여 사전 보정을 실시하였으며, 여기서 얻어진 잔차값을 이용하여 표지인자와 월령별 체중간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장의 유전체 정보 중 통계적 판단의 오류를 고려하여 연관성이 강한(p<10-6)표지인자가 생시(BWB), 3주령(BW3), 10주령(BW10) 및 20주령(BW20) 체중에서 각각 657개, 846개, 49개, 122개로 추정되었다. 생시와 3주령 체중에 공통으로 유의적 영향을 하는 표지인자가 286개로 나타났으며, BWB와 BW10에서 5개, BWB와 BW20에서 8개, BW3와 BW10에서 13개, BW3과 BW20에서 11개, BW10과 BW20에서 1개로 나타났다. 또한 염색체별 성장형질에 영향하는 표지인자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주령별 체중에 영향하는 표지인자는 전장의 유전체에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생시 및 3주령 체중에 영향하는 표지인자는 특정 염색체(SSC9)에서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p<10-15)를 나타내는 유전자 좌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DNA samples were extracted from brood samples of 417 F2 progenies of 71 hybrids crossbred between 18 Jeju Native Black pigs and 16 Landrace pigs. All of F2 progenies were genotyped by way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using Porcine SNP 60k BeadChip. Phenotypic observation of birth weight, 3 week weight, 10 week weight and 20 week weight on F2 progenies was also made. It was investigated on which genotypes by SNP were associated with these traits on whole genome wide cases using single regression method. SNP genotypes either missing over 10%, or monomorphic or all heterozygous were removed with assuming outliers. A total of 44,133 SNPs were validated with above criteria. All traits were regressed onto SNP data us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after correcting for the effects of sex, parity of dam and age at slaughter. Numbers of significantly (p<10-6) associated SNP markers after correcting local false discovery rate were 657, 846, 49 and 122, for birth weight, 3 week weight, 10 week weight and 20 week weight, respectively. The number of significantly duplicated SNP markers were 286 between BWB and BW3, 5 between BW and BW10, 8 between BWB and BW20, 13 between BW3 and BW10, 11 between BW3 and BW20, 1 between BW10 and BW20. The significant markers for BWB and BW3 in whole genome were evenly distributed and especially 9 chromosome existed strong significant markers(p<10-15). There were, however, significant markers for BW10 and BW20 in just some chromosome. All significant markers associated with growth traits were broadly distributed and different patterns were shown by ag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온도, 아미노산 및 폴리아민이 고추의 화분 발아에 미치는 영향 김소희, 허유, 박은지, 손병구, 최영환, 이용재, 박영훈, 서정민, 조재환, 홍창오 [외] pp.1-8

이상고온 조건이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허유, 김소희, 박은지, 손병구, 최영환, 이용재, 박영훈, 서정민, 조재환, 홍창오 [외] pp.9-15

삼나무의 영급별 지상부 및 지하부 바이오매스 추정 서연옥, 이영진 pp.17-23

녹지삽목에 의한 고로쇠나무류의 대량증식 :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삽목시기, 삽수의 부위 및 옥신처리의 효과 김장수, 나성준, 문현식, 김진수 pp.25-34

복숭아 연화과정 중 숙도별 품질요인 및 세포벽 관련물질의 변화 천종필, 김진국 pp.35-42

청보리 발효사료 첨가가 비육돈의 성장, 도체형질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김회윤, 김삼철, 추교문, 하지희, 이성대, 송영민 pp.43-51

구제역 바이러스의 공기 중 전파 관련 위험성 평가 및 대기 확산 모델 적용 김기연, Kritana Prueksakorn, 김태형, 손원근, 고한종, 정경임, 김치호, 김현태 pp.53-63

Impaired bacterial proliferation, and compromised immune response in diabetic db/db mice infected with Brucella abortus Dae-Geun Kim, Jin-Ju Lee, Hannah Leah Simborio, Alisha Wehdnesday Bernardo Reyes, Wongi Min, Hu-Jang Lee, Hong-Hee Chang, Suk Kim pp.65-74

제주재래돼지와 랜드레이스간 F2 교잡종 집단에서 성장형질과 전장의 유전체 정보간 연관성 분석 조충일, 이준호, 박병호, 이득환 pp.75-84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다슬기와 마늘 혼합 추출물의 최적 제조조건 예측 정우재, 강민정, 김라정, 윤환식, 신정혜 pp.85-92

Influences of partial replacement of sodium chloride with potassium chloride, potassium lactate and calcium ascorbat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pork ham during cold storage Sang-Keun Jin, Il-Suk Kim, Jin-Yeon Jeong, Suk-Nam Kang, Dae-Keun Shin, Gap-Don Kim pp.93-102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개똥쑥의 항산화 활성을 위한 최적 추출 조건 확립 이수정, 강재란, 김정균, 강신권, 성낙주 pp.103-113

농촌지역 단위마을 내 탄소 유출입을 통한 탄소순환 분석 최은규, 김치호, 김종구, 유영선, 문병은, 김현태 pp.115-126

태양에너지 이용에 관한 실험적 검토 윤성욱, 신익수, 최만권, 김현태, 윤용철 pp.127-134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Linkage and QTL mapping for Sus scrofa chromosome 3 네이버 미소장
2 Controlling the False Discovery Rate: A Practical and Powerful Approach to Multiple Testing 네이버 미소장
3 Detec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growth and fatness in pigs 네이버 미소장
4 Linkage and QTL mapping for Sus scrofa chromosome 4 네이버 미소장
5 Carcass Yields and Meat Quality by Live Weight of Korean Native Black Pigs 소장
6 Cho, Y. M., H. B. Yoon, Y. C. Lee, K. S. Seo, S. D. Kim, and Y. I. Park. 2001. A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pig (KNP) and Landrace using individual growth curve parameters. J. Anim. Sci. & Technol. (Kor.) 43: 817-822. 미소장
7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mapping for growth traits in the mouse: A review 네이버 미소장
8 Commercial application of marker- and gene-assisted selection in livestock: strategies and lessons. 네이버 미소장
9 Goddard, M. and B. Hayes. 2009. Mapping genes for complex traits in domestic animals and their use in breeding programmes. Nat. Rev. Genet. 10: 381-391. 미소장
10 Effects of ADCYP1R1, FABP3, FABP4, MC4R, MYL2 Genotypes on Growth Traits in F 2 Population Between Landrace and Jeju Native Black Pig 소장
11 Hayes, B. J. 2008. QTL mapping, MAS and Genomic selection. Course Notes. 미소장
12 Hayes, B. J., P. J. Bowman, A. J. Chamberlain, and M. E. Goddard. 2009. Invited review: Genomic selection in dairy cattle : Progress and challenges. J. Dairy Sci. 92: 433-443. 미소장
13 Jing, H. Z. and colleagues with inputs from Kurt Hornik and Brian Ripley. 2011. gap: Genetic analysis package. R package version 1.1-3. http://CRAN.R-project. org/package=gap. 미소장
14 Analysis of Carcass Characteristics by Gender and Carcass Grades of Jeju Native Pigs 소장
15 Lee, S. H., D. J. Lim,, G. W. Jang, Y. M. Cho, B. H. Choi, S. D. Kim, S. J. Oh, J. H. Lee, D. H. Yoon, E. W. Park, H. K. Lee, H. K. Hong, and B. S. Yang. 2012.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to identity QTL for growth taits in Hanwoo. Anim. Sci. & Technol. (Kor.) 54: 323-329. 미소장
16 Linkage and QTL mapping for Sus scrofa chromosome 2 네이버 미소장
17 Luo, Z. W. 1998. Linkage disequilibrium in a two-locus model. Heredity. 80:198-208. 미소장
18 Mapping multiple QTL using linkage disequilibrium and linkage analysis information and multitrait data 네이버 미소장
19 Meuwissen, T. H. E., B. J. Hayes, and M. E. Goddard. 2001. Prediction of total genetic value using genome-wide dense marker maps. Genetics. 157: 1819–1829. 미소장
20 Misztal, I., A. Legarra, and I. Aguilar. 2009. Computing procedures for genetic evaluation including phenotypic, full pedigree, and genomic information. J. Dairy Sci. 92:4648-4655. 미소장
21 Single- and joint-population analyses of two experimental pig crosses to confirm quantitative trait loci on Sus scrofa chromosome 6 and leptin receptor effects on fatness and growth traits. 네이버 미소장
22 SAS. 2010. SAS/STAT Software. Release 9.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미소장
23 A Fast and Flexible Statistical Model for Large-Scale Population Genotype Data: Applications to Inferring Missing Genotypes and Haplotypic Phase 네이버 미소장
24 A genetic variation map for chicken with 2.8 million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