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지적장애 학생의 성교육 프로그램 지원 방안 / 추연구 ; 김은영 1
〈요약〉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 문제 3
II. 연구 방법 4
1. 분석 대상 논문 4
2. 분석 기준 4
3. 분석자간 신뢰도 및 자료 처리 5
III. 연구 결과 6
1. 연구 주제 7
2. 연구 대상 8
3. 성교육 방법 9
4. 성교육 자료 내용 9
IV. 논의 및 제언 10
1. 논의 10
2. 제언 15
참고문헌 16
〈ABSTRACT〉 1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문선, 손경수, 박경희(2000). 정신지체 특수교육 초, 중, 고등부 학생들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2000년 특별 연구교사 최종연구 보고서. | 미소장 |
2 | 공미혜(2004). 성과 성정치학. 서울: 한울. | 미소장 |
3 | The Effects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소장 |
4 | The Real Situation of the Education both to Teachersand to Student on the Sex Educationin Mental Disability School | 소장 |
5 | Comparison of teachers' and parents' attitude on sex education of mentall-retarded children | 소장 |
6 |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Social Sexuality for Mental Retarded Adolescences | 소장 |
7 | 김성애, 이지연(1998). 우리가 성에 관해 알고 싶은 것, 그러나 포르노에도 하이틴로맨스에도 나와 있지 않은 것. 서울: 또 하나의 문화. | 미소장 |
8 | 김수현(2000).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 고등부 교사들의 성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시와 경기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9 | Review of Korean research on sexuality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소장 |
10 | The Perception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bout The Sex Educa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소장 |
11 | 김진호, 박재국, 방명애, 안성우, 유은정, 윤치연, 이효신(2006). 최신특수교육(8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12 | 김창호(1996). 정신지체인의 성징과 성교육.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3 |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sexual education and sexual behaviors: comparison with perception differences on attitudes between mentally retarded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 소장 |
14 | An Exploratory Study on Digital Contents-based Life-long Sex Educ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 소장 |
15 | Effects of the Self-determination Activity Program o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소장 |
16 | Merleau-Ponty 몸의 성 현상 분석과 성 윤리 교육 | 소장 |
17 | 신현기(2000). 정신지체인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신지체장애인을 위한 성교육(pp.6-12). 한국성폭력상담소. | 미소장 |
18 | 원유정(2003). 성 주체적 관점에서 본 성문제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 방향.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9 | 청소년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소장 |
20 | Sex Education Guide for the Mentally Retarded Adults | 소장 |
21 | 정진옥(1997). 정신지체 여성의 성지식, 성적태도 및 성적 경험에 관한 일 연구: 18-30세의 시설 거주인과 자택거주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2 | 경도정신지체아를 위한 학교수준별 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 |
미소장 |
23 | A Study on the Appropriate Way to Offer Sex Education of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
미소장 |
24 | Pubert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for a change of understanding and attitude | 소장 |
25 | The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Sexual Subjectivity of Adolescents - Focused on Girls’High School Students - ![]() |
미소장 |
26 | 정신지체아 부모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 소장 |
27 | Study on Support for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소장 |
28 | 지적장애 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기결정기술에서 자기선택의 촉진 방안 | 소장 |
29 | 한국성폭력상담소(2000). 정신지체 장애인을 위한 성교육. 서울: 한국성폭력상담소. | 미소장 |
30 | 한국청소년상담원(2010). 아동・청소년 성보호를 위한 학교관리자 대상 성교육. 서울: 한국성폭력상담소. | 미소장 |
31 | 한은주(2003). 청소년의 주체적인 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32 | 홍봉선, 남미애(2007). 청소년 복지론. 서울: 공동체. | 미소장 |
33 | 上田晴男, 小林博, 明千惠, 本間弘子, 高山直樹.(2000). 施設変革と自己決定-知的障害者福祉の実践(2). 權利としての自己決定. 施設変革と自己決定編集委員会. 東京: エンパワメント硏究所. | 미소장 |
34 | Edmonson, B.(1980). Sociosexual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Exceptional Education Quaterly, 1, 67-80. | 미소장 |
35 | Fisher, W. A., Fisher, J. D., & Harman, J.(2003).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A general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promoting health behavior: in social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health and illness. Walden, MA: Blackwell Pulblishing. | 미소장 |
36 | Iwata, B. A., Bailey, J. S., Neef, N. A., Wacker, D. P., Repp, A. C., & Shook, G. L. (Eds).(1996). Behavior analysis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68-1995: Reprint series. Lawrence, KS: Society for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 미소장 |
37 | The Attitudes Of Individuals With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Towards Sexuality ![]() |
미소장 |
38 | Dating-skills group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Social skills and problem-solving versus relaxation training. ![]() |
미소장 |
39 | Repp, A. C.(1983). Teaching the mentally retard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 미소장 |
40 | Education in Human Sexuality for Young People with Moderate and Severe Mental Retardation ![]() |
미소장 |
41 | Whitehouse, M. A., & McCabe, M. P.(1997). Sex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ow effective are they?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1), 229-240. | 미소장 |
42 | Zelman, D. B., & Tyser, K. M.(1979). Essential adult sex education for the mentally retarded ease sequential curriculum guide. Wisconsin: James Stanfield Film Associate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