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대학생의 효에 대한 인식과 가족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배문조 ; 박세정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II. 이론적 배경 2

1. 효의식 2

2. 가족가치관 3

III. 연구방법 4

1. 연구대상 및 절차 4

2. 측정도구 4

IV. 연구결과 및 해석 4

1. 효의식 4

2. 가족가치관 6

V. 결론 및 제언 7

참고문헌 8

저자소개 10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구시내 대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효의식, 효도이유 및 가족가치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효의식은 전체 대학생 모두 평균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효의식을 보여주었고 효도 이유에 대해서는 희생, 애정, 동정, 재산상속에 대해서 남녀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가치관은 전체 대학생 모두 다소 낮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비전통적인 가족가치관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고 남녀간의 차이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 남성이 보다 전통적인 가족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살펴보면 하위변인별로 차이가 있으나 부모친밀감이 가족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공감형성과 친밀한 관계형성을 위한 세대간 교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으로 가족간의 유대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필요성이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gender on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in undergraduates. The researched were 155 male and 176 female students in Daegu.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 of filial piety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mily values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Finally, the variable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family values were gender, awareness of emotion supporting, financial supporting, physical supporting, and attachment with their paren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충돌음 합성에 의한 가상환경의 청각적 인터랙션 디자인 남양희 pp.1-8

보기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방송콘텐츠 심의를 위한 DB 시스템 개선 방안 박천일, 주정민, 이영주 pp.9-18

보기
에너지 절감을 위한 무선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심갑식, 장재혁 pp.19-27

보기
움직임 보상 보간 프레임에 대한 시공간적 통계특성에 기초한 블록기반의 신뢰도 평가 방법 김진수 pp.28-36

보기
소셜 게임플레이 행동패턴의 탐색적 접근 : World of Warcrafts를 중심으로 송승근 pp.37-47

보기
증강현실 콘텐츠 산업기술의 스마트폰 환경 모바일 아트 활용 가능성 김희영, 신창옥 pp.48-57

보기
<Up>의 캐릭터에 내재된 두려움과 욕망 분석 :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론에 근거하여 양세혁 pp.58-70

보기
<완득이>의 상업전략과 사회질서의 유지·재생산 :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으로 계운경 pp.71-81

보기
가치사슬 구조로 본 저예산 디지털 영화제작 시스템의 안정을 위한 연구 김진욱 pp.82-89

보기
K-POP 한류의 성공요인분석과 한류 지속화 방안연구 : 스마트 미디어 기반 실감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조병철, 심희철 pp.90-102

보기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활용 PR 전략 차영란 pp.103-116

보기
인터랙티브 전자책의 스토리보드 기반 독자 이해도 평가법 김시원, 남양희 pp.117-125

보기
사회조사에서 사진자료의 점화효과 분석 조은희, 조성겸 pp.126-134

보기
사용자 욕구조사를 통한 해양레저용품(Bodyboard)디자인 컨셉개발 강범규 pp.135-145

보기
유아용 서사 창작 어플리케이션의 스토리-리텔링 구조 분석 한혜원, 류민수 pp.146-158

보기
사설안내표지판 관리지침의 디자인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전시 사설안내표지판 디자인 관리지침을 중심으로 김영국, 주연정 pp.159-169

보기
공공 공연장 CEO의 리더 스타일이 품질경영 활동과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계화, 김화례 pp.170-182

보기
문화콘텐츠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기술(CT) 분류체계 연구 김효영, 박진완 pp.183-190

보기
최신 영화 VOD 이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컨조인트 분석 임정수 pp.191-198

보기
장소가치 개념에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 방안 어정연 pp.199-209

보기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 관리, 무용활동만족, 공연자신감의 관계 이화석, 최재희 pp.210-222

보기
가압류의 처분금지효와 관습상 법정지상권 : 대법원 전원합의체 2012. 10. 18. 선고 2010다52140 판결 정구태 pp.223-233

보기
요양보호사의 노동인권에 관한 고찰 전찬희 pp.234-242

보기
예술인복지법 정책결정과정 연구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최정민, 배관표, 최성락 pp.243-252

보기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이용재 pp.253-261

보기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서신자, 정민숙 pp.262-274

보기
대학생의 효에 대한 인식과 가족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배문조, 박세정 pp.275-285

보기
D 유형 성격에 따른 관상동맥질환자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차경숙, 임수미, 조옥희 pp.286-294

보기
부산지역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감염방지를 위한 지식과 실천도에 관한 분석 김혜영, 남설희 pp.295-302

보기
초음파영상에서 갑상선 결절의 컴퓨터자동진단을 위한 Texture Features 알고리즘 응용 고성진, 이진수, 예수영, 김창수 pp.303-310

보기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생의 스트레스 경험 심경순 pp.311-321

보기
신체활동 작업치료가 치매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유나, 박지혁, 임경민 pp.322-331

보기
병원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 개발 박미정, 김인숙, 함영림 pp.332-341

보기
외래서비스 이용과 건강행태 신민선, 이원재 pp.342-353

보기
재가노인 낙상환경위험 평가도구 개발 박은옥, 장인순 pp.354-365

보기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위험 정도에 따른 사회 심리적 건강 정미영, 조옥희 pp.366-376

보기
CEO특성, 경영혁신, 경영통제시스템 적합성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재진 pp.377-386

보기
보험회사 국제회계기준 적용에 따른 재무제표 전환의 실증연구 김종원 pp.387-395

보기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 트위터의 검색네트워크 유병국, 김순홍 pp.396-407

보기
전자책 사용자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단말기유형의 조절효과 김근형, 김성인, 오성렬 pp.408-419

보기
중국 영화산업의 현황과 활성화방안 김언군, 배기형 pp.420-435

보기
온라인 거래 환경에서의 상품 만족에 관한 이해 조현, 박상선 pp.436-442

보기
아동의 인터넷콘텐츠 사용에 대한 접근성과 주관적·사회적 규범의 영향 연구 옥경영 pp.443-450

보기
바이크 사용자용 지능형 Smart Sizing 및 Fitting 시스템 구현 연상호, 윤달환 pp.451-458

보기
문화유산 관광지의 서비스 품질이 관광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고궁(경복궁)의 전문성과 수정 HISTOQUAL을 중심으로 양해윤, 전인오 pp.459-471

보기
한식로하스의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본관광객을 중심으로 임미라, 안대희, 임지현 pp.472-784

보기
이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사행하도 흐름모의 이해균, 이남주 pp.485-492

보기
신규 서비스 개발 시 사용자 참여 효과 및 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 : 국내 디지털콘텐츠 산업을 중심으로 양희태, 이기백, 최문기 pp.493-505

보기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모형 개발 이재호, 손찬희, 안성훈, 안경진, 정광훈 pp.506-516

보기
AHP분석 방법을 통한 경상남도 평생교육진흥 정책 우선순위 결정 윤지수 pp.517-526

보기

참고문헌 (5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 E. Maccoby and J. A. Martin,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 Parent-child interaction. In E. M. Hetheringt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1983. 미소장
2 최점화, 청소년의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미소장
3 Study on the Family Value Orientation of Unmarried Adult Child : Relationship to the Family Value Orientation of their Parents and Related Variables 소장
4 한상암, 정덕영, “경찰공무원의 가치관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제4권, 제2호,pp.447-452, 2006. 미소장
5 장인협, 우국희, 케어․케어메니지먼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미소장
6 한국인의 효행의지와 연령층들간의 차이 소장
7 모선희, “효윤리의 현황과 과제 : 대학생의 효의식을 중심으로”, 노인사회정책연구, 제16권, pp.63-84,2000. 미소장
8 박영란, 뇌졸중 환자가족의 부담감과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미소장
9 A study on Generation Gap and Variables of Caregiving Awareness: Focused on Views of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소장
10 박임옥, 중학생과 부모의 세대차 인식과 심리·행동차이에 대한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미소장
11 조성남, 윤옥경, “가치관과 행위양식의 세대간차이와 유사성”, 사회과학연구학회논문집, 제5권,pp.103-135, 2000. 미소장
12 남정숙, 청소년들의 부양의식에 따른 세대차이와 부양결정 변인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13 Family Support Satisfaction and Caregiving Burden by Familism 소장
14 박수현, 대학생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남·여 대학생을 중심으로,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15 The Influence of Family Functioning and Familism on Awareness of parent-Supporting in College Students 소장
16 The Effect of Family Concept and Familism on Family Strengths among University Students 소장
17 김정옥, “한국 도시가족의 부부관계”, 신라대학교 학술논문집, 제8권, pp.293-306, 1980. 미소장
18 공보처, 한국인의 의식, 가치관조사, 1996. 미소장
19 V. L. Bengtson, The problem of generations: Age Group contrast continuities and socail change. In Bengtson, V. L and Schaie K. W.(Eds.), The course of later life. Springer, 1989. 미소장
20 family value orientations among adolescent, middle and old generation 소장
21 가족개념인식과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소장
22 R. J. Harris, "The examination of effects of ethnicity, socioeconomic status and generation on familism and sex role orientation,"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Vol.11, pp.173-193, 1980. 미소장
23 V. L. Bengtson, N. E. Cutler, D. J. Mangen, and V. M. Marshall, Generation, cohorta and relations between age groups in R. Bimstock & E. Sanana(eds.). Handbook of aging and th social science, Van Nostrand Reinholt. 1985. 미소장
24 고영복, “사회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의발전과 사회학”, 한국사회학, 제17권, 제1호,pp.25-40, 1983. 미소장
25 임종권, 한국논인의 실태, 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95. 미소장
26 현대 한국인이 인식하는 효 : 척도와 차원 소장
27 Perceptions Practices of Korean's Filial Piety, "Hyo." 소장
28 이보현, 청소년의 효의식과 부양의식이 부모 부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
29 서소영, 신세대며느리의 시부모부양에 따른 보상, 부양의식, 부양행동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미소장
30 손서희, 기혼자녀와 부모간의 친밀감에 따른 부양행동 및 부양부담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미소장
31 전통적인 효의식과 아들선호사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노년층과 장년층 비교 연구 소장
32 가정의 심리적 과정환경과 대학생의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소장
33 황길웅, 한국청소년의 가족가치관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4. 미소장
34 강숙경, “가정의 심리적 과정환경과 대학생의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3호, pp.85-95, 1992. 미소장
35 송근자, 가족주의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대학생의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동아대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미소장
36 Filial piety and familism of the undergraduates and consciousness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소장
37 성인자녀의 노부모 부양분담정도와 부양에 따른 부담감 소장
38 옥선화, “90년대 한국 가족의 변화와 가족생활의방향”, 한국가정관리학회, 제23차 총회 및 학술대회자료집, 1998. 미소장
39 Study of College Students' Familism and Awareness of Parent-Supporting 소장
40 A Survey on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among the Citizens of Seoul 소장
41 서정아, 결혼 및 자녀에 대한 대학생들의 가치관연구 :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미소장
42 신수진,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미소장
43 김윤, 가족관계에 대한 가치의식 및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과 안동지역의 주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3. 미소장
44 정옥분, 정순화, 홍계옥, 결혼과 가족의 이해,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5. 미소장
45 家族主義價値 測定을 위한 基礎硏究 ; 家族主義尺度 製作을 중심으로 소장
46 Study of College Students' Familism and Awareness of Parent-Supporting 소장
47 이은민,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들의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미소장
48 김용순,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49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on Qualit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d Daughters / Daughters-in-law and Their Elderly Mothers / Mothers-in-law 네이버 미소장
50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부모 부양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51 신수진,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 부양의식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3. 미소장
52 임춘희, 분가한 도시 장남 부부의 부양의식 유형 -세대간 유대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87. 미소장
53 유은희, 기혼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발달유형과 결혼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0. 미소장
54 송현애, 부양을 중심으로 한 노모-성인자녀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미소장
55 정재기,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 빈도와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한국인구학회, 제30권, 제3호, pp.157-178, 2007. 미소장
56 Individual and Family-Related Characteristics of Parentified Children: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Self-Report and Counseling 소장
57 A Study on Sex Role Identity and Family Group Characteristics among University Students 소장
58 치매와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고찰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