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국인의 정신건강 교양 함양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고찰 / 김진영 ; 고영건 1

[Title] 1

〈국문요약〉 2

I. 서론 3

II. 정신건강 교양 증진의 필요성 5

III. 정신건강 교양과 플로리시의 패러독스 7

IV. 정신겅강 교양의 경험적 증거: 성인발달 연구 11

V. 정신건강 교양으로서의 자아의 지혜 13

VI. 정신건강 교양으로서의 삶의 위험요인과 탄력성 요인에 대한 이해 16

VII. 정신건강 교양 증진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20

VIII. 결론 24

〈참고문헌〉 25

Abstract 29

초록보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34개 회원국 중 한국은 국가의 역량지표 중 하나인 국가행복지수에서는 최하위권에, 자살률에서는 최상위에 해당된다. 이러한 사실들은 한국인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사회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한국인의 정신건강 교양 함양을 위한 긍정심리학적인 고찰을 진행하였다. 정신건강 교양은 정신장애의 인식, 관리, 혹은 예방에 도움이 되는 정신건강 관련 지식과 신념을 뜻한다. 그리고 긍정심리학은 삶의 질을 높이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개인의 긍정적인 경험과 특성 그리고 사회의 긍정적인 제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글에서는 하버드 대학의 성인발달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정신건강 교양과 관계된 심리적 요인들로서 자아의 지혜, 삶의 위험요인과 탄력성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정신건강 교양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긍정심리학적 프로그램이 제안되었다.

Korea ranks 32nd out of the 34 member countrie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in terms of the ‘happiness index’ which is the national empowerment index. As of year 2010, Korea shows 31.2 suicide rates per 100,000 people, which ranks among the highest in the OECD member countries (12.8 on average). These facts indicate the urgent need for preparing social measures to mental health problems of the Koreans. Taking this problematic issue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manuscript examines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literacy of the Koreans from the perspectives of positive psychology. Mental health literacy denotes knowledge and beliefs on mental health which are helpful for recognition, management, or prevention of mental disorders. Positive psychology is a scientific study of positive experiences and traits of individuals, where positive institutions of a society increases the quality of life and prevents illness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dult Development Study at Harvard University, the present manuscript investigates psychological factors relevant to mental health, and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mental health literac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인의 정신건강 교양 함양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고찰 김진영, 고영건 pp.5-34

보기
도덕의 본질에 대한 연구 토대로서의 생래적 도덕 감정 : 그 한계와 보완 가능성을 중심으로 김성한 pp.35-62

보기
통일 독일의 사회통합의 장애요인 : 정치적 쟁점을 중심으로 문태운 pp.63-91

보기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영건·김진영, 2012, 『멘탈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미소장
2 고영건·안창일, 2007, 『심리학적인 연금술』, 서울: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3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Focusing on Mental Fitness and Positive Psychotherapy 소장
4 리차드 도킨스(Richard Dawkins) 저, 이한음 역, 2005, 『악마의 사도』, 서울: 바다출판사. 미소장
5 보건복지부, 2005, 『우리나라 자살의 사회·경제적 비용부담에 관한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미소장
6 보건복지부, 2012, 『OECD Health Data 2012을 통해 본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실태』, 서울: 보건복지부. 미소장
7 임영진·고영건·신희천·김용래, 2010, “한국인의 행복 및 정신건강 지수: 한국인의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서울, 8월 19일). 미소장
8 조선일보, 2012, “한국 자살률 8년째 OECD 1위... 4년 새 50% 급증”, 『조선일보』 (9월 10일): 10. 미소장
9 통계청, 2012, 『2011년 사망원인통계결과』, 서울: 통계청. 미소장
10 통계청, 2011,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 http://kosis.kr/region/region_0101List.jsp?VW_CD=MT_GTITLE01 미소장
11 A Study on the Structure of Quality of Life in OECD Member Countries 소장
12 Gilbert, Daniel, 2006, Stumbling on Happiness. New York: Vintage Books. 미소장
13 Hofer, Myron A., 1984, "Relationships as Regulators: A Psychobiologic Perspective on Bereavement", Psychosomatic Medicine Vol. 46, No. 3, pp. 183-197. 미소장
14 Huppert, Felicia A. & T. C. So Timothy, 2009, “What Percentage of People in Europe are Flourishing and What Characterises Them?”, The OECD/ISQOLS meeting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an opportunity for NSOs?” (Florence, July 23-24). 미소장
15 Jahoda, Marie, 1958, Current Concepts of Positive Mental Health.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16 Mental health literacy. Public knowledge and beliefs about mental disorders. 네이버 미소장
17 "Mental health literacy": a survey of the public's ability to recognise mental disorders and their belief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네이버 미소장
18 Keyes, Corey L. M., 2003, “Complete Mental Health: An Agenda for the 21st Century”, in. Keyes, Corey L. M. & Jonathan Haidt (Eds.),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d, pp. 293–31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소장
19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네이버 미소장
20 Promoting and protecting mental health as flourishing: a complementary strategy for improving national mental health. 네이버 미소장
21 New perspectives regarding positive mental health. 네이버 미소장
22 Mental fitness. 네이버 미소장
23 Maddux, James E., C. R. Snyder, and Shane J. Lopez, 2004, “ Toward a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Deconstructing the Illness Ideology and Constructing an Ideology of Human Strengths and Potential”, in. Linley, P. Alex & Stephen Joseph (Eds.),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 pp. 320-334, Hoboken, NJ: Wiley. 미소장
24 Maslow, Abraham H., 1971,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New York: Viking. 미소장
25 Nutbeam, Don, Marilyn Wise, Adrian Bauman, Elizabeth Harris, and Stev Leeder, 1993, Goals and Targets for Australia's Health in the Year 2000 and Beyond, Canberra: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미소장
26 Peterson, Christopher, 2006, A Premier in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7 Polanyi, Michael, 1966, The Tacit Dimens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28 Sandler, Joseph, Anna Freud, 1985, The Analysis of Defense: The Ego and the Mechanisms of Defense Revisited,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미소장
29 Seligman, Martin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미소장
30 Seligman, Martin E. P.,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ew York: Free Press. 미소장
31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네이버 미소장
32 Vaillant, George. E., 1977, Adaptation to Lif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3 Vaillant, George. E., 1993, The Wisdom of the Ego.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4 Vaillant, George. E., 2002, Aging Well. Boston: Little Brow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