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노안 연령층에서 인쇄물에 적합한 한글서체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오늘날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한글서체 기준하여 9~11포인트(pt)의 작은 서체 크기에서 함초롬바탕, 신문명조 및 신명조의 3가지 서체
를 이용하였다. 대상자는 41세에서 85세 나이의 101명이었다. 원거리 교정 후 40 cm에서 0.5시력이 되도록 근거리
시력을 보정하였다. 선호도 조사 후 10 pt크기의 88자로 구성된 단어를 대상자에게 읽게 하였다. 1분 동안 바르게
읽은 글자 수를 읽기속도(words per minute, wpm)로 계산하여 가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작은 크기의 서체 크기
에서 가장 선호한 서체는 신명조였다. 각 서체별 선호 크기는 달랐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서체보다 10 pt에서 신명
조를 더 선호하였다. 함초롬바탕과 신명조는 신문명조보다 유의하게 더 빨리 가독하였다. 신명조에서 연령에 따른
가독성은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읽기속도 상위 10%와 하위 10% 간의 비교에서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보
다 평균연령과 가입도가 낮았으나 서체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신명조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가독성은 낮은 경향
을 보였으나 선호도와 가독성 관점에서 볼 때 노안 연령층 대상의 인쇄물 서체로 10 pt의 신명조체 사용을 권고한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 종이-미세유체공학을 이용한 건성안 검사 용지 개발 | 서영태, 노혜란 | pp.93-99 | 
 | |
| 시력교정용 안경의 세척 법에 따른 오염 균의 제균 효과 | 백승선, 김현경, 이규병, 이현주, 김흥수 | pp.101-106 | 
 | |
| 아이라이너 침착에 의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파라미터의 변화 및 세척효과의 비교 | 박미정, 김사현, 구보경, 김소라 | pp.107-115 | 
 | |
| 측정방법에 따른 AC/A비의 조사 분석 | 박상재, 곽형빈, 이세희, 곽호원 | pp.117-123 | 
 | |
| 얼렌증후군에서 컬러필터가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동준, 임현성 | pp.125-136 | 
 | |
| 무안군 소재 초등학생들의 시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 장정운, 김인숙 | pp.137-142 | 
 | |
| 백내장 수술 경향과 굴절상태 : 충북 지역의 안경원 중심으로 조사 | 김형수, 손정식, 유동식 | pp.143-148 | 
 | |
| 노안 연령에서 한글서체의 선호도와 가독성 평가 | 정신해, 손정식, 황해영, 김성근, 유동식 | pp.149-156 | 
 | |
| 가정용 3D TV의 근거리 시청이 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 | 김정호, 황해영, 강지훈, 유동식, 김재도, 손정식 | pp.157-163 | 
 | |
| 굴절이상 교정상태에 따른 동적시력 변화 | 심현석, 김상현, 강혜숙 | pp.165-171 | 
 | |
| 소아, 청소년의 나안시력과 굴절이상의 상관성 분석 | 김상문, 심현석, 심준범 | pp.173-178 | 
 | |
| Corneal asphericity and optical performance after myopic laser refractive surgery | Jeong-Mee Kim, A-Young Lee, Koon-Ja Lee | pp.179-186 | 
 | |
| 한국관박쥐 망막 원뿔세포의 조직화학적 분석 | 전영기, 주영락, 예은아, 김문숙, 전창진 | pp.187-191 | 
 | |
| 눈의 광피로회복시간 검사를 위한 도구의 탐색 | 김상엽, 문병연, 조현국 | pp.193-196 | 
 | |
| 근시안에서 암순응상태의 동공크기 | 정우재, 전인철, 강지훈 | pp.197-202 | 
 | |
| 연령대별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비교 연구 | 이완석, 예기훈, 안선정, 신범주 | pp.203-211 | 
 | |
| 소득에 따른 성장기 영양소 섭취와 굴절력과의 관계 | 예기훈, 이완석 | pp.213-229 |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 1 | Wikipedia. Readability, 2013. http://en.wikipedia.org/wiki/ Readability (5 April 2013). | 미소장 | 
| 2 | A study on the readability of web interface for the elderly user-Focused on readability of Typeface- | 소장 | 
| 3 | The effect of font and line width on reading speed in people with mild to moderate vision loss  | 미소장 | 
| 4 | Tinker MA. Legibility of print. PhD Thesi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Iowa. 1963;5-7. | 미소장 | 
| 5 | Psychophysics of reading--X. Effects of age-related changes in vision.  | 미소장 | 
| 6 | Chart construction and letter legibility/readability  | 미소장 | 
| 7 | Schieber F. Vision and aging. In Birren JE, Schaie KW.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6th Ed. Amsterdam: Elsevier, 2006;129-161. | 미소장 | 
| 8 | Effects of Background, Underline, and Color on Readability of Visually Displayed Text | 소장 | 
| 9 | Bak JH. A Study on the readability of Hangul imple mented in video media: with a focu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2011;1-34. | 미소장 | 
| 10 | Yoo JS.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formative el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ypography of digital dodum typeface in Hangul: focus on traditional square typefac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and Art. 2010;11(1):267- 280. | 미소장 | 
| 11 | Park, JB. A study on analyzing calligraphic styles of Korean textbooks and changing course of calligraphic styles according to curriculla.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011;14(2):59-68. | 미소장 | 
| 12 | Lee JH. The legibility of Hangul and the typography of ko.TEX. The Asian Journal of TEX. 2008;2(2):69-113. | 미소장 | 
| 13 | East Africa  | 미소장 | 
| 14 | Comparing methods of determining addition in presbyopes  | 미소장 | 
| 15 | The effect of font size and type on reading performance with Arabic words in normally sighted and simulated cataract subjects  | 미소장 | 
| 16 | Griffin JR, Grisham JD. Binocular Anomalies: diagnosis and vision therapy, 4th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2002;32. | 미소장 | 
| 17 | Mah KC. Dictionary of optometry and visual science, 7th Ed. Seoul: Elsevier Korea, 2010;363. | 미소장 | 
| 18 | Lee JK. A Study for the advanced direction of a textbook typeface : focus on the developed application of the exclusive typeface for a textbook.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2006;51:437-477. | 미소장 | 
| 19 | Yonhapnews. Popular Hangul font in internet //Myungjoche 13 pt//, 201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 =LSD&mid=sec&sid1=105&oid=001&aid=0004690202( 06 October 2010). | 미소장 | 
| 20 | Psychophysics of reading. XV: Font effects in normal and low vision.  | 미소장 | 
| 21 | The effects of age, viewing distance, display type, font type, colour contrast and number of syllables on the legibility of Korean characters.  | 미소장 | 
| 22 | Park SJ, Lee JS, Kang DH, Lee HJ. Legibility evaluation for the letter sizing of an electronic. The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7;5:369-378. | 미소장 | 
| 23 | An experimental study on search speed and error rate according to Korean letter size and font on search task with VDT  | 미소장 | 
| 24 | Prolonged reading tasks in visual research.  | 미소장 | 
| 25 | Fuchs J, Heyer T, Langenhan D, Hippius M. Influence of font sizes on the readability and comprehensibility of package inserts. Pharm Ind 2008;70(5):584-592. | 미소장 | 
| 26 | Does print size matter for reading? A review of findings from vision science and typography.  | 미소장 | 
| 27 | Darroch I, Goodman J, Brewster S, Gray P. The effect of age and font size on reading text on handheld computer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005;253-26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