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 Memory of Sad Times』(2001) by Kim Won-il is a chain novel which deals with four elderly men who live in a nursing home and are awaiting their deaths after reminiscing on their painful past.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ressive aspect of ‘sense of guilt' of the four elderly men and observed the reappearance of past memories displayed in the work. The comfort woman who is the protagonist, foreigners' whore, a woman confined in patriarchal ideology, a teacher with cleft lip, and a weak intellectual are portrayed as historical marginal figures as well as the victims. However, through the ‘sense of guilt' and compulsive acts which bothered the protagonists, this work displays individual story excluded in public history as well as showed a mechanism where the representation of inflictor/victim was surpassed and the past became reconstructed. Madame Han and Maam Cho Jung distort their past through self-focused confession and do not consider others such as their son or husband. In contrast to this, Scholar Yoon of「I am afraid」and Joong Ho Kim of「I do not exist」utilize the strained relations displayed in public history and in between the memories of others to break away from self-justification and view the past in an introspective manner.
The past cannot be help but become reconstructed from the current time according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perspectives. However, in this work, the elderly-men stutter or speak in an illogical way due to their old age and a moment is suggested when they face their original sin in a paradoxical manner. Additionally, the return of the past is experienced through non-verbal phenomenon of ‘physical body where original sin is imprinted' such as the body diagnosed with dementia, abnormalities in bones of lower body and stuttering symptoms, body fighting against disease, and loss of eyesight. Here, the reader is able to encounter the history of individuals who were excluded from the public discussion as well as the pain in the past history of Korea.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한국언어문학』소재 방언, 사회언어학 등의 연구 동향과 전망 | 김봉국 | pp.5-26 |
|
|
『한국언어문학』50년의 문법·의미 연구 | 서형국 | pp.27-55 |
|
|
『한국언어문학』50년과 국어 음운론 | 이진호 | pp.57-76 |
|
|
『한국언어문학』50년간의 국어교육 연구사 | 유경민 | pp.77-105 |
|
|
『물고기 강의실』의 의미론적 분석 | 박영환 | pp.107-128 |
|
|
디지털 채색 언어지도 제작 도구 개발 : 지역어 조사 사업 자료의 활용을 위하여 | 소강춘, 박진양 | pp.129-148 |
|
|
속관동곡에 나타난 작가의식과 창작기법 고찰 | 강재헌 | pp.149-173 |
|
|
명창 김세종의 생애와 판소리 이론 | 최동현 | pp.175-197 |
|
|
최송설당 문학에 나타난 자아표출 양상과 의미 | 최혜진 | pp.199-222 |
|
|
젠더 관점에서 바라본 강은교의 여성적 시쓰기 : 『풀잎』을 중심으로 | 김지연 | pp.223-249 |
|
|
신자료를 통해서 살펴본 일제강점기 출판 검열의 단면 : 『불허가출판물 병 삭제기사 개요역문(不許可出版物竝削除記事槪要譯文)』을 중심으로 | 문한별 | pp.251-275 |
|
|
김춘수의 시와 시론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 후설 현상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문혜원 | pp.277-297 |
|
|
김원일의『슬픈 시간의 기억』에 나타난 죄의식의 표출과 과거 기억의 재현 양상 | 박찬효 | pp.299-324 |
|
|
UCC 프로젝트 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높임법 교육 효과 연구 | 김태헌, 성치경 | pp.325-344 |
|
|
바람직한 통합을 위한 문법 영역의 내용 체계 구축 : '읽기' 영역과의 통합을 중심으로 | 양영희 | pp.345-372 |
|
|
글쓰기 과목의 수업 방안 모색 : 공주대학교 <창의적 사고와 표현>의 수업을 중심으로 | 조용림 | pp.373-39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원일, 슬픈 시간의 기억 ,김원일소설전집 20,도서출판 강,2011. | 미소장 |
2 | 김모세, 프랑수아 모리악의 작품에 나타난 타자의 문제 ,한국학술정보,2008. | 미소장 |
3 | 김한식,「사실의 의지와 이념의 불만:김원일의 불의 제전 연구」, 현대문학사와 민족이라는 이념 ,소명출판,2009. | 미소장 |
4 | 류보선,「죽음 앞에 선 노년:김원일의 슬픈 시간의 기억 」, 또 다른 목소리들 , 소명출판,2006. | 미소장 |
5 | The Desire of the Aged; Revealing and Concealing: Based on the Novel, the Memories of Sad Times Written by Kim, Won-il | 소장 |
6 | 역사적 기억의 내면화와 고백의 화법 | 소장 |
7 | 기억과 여성의 몸, 여성적 글쓰기 : 히스테리 담론을 중심으로 | 소장 |
8 | 양진오,「해원하는 영혼과 죽어가는 노인들:황석영의 손님 과 김원일의 슬픈 시간의 기억 」, 문학과 사회 ,2001(가을). | 미소장 |
9 |
A Woman’s Double-Layered Look and Voice as Appeared in the Novel, |
소장 |
10 | 김원일 장편소설 연구 ![]() |
미소장 |
11 | Won-Il Kim`s consciousness of division of territory, from the book of "memory of sad time" | 소장 |
12 |
A study on the Kim, Won-Il`s |
소장 |
13 | 가족, 그 슬픈 초상 : 김원일의『슬픈 시간의 기억』 | 소장 |
14 | The Aspect of Awareness of the Eldest-Son in Kim Won-il's Works | 소장 |
15 | 홍준기 엮음, 라깡,사유의 모험 ,도서출판 마티,2010. | 미소장 |
16 | Aleida Assmann,변학수․채연숙 옮김, 기억의 공간 ,그린비,2011. | 미소장 |
17 | Antoine Vergote,김성민 옮김, 죄의식과 욕망:강박신경증과 히스테리의 근원 , 학지사,2009. | 미소장 |
18 | Slavoj Zizek․Renata Salecl 엮음,라깡정신분석연구회 옮김, 사랑의 대상으로서 시선과 목소리 ,도서출판 인간사랑,201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