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 적 : 이전에 시행된 단국대학교병원의 항생제 사용 실태조사 결과, cephalosporin과 aminoglycoside이 각각 52.8%, 30.4%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였고 항생제 사용 목적을 분석한 결과, 예방 목적 대 치료 목적의 항생제 사용 비율이 각각 3.9 : 1과 3.6 : 1의 비율로 대부분의 항생제가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ephalosporin과 aminoglycoside 항생제의 수술 전후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7년 7월 한 달간 퇴원한 환자 중 14개 주요수술(전체 수술의 26.4%)을 대상으로 후향적 방법으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1) 예방적 사용이 권장된 8종류 105건의 수술 중 항생제 선택이 적절하였던 경우는 비천공성 충수절제술 2건에 불과하였다. 1세대 cephalosporin이 권장되는 7종 수술 중 37.8% (44/92건)에서만 1세대 cephalosporin을 사용하였을 뿐, 대부분의 수술에서 2세대 cephalosporin을 사용하였다.

2) 비천공성 충수절제술에서 평균 2.5 DDD의 2세대 cephalosporin을 사용하여 적정 용량 범위의 사용을 하였을 뿐, 그 외의 7종 수술에서는 모두 적정 항생제 사용량을 초과하였다. 예방적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 6종 수술 모두에서 항생제가 부적절하게 사용되었다.

3)3종의 수술을 제외한 전례에서 cephalosporin과 aminoglycoside이 병합 투여되었다.

결 론:외과적 수술 시 대부분 수술 전후로 권장량에 비해 불필요하게 항생제가 과용되고 있었고, 적응증이 아닌 경우에도 사용하고 있었으며, 항생제가 병합 사용되고 항생제의 선택도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적절한 항생제 사용 지침의 수립과 더불어 감염관리 활동의 강화, 지속적인 교육 및 관리 활동을 통한 병원 내 항생제 사용을 효과적인 조절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Background:According to previous investigation on antibiotic use at Dankook University Hospital, cephalosporin and aminoglycoside were the most commonly used antibiotics accounting for 52.8% and 30.4% of total antibiotics used, respectively. In almost all cases, antibiotics were prescribed for prophylaxis rather than for treatment the ratio for prophylaxis vs. treatment intent was 3.9:1 and 3.6: 1 for cephalosporin and aminoglycoside, respectively. Thus, we performed a study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age of cephalosporin and aminoglycoside before and after the surgical procedures.

Methods: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prophylactic use of antibiotics on 14 major operative procedures (26.4% of total operations) for patients discharged during July, 1997.

Results:Among 8 kinds of operative procedure performed on 105 cases, in which prophylactic antibiotic use was recommended, appropriate antibiotic use was observed in only 2 cases of non- perforating appendectomy. For 7 operative procedures, in which use of 1st generation cephalosporin is recommended, 1st cephalosporins were used only on 37.8% (44/92) of cases, whereas 2nd cephalosporins were used for most of other cases. An average of 2.5 DDD of 2nd cephalosporin, which was a pertinent dose, was used on non-perforating appendectomy. However, on all the other 7 operative procedures, the dose exceeded the recommended dose. Inappropriate antibiotic use was observed for 6 operative procedures, for which prophylactic antibiotic use was not recommended. The combination of cephalosporin and aminoglycoside was used in all but 3 types of operative procedures.

Conclusion:During most of the pre- and post-operative period, antibiotics were combined, overused, misused, and inappropriately u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급성 화농성 심낭염을 동반한 Proteus vulgaris 간농양 : 증례 보고 및 국내 문헌 고찰 강도연, 김태효, 김현진, 정운태, 이옥재, 조중현, 김형준, 김홍준, 민현주 pp.46-49

일개 대학병원에서 수술시 예방적으로 사용한 Cephalosporin과 Aminoglycoside 계열항생제 투여량의 적정성 평가 임인수, 최대옥, 박우성, 배현주, 최은경, 오형태 pp.24-31

아시아 지역 폐렴 구균의 항균제 내성 현황 및 변화 양상 정숙인, 이남용, 송재훈, 고관수, 김연숙, 오원섭, 백경란, 김나영, 손준성, 기현균, 서지연, 장현하 pp.1-10

경구용 약독화 장티푸스 생균 백신의 면역원성과 안전성 오미혜, 손장욱, 김익상, 신영규, 신동한, 피대훈, 최병민 pp.11-17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 분리 환자에서 황색포도알균의 내성 김동욱, 장철훈, 김영대, 곽임수, 류선, 이선희, 신선혜, 김혜진 pp.18-23

Oxygen Stimulates the Expression of Iron-Repressible High-Affinity Iron-Uptake Systems of Staphylococcus aureus : Application of CAS agar diffusion assay 임용, 정춘해, 조수형, 조남수, 이승일, 정재용, 신성희 pp.32-39

혈액질환 환자에서 조혈모세포 이식과 화학요법 후의 침습성 진균감염의 분석 유진홍, 이동건, 최수미, 신완식, 김춘추, 최정현 pp.40-45

후천성 면역 결핍증 환자에서 조직생검으로 확진된 진행성 다발성 백질뇌병증 1예 이중민, 신소연, 최준용, 장경희, 송영구, 김준명, 진범식, 박윤선, 최석훈, 한상훈, 이꽃실, 박윤수, 조정호 pp.50-53

호중구감소증 환자에서의 기관-기관지 아스페르길루스증 1예 권재철, 이동건, 이석, 신완식, 김춘추, 김성용, 박선희, 최수미, 손명준, 김기조, 오유경 pp.54-58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Gould IM, (1994) Risk factors for acquisition of multiply drug-resistant gram-negative bacteria, 미소장
2 Daikos GL, (2003) Multidrug-resistant tuberculous meningitis in patients with AIDS, 미소장
3 Rheem I, (1998) Individual drug day (IDD) as a measure of antibiotic usage in a University Hospital : A New Approach, 미소장
4 Garner JS, (1988) CDC definitions for nosocomial infections,1988, 미소장
5 Bergman U, (1984) Measurement of drug utilization in Sweden:methodolog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미소장
6 Friis H, (1989) Use of antibiotics in general practice in Denmark in 1987, 미소장
7 Truter I, (1996) A drug utilisation study investigating prescribed daily doses of hypolipidaemic agents, 미소장
8 Dellinger EP, (1994) Quality standard for antimicrobial prophylaxis in surgical procedures. , 미소장
9 Kaiser AB, (1986) Antimicrobial prophylaxis in surgery, 미소장
10 Pai H, (1997) Strategies for optimal antibiotics usage to control antimicrobial-resistant microorganisms in hospital, 미소장
11 Chopra I, (1996) New approaches to the control of infections caused by antibiotic-resistant bacteria.An industry perspective, 미소장
12 Trnobranski PH, (1998) Are we facing a 'post-antibiotic era'?--a review of the literature regarding antimicrobial drug resistance, 미소장
13 Burke JF, (1977) Preventing bacterial infection by coordinating antibiotic and host activity:a time-dependent relationship, 미소장
14 Ryu JS, (1989) Rational antimicrobial prophylaxis, 미소장
15 류지소, (1996) 수술전후 예방적 항생제 투여의 허와 실, 미소장
16 김준명, (2001) 국내 항생제 사용 실태조사 및 적정사용 방안에 관한 연구, 미소장
17 Shin YS, (1992) Variations of antimicrobial prescription patterns among some hospitals, 미소장
18 Heineck I, (1999) Prescribing practice for antibiotic prophylaxis for 3 commonly performed surgeries in a teaching hospital in Brazil, 미소장
19 Heineck I, (2002) Prescribing practice for antibiotic prophylaxis for cesarean section in a teaching hospital in Brazil, 미소장
20 Adams A, (1999) Incorporating surgical prophylactic antibiotic monitoring into routine nnis surveillance:a three year experienc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