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공적 발언으로서의 미술 | 권미원 | pp.176-205 |
|
|
일제강점기 남방(南方) 이미지 형성과 그 의미 | 김승익 | pp.76-96 |
|
|
근대기 지방화단 연구 : 서울화단과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김취정 | pp.7-28 |
|
|
근대기 동아시아의 문인화 담론 연구 | 박은수 | pp.29-51 |
|
|
딱지본 소설책의 표지 디자인 연구 | 서유리 | pp.52-75 |
|
|
1930년대 경성의 전시공간 | 목수현 | pp.97-116 |
|
|
미술의 공공성을 둘러싼 경합의 위상학 : 일본에서의 미술가·비평가 탄생에 대한 재해석 | 박소현 | pp.117-134 |
|
|
조양규의 조형 이미지 연구 : 전위적 방법으로서의 정치성 | 정현아 | pp.135-155 |
|
|
영상처리기법을 응용한 한국 근대회화 분석 : 이중섭과 박수근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정훈, 우정아 | pp.156-175 |
|
|
한국 산업화시대의 유토피아적 비전 | 김미정 | pp.206-227 |
|
|
중국 현대미술에서의 공적 친밀감, 또는 감정의 규율 | 케빈추아 | pp.228-248 |
|
|
'포스트-민중' 시대의 미술 : 도시성, 공공미술, 공간의 정치 | 신정훈 | pp.249-268 |
|
|
사물, 상품, 그리고 다른 공적 거래들 | 패트리시아 필립스 | pp.269-286 |
|
|
다카라즈카 가극단을 존속시키는 체계 : '관(官)'의 공동체와 '민(民)'의 공동체 | 가와사키 겐코 | pp.287-305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수미⋅강상훈, 「‘서울 집, 풀’의 사진가 강상훈과의 대담」, 서울생활의 발견 , 현실문화연구, 2003, pp. 80-113. | 미소장 |
2 | The Landscape of Alley and Nostalgia | 소장 |
3 | 마크 크레머, 「서울을 본 뒤에 죽어라, 플라잉시티 경험하기」, 에르메스 코리아 미술상 , 에르메스 코리아․아트선재센터, 2004, pp. 80-85. | 미소장 |
4 | 문영민⋅강수미, 모더니티와 기억의 정치 , 현실문화연구,2006. | 미소장 |
5 | 문영민, 「사회적 기억의 구성」, 액티베이팅 코리아 , 고벳 브류스터 갤러리와 인사미술공간, 2008, pp. 37-48. | 미소장 |
6 | 박찬경⋅이유남, 「지상토론 1범주: 문화/예술생산양식의 전화」, 문화과학 12, 1997 여름, pp. 56-69. | 미소장 |
7 | 박찬경, 「성남프롤로그」, 김태헌 편, 공간의 파괴와 생성: 성남과 분당사이 , 문화과학사, 1998, pp. 56-87. | 미소장 |
8 | 박찬경______, 「개념미술, 민중미술, 행동주의를 이해하는 기본적인관점: 민주적 미술문화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며」, 포럼 에이 2, 1998, pp. 20-23. | 미소장 |
9 | 박찬경______, 「‘개념적 현실주의’ 노트: ‘한 편집자’의 주」, 포럼 에이 9, 2001, pp. 19-24. | 미소장 |
10 | 공공미술과 미술의 공공성 | 소장 |
11 | 백지숙, 「플라잉시티, 도시 위로 날다」, 에르메스 코리아 미술상 , 에르메스 코리아․아트선재센터, 2004, p. 74. | 미소장 |
12 | 성남 프로젝트 카탈로그 , 1998. | 미소장 |
13 | 청계천 공구상가의 공간구조와 사회적 성격 | 소장 |
14 | 심광현, 「80년대 미술운동의 쟁점과 90년대 미술문화의 전망」,미술비평연구회 지음, 문화변동과 미술비평의 대응:90년대 한국미술의 진단과 모색 , 시각과 언어, 1993,pp. 13-41. | 미소장 |
15 | 심광현______, 「새로운 ‘미술운동’은 필요한가?」, 포럼 에이 2,1998, pp. 17-20. | 미소장 |
16 | 포럼 에이 편, 제4회 광주 비엔날레 초청 국제 워크숍: 공동체와 미술 , 광주비엔날레재단, 2002. | 미소장 |
17 | 이영욱, 「80년대 미술운동과 현실주의」, 민족미술협의회 편, 민족미술 영인본: 1986-1994 , 발언, 1993, pp. 170-178. | 미소장 |
18 | 전용석, 「대안공간 네트워크전 ‘럭키서울’: 서울 모더니티와 스파이 패러다임」, 2002 국제 대안공간 심포지엄 도시의 기억, 공간의 역사 , 인사아트스페이스, 2002, pp.50-54. | 미소장 |
19 | ______, 「지역주의에 근거한 도시성의 재맥락화」, 멈춤,PAUSE, 止 광주비엔날레 2002 카탈로그, 광주비엔날레재단, 2002, pp. 116-120. | 미소장 |
20 | ______, 「세속도시의 심리지리」, 강수미 편, 서울생활의 발견 ,현실문화연구, 2003, pp. 188-199. | 미소장 |
21 | ______, 「도시담론의 변화와 공공미술의 가능성」, 현대미술사학 16, 2004, pp. 203-221. | 미소장 |
22 | ______, 「어떤 도시를 꿈꾸는가: 무정형, 혹은 비공식 생활 문화에 대한 이해」 http://flyingcity.kr | 미소장 |
23 | 정성철,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역사, 이론, 실천」, 포럼 에이 2, 1998, pp. 13-15. | 미소장 |
24 | 청계천의 재자연화를 둘러싼 갈등과 쟁점 | 소장 |
25 | 청계천 프로젝트: 물 위를 걷는 사람들 , 서울시립미술관 전시도록, 2003. | 미소장 |
26 | 최민⋅성완경 편, 시각과 언어 1: 산업사회와 미술 , 열화당,1982. | 미소장 |
27 | Auge, Marc. Non-Places: Introduction to an Anthropology of Supermodernity. trans. John Howe. London and New York: Verso, 1995. | 미소장 |
28 | Buchloh, Benjamin. Neo-Avantgarde and Culture Industry: Essays on European and American Art from 1955 to 1975. Cambridge, MA: The MIT Press, 2000. | 미소장 |
29 | Géricault, the Panorama, and Sites of Reality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 |
미소장 |
30 | De Certeau, Michel.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trans. Steven Rendal,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 미소장 |
31 | Deutsche, Rosalyn. “Breaking and Entering: Drawing, Situationism, Activism,” The Activist Drawing: Retracting Situationst Architectures from Constant’s New Babylon to Beyond, eds. Catherine de Zegher and Mark Wigley, Cambridge: The MIT Press, 1999, pp. 75-81. | 미소장 |
32 | Deutsche, Rosalyn______, Evictions: Art and Spatial Politics. Cambridge, MA: The MIT Press, 1996. | 미소장 |
33 | Foster, Hal. “The Artist as Ethnographer,” The Return of the Real, MA: The MIT Press, 1996. | 미소장 |
34 | Knabb, Ken. Situationist International Anthology. Berkeley: Bureau of Public Secrets, 1981. | 미소장 |
35 | Kwon, Miwon. One Place After Another: Site-pecific Art and Locational Identity. Cambridge, MA: The MIT Press, 2002. | 미소장 |
36 | Lee, Namhee. The Making of Minjung: Democracy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South Korea.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2007. | 미소장 |
37 | Lefebvre, Henri. The Production of Space. trans. Donald Nicholson Smith, Oxford: Blackwell, 1991. | 미소장 |
38 | Lefebvre, Henri______, Writings on Cities. eds. Eleonore Kofman and Elizabeth Lebas, London: Blackwell, 1996. | 미소장 |
39 | McDonough, Tom. “Fluid Spaces: Constant and the Situationist Critique of Architecture,” The Activist Drawing: Retracting Situationst Architectures from Constant’s New Babylon to Beyond, ed. Catherine de Zegher and Mark Wigley, Cambridge: The MIT Press, 1999, pp. 93-105. | 미소장 |
40 | McDonough, Tom.______, ed. Guy Debord and the Situationist International: Texts and Documents. Cambridge, Mass.: MIT Press, 2002. | 미소장 |
41 | Sung Wan-kyung. “From the Local Context: Conceptual Art in South Korea,” Global Conceptualism: Points of Origin, 1950s-1980s, eds. Luis Camnitzer et al. New York: Queens Museum of Art, 1999, pp. 119-12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