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통보리 분쇄 사료를 급여 수준별로 5개 처리구(C:무처리구, T1: 10% 첨가, T2: 20%, T3: 30%, T4: 40% 첨가)를 두고, 비육후기 5개월 동안(각 처리 구별 6두, 총 30두 공시) 처리구별로 각각 급여한 후 48시간 육안 관찰 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 채식량(농후사료+조사료)은 T4(9.96kg) > T1(9.42kg) > C(9.22kg) > T3(8.91kg) > T2(8.51k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채식시간은 T4 > T3 > C > T1 > T2구 순이였으며 (P<0.01), 반추시간은 T4 > T1 > C > T3 > T2구 순으로 나타났다 (P<0.05). 그러나 휴식시간은 반추시간과 반대로 T2 > T1 > C > T3 > T4 순으로 나타났다(P<0.01). 채식시간과 반추시간을 합한 저작 시간은 T4(392.5 min.) > T3(331.4 min.) > C(329.4 min) > T1(327.2 min) > T2(276.3 min.) 순으로 나타났다(P<0.01). 식괴수, 총 저작수, 식괴당 저작수, 사료가치지수는 각각 190.9개, 9,129.4회, 47.8회, 39.4(분/kg)으로 T4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식괴당 반추시간은 C구가 가장 높고 T3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P<0.05), 분당 식괴수는 T3 가장 높고 C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채식율과 저작효율은 T2구에서 가장 높았지만(P<0.01, 0.05), 반추효율에서는 T1구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군 행동에서는 휴식(78.5%) > 반추(11.4%) > 채식(10.1%)순으로, 군 행동 중 서서 휴식은 T3 > C > T2 >T1 > T4 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whole grain barley cracked feed on eating behaviors of Hanwoo steers during finish fattening period. Thirty Hanwoo steers(28 months old) were assign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control(C: normal concentrate as a basal diet), and four feeding groups[T1: 10% addition of whole grain barley cracked(WGBC) feed, T2: 20% addition of WGBC, T3: 30% addition of WGBC and T4: 40% WGBC during the finish fattening perio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eating behaviors for 48 hours are summarized as follows: Total intake(roughage + concentrat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4>T1>C>T3>T2(P<0.05). Eating tim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4>T3>C>T1 > T2(P<0.01). Ruminating tim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4>T1>C>T3>T2(P<0.05). But resting tim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2>T1>C>T3>T4. The chewing time including eating and ruminating tim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4>T3 > C > T1 > T2 (P<0.01). Number of bolus, number of total chews, number of chews/bolus and feed value index were highest in T4(P<0.05). Ruminating time per bolus was highest in C, and T3 was the lowest(P<0.05) as compared to others. Number of bolus per minute was highest in T3, and C is the lowest(P<0.05). Eating rate and chewing efficiency were highest in T2(P<0.01, 0.05), but ruminating efficiency was higher in T1 than others. The group behavior was higher in the order of resting(78.5%) > ruminating(11.4%) > eating(10.1%). The stand resting of group behavior was higher in the order of T3 > C > T2 > T1 > T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우보증씨수소 선발지수 개선에 관한 연구 김효선, 황정미, 최태정, 박병호, 조광현, 박철진, 김시동 pp.83-90

국내산 돼지고기의 원산지 검증을 위한 SNP Marker Set 개발 김상욱, 김관석, 이윤미, 김태헌, 최봉환, 이소평, 김종주 pp.91-96

폐계가슴살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돈육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영향하는 동충하초, 누에고치 및 Conjugated Linoleic Acid(CLA) 첨가 효과 진상근, 이중근, 강석남, 최승연, 허인철, 양한술, 김일석 pp.131-140

과천·부산경남 경마공원의 통합경주자료를 이용한 더러브렛 경주마의 유전능력 평가 조광현, 김종규, 공홍식, 박경도, 손삼규, 이학교, 조병욱 pp.97-102

약용식물(Artemisia, Acanthopanax and Garlic)의 급여가 돼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장해동, 김인호, 홍성민, 정지홍, 이제현 pp.103-110

말에서 사료 급여 수준이 분 젖산 생산 박테리아 및 pH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종언, 김남영, 오윤용, 정하연, 박남건, 좌재호 pp.111-116

균상재배 느타리버섯부산물 생균발효사료의 반추동물 조사료원으로서의 가치 평가 김영일, 석준상, 곽완섭 pp.117-124

돈육의 브랜드화를 위한 Blended Essential Oil의 육질개선 효과 장해동, 김인호, 홍성민, 정지홍 pp.125-130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LHB55의 항균성과 요구르트 제조 적합성 연구 이승규, 이연정, 김민경, 한기성, 정석근, 오미화, 장애라, 김동훈, 배인휴, 함준상 pp.141-148

통보리 분쇄 사료 급여가 비육후기 한우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상무, 최유락 pp.149-156

한우 암소에서 도체형질과 도체가격간의 상관관계 김대중, 이창우, 이채영, 김종복 pp.157-164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artley, E. E. 1976. Bovine saliva: production and function of buffers in ruminant physiology and metabolism. Church and Dwight Co., Inc., New York. 미소장
2 Beauchemin, K. A. and Buchanan, S. 1989. Effects of dietary neutral fiber concentration and supplementary long hay on chewing activities and milk production of dairy cows. J. Dairy Sci. 72:2288. 미소장
3 Silage and milk production: comparisons between grass silage of three different chop lengths 네이버 미소장
4 Cone, J. W., Cline, T. W., Malestein, A. and Klooster, A. 1989. Degradation of starch by incubation with rumen fluid. A comparison of different starch sources. J. Sci. Food. Agric. 49: 173. 미소장
5 de Visser, H. and de Groot, A. M. 1980. The influence of the starch and sugar content of concentration on feed intake, rumen fermentation,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milk. In: Giesecke, D., Dirksen, G., Stangassinger, M. Y.(Eds.), Proceedings of disease farm animals, Munich, Germany. Fotodruck Frank OHG. p 41. 미소장
6 Relative Rate of in Vitro Cellulose Disappearance as a Possible Estimator of Digestible Dry Matter Intake 네이버 미소장
7 Ilan, D., Levy, D. and Holzer, Z. 1973. Behavior patterns of intensively fed male calves as affected by allowance and type of space. Anim. Prod. 19:147-155. 미소장
8 Kato, K., Kajima, Y., Odashima, M., Lee, L. S., Nam, K. T., Chiga, H. Y., Shoji, M. Otha and Sasaki, Y. 1989. feed passage and digestibility in Japanese deer and sheep. Research report of Kawatabi experimental station. 5:59-62. 미소장
9 Eating and ruminating behavior of steers fed Coastal Bermudagrass hay at four levels. 네이버 미소장
10 Digestion of barley, maize, and wheat by selected species of ruminal bacteria. 네이버 미소장
11 Digestibility studies with cows given whole and rolled cereal grains 네이버 미소장
12 Pond, K. R., Ellis, W. C. and Akin, D. E. 1984. Ingestive mastication and fragmentation. J. Anim. Sci. 58:1567. 미소장
13 Reid, C. S. W., Lyttleton, J. W. and Mangan, J. L. 1962. New Zealand J. Agr. Res. 5:237. 미소장
14 Welch, J. G., Smith, A. M. and Gibson, K. S. 1970. Rumination time in four breeds of dairy cattle. J. Dairy Sci. 53(1):89-91. 미소장
15 加藤正信, 春本 直. 1976. 牧草地におけるヘレフオート種子付成雌牛の放牧行動について. 島根大學農學部硏究報告. 10:14-20. 미소장
16 김종민, 이병석, 정태영. 1994. 암모니아 처리 보릿짚의 절단 길이가 한우의 채식 및 반추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36(5):487-493. 미소장
17 Ruminant Nutrition : Effects of Feeding Rice Straw Silage made with Apple Pomace , Sesame Oil Meal and Cage Layer Excreta on Growth Rate , Eating Behavior and Economical Efficiency in Korean Native Cattle 소장
18 버섯잔사 첨가급여가 육성기 한우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장
19 이상무, 송영한, 원유석. 2009. 한우 컨설팅 지침서. 제6장 한우의 행동.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p 231. 미소장
20 Effects of Rice Strew and Rice Hull Supplement on Rumination and Chewing Behavior in Hanwoo Steers 소장
21 Effects of Concentrate to Roughage Ratios on Duration and Frequencies of Rumination and Chewing in Hanwoo Steers 소장
22 장대진. 2009. 조사료 급여 종류가 거세 한우의 반추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12. 미소장
23 Effects of Dietary Barley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소장
24 Effect of Supplementary Level of Fermented Broiler Litter on the Dry Matter Intake ,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Female Spotted Deer(Cervus Nippon) 소장
25 Ruminant Nutrition : The Effect of Different Fiber Sources on Chewing Behavior of Korean Native Cattle 소장
26 SAS. 2002.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