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종교문화 개념의 등장과 그 배경 : 소전 정진홍의 종교문화 개념의 의미 | 장석만 | pp.13-39 |
|
|
한국 기독교에 대한 소전 종교학의 문화비평 | 이진구 | pp.40-74 |
|
|
'틈새'의 종교학과 상상의 시학 : 소전학에 있어 종교·문학·예술 | 박규태 | pp.75-105 |
|
|
신화와 역사 : 의미 형성의 두 지층 | 임현수 | pp.106-142 |
|
|
소전 정진홍의 몸짓 현상학에 나타난 의례연구 방법론 고찰 | 박상언 | pp.143-176 |
|
|
죽음에 관한 일곱 가지 이야기 : 정진홍의 죽음론 | 이창익 | pp.177-221 |
|
|
개념과 실재 : 민간신앙 인식에의 물음 | 이용범 | pp.222-247 |
|
|
종교문화(宗敎文化)와 그 다원성(多元性) : 또 하나의 시각 | 김대열 | pp.249-291 |
|
|
소전의 반 델 레에우 이해의 특징과 한계 : 종교현상학적 해석 | 안신 | pp.292-326 |
|
|
거친 기억 속의 '스승의 그림자' | 심형준 | pp.335-347 |
|
|
종교학과 신학의 만남 : 정진홍 선생님과 고(故) 허혁 선생님의 경우 | 김석진 | pp.327-334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鄭鎭弘, 1977a, 〈멀치아 엘리아데〉, 《현상과 인식》 1. | 미소장 |
2 | 古代存在論과 歷史 ![]() |
미소장 |
3 | 신화의 구조적 분석 - 단군신화의 종교적 함의를 해독하기 위한 시론 - ![]() |
미소장 |
4 | 鄭鎭弘, 1980, 〈揆園史話의 神話〉, 《종교학서설》, 전망사. | 미소장 |
5 | 鄭鎭弘, 1980, 〈時間의 可逆性〉, 《종교학서설》, 전망사. | 미소장 |
6 | 鄭鎭弘, 1980, 〈종교와 문학〉, 《종교학서설》, 전망사. | 미소장 |
7 | 鄭鎭弘, 1980, 〈종교적 지성의 역사의식〉, 《종교학서설》, 전망사. | 미소장 |
8 | 韓國神話 의 女性象徵硏究 ; 三國遺事 의 紀異篇 을 中心 으로 | 소장 |
9 | 종교와 문학 ![]() |
미소장 |
10 | 鄭鎭弘, 1992, 〈신화를 사는 삶〉, 《종교문화의 이해》, 청년사. | 미소장 |
11 | 鄭鎭弘, 1992, 〈종교정의의 시도〉, 《종교문화의 이해》, 청년사, | 미소장 |
12 | 鄭鎭弘, 1994, 〈고백의 언어와 상상의 언어〉, 《철학과 현실》 22. | 미소장 |
13 | 鄭鎭弘, 1996, 〈종교문화를 읽기 위한 문법의 모색〉, 《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 종교현상학의 전개》, 서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14 | 鄭鎭弘, 1996, 〈맺음말: 비학문적인 후기(後記)〉, 《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 종교현상학의 전개》, 서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15 | 신화·역사·종교 | 소장 |
16 | 鄭鎭弘, 2000, 〈Ⅲ. 언어·이야기·문자>, 《종교문화의 논리》, 서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17 | 문학과 종교 | 소장 |
18 | 신화적 상상력과 종교 | 소장 |
19 | 鄭鎭弘, 2006, 〈역사〉, 《열림과 닫힘: 인문학적 상상을 통한 종교문화 읽기》, 산처럼. | 미소장 |
20 | Mythic Discourse on Myth | 소장 |
21 | 엘리아데, M., 1976, 《宇宙와 歷史: 永遠回歸의 神話》, 鄭鎭弘 譯, 현대사상사. | 미소장 |
22 | 폴 리쾨르, 1999, 《시간과 이야기 1: 줄거리와 역사 이야기》, 김한식·이경래 옮김,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23 | Eliade, Mircea, 1963, Myth and Reality, New York: Harper & Row. | 미소장 |
24 | Ricoeur, Paul, 1969, The Symbolism of Evil, Boston: Beacon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