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의 목적은 정진홍의 신화론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글은 정진홍의 신화론 중에서 두 가지 주제에 주목한다. 첫째는 신화정의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신화와 역사’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정진홍은 자신의 신화론에서 이 두 가지 주제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본 고는 정진홍의 신화론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가 두 가지 관점을 통해서 앞의 두 주제들에 접근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고는 이 두 가지 관점을 각각 엘리아데의 길과 해석학의 길이라고 명명하였다. 엘리아데의 길에서 신화는 존재론적인 차원과 연결된다. 신화는 기원의 이야기이며, 삶의 본질과 행동의 규범을 제시한다. ‘신화와 역사’의 관계는 이원화된다. 엘리아데가 그랬던 것처럼 신화는 옹호되는 반면 역사는 비판의 대상이 된다. 해석학의 길에서 신화는 엘리아데의 길을 따르면서 마련했던 정의에서 벗어난다. 해석학의 길에서 신화는 고백의 언어로 정의된다. 신화는 사실에 대한 진술을 꾀하는 인식의 언어가 아니다. 신화는 사실의 잉여인 의미를 지향하는 고백의 언어이다. 여기서 이야기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이야기는 신화를 고백의 언어로 만드는데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해석학의 길에서는 엘리아데의 길에서 제시한 바 있었던 ‘신화와 역사’의 관계도 달라진다. 이 관점에 따르면 역사는 이야기로서 고백의 언어로 규정된다. 해석학의 길에서는 신화와 역사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정진홍은 해석학의 길을 따르면서 신화와 역사의 개념을 해체하고 이 둘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범주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정진홍의 신화론에서 발견된 두 개의 길은 그가 보여준 학문적 관의 추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진홍은 초기에는 엘리아데의 길을 따르다 점차 해석학의 길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가 해석학의 길을 따르면서 주장했던 새로운 범주의 탄생을 위하여 어떤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This essay is to analyse Chinhong Chung’s study of myth.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two subjects in Chung’s study. The first is the definition of myth. The second is the relation of myth and history. Chung shows a special interest in them. It is identified that they have been approached through two perspectives. The two perspectives are named the Eliade’s way and the way of hermeneutics respectively. The Eliade’s way connects the myth with the ontological dimension. The myth is the narrative of origin and provides the essence of life and the norm of behavior. Myth and history are dichotomized on the Eliade’s way. The myth is defended as by M. Eliade while the history is criticised. The definition of myth on the way of hermeneutics is different from it on the Eliade’s way. The myth is defined as the language of confession on the way of hermeneutics. It is not the language of episteme that intends the statement of facts. It is the language of confession that reveals meaning as the surplus of facts. The importance of narrative is raised in this point. The narrative is a crucial agent that forms the myth as the language of confession. The relation of myth and history on the way of hermeneutics is different from it on the Eliade’s way. The history is a narrative on the way of hermeneutics. Therefore it is considered as the language of confession. The way of hermeneutics results in the bleariness of the borderline between myth and history. Chung insists that two concepts of myth and history should be deconstructed. He puts stress on the necessity of the new category that can cover them. The two perspectives in Chung’s study of myth reflect the change of his academic concern. It is presumed that Chung followed the Eliade’s way in the early days. But he has followed the way of hermeneutics gradually ever since. It is unknown that he prepares any programs for the production of the new category demanded on the way of hermeneutics.

권호기사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鄭鎭弘, 1977a, 〈멀치아 엘리아데〉, 《현상과 인식》 1. 미소장
2 古代存在論과 歷史 네이버 미소장
3 신화의 구조적 분석 - 단군신화의 종교적 함의를 해독하기 위한 시론 - 네이버 미소장
4 鄭鎭弘, 1980, 〈揆園史話의 神話〉, 《종교학서설》, 전망사. 미소장
5 鄭鎭弘, 1980, 〈時間의 可逆性〉, 《종교학서설》, 전망사. 미소장
6 鄭鎭弘, 1980, 〈종교와 문학〉, 《종교학서설》, 전망사. 미소장
7 鄭鎭弘, 1980, 〈종교적 지성의 역사의식〉, 《종교학서설》, 전망사. 미소장
8 韓國神話 의 女性象徵硏究 ; 三國遺事 의 紀異篇 을 中心 으로 소장
9 종교와 문학 네이버 미소장
10 鄭鎭弘, 1992, 〈신화를 사는 삶〉, 《종교문화의 이해》, 청년사. 미소장
11 鄭鎭弘, 1992, 〈종교정의의 시도〉, 《종교문화의 이해》, 청년사, 미소장
12 鄭鎭弘, 1994, 〈고백의 언어와 상상의 언어〉, 《철학과 현실》 22. 미소장
13 鄭鎭弘, 1996, 〈종교문화를 읽기 위한 문법의 모색〉, 《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 종교현상학의 전개》,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4 鄭鎭弘, 1996, 〈맺음말: 비학문적인 후기(後記)〉, 《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 종교현상학의 전개》,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5 신화·역사·종교 소장
16 鄭鎭弘, 2000, 〈Ⅲ. 언어·이야기·문자>, 《종교문화의 논리》,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7 문학과 종교 소장
18 신화적 상상력과 종교 소장
19 鄭鎭弘, 2006, 〈역사〉, 《열림과 닫힘: 인문학적 상상을 통한 종교문화 읽기》, 산처럼. 미소장
20 Mythic Discourse on Myth 소장
21 엘리아데, M., 1976, 《宇宙와 歷史: 永遠回歸의 神話》, 鄭鎭弘 譯, 현대사상사. 미소장
22 폴 리쾨르, 1999, 《시간과 이야기 1: 줄거리와 역사 이야기》, 김한식·이경래 옮김, 문학과 지성사. 미소장
23 Eliade, Mircea, 1963, Myth and Reality, New York: Harper & Row. 미소장
24 Ricoeur, Paul, 1969, The Symbolism of Evil, Boston: Beacon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