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Depuis le debut des annees quatre-vingt-dix, le cinema francais voit

une nouvelle tendance cinematographique nommee par Rene Predal

comme le realisme interieur dont la specificite se caracterise ; au

niveau thematique l'individualisme et le spititualisme, au niveau

stylistique, le naturalisme et la tendance de l'anti cinema-spectacle. Ce

sont Larent Cantet, Arnaud Desplechin, Francois Ozon, Eric Rochant,

Emmanuel Saligner, Noemie Lvovsky et Christian Vincent qui

representent cette nouvelle tendance cinematographique francais.

La majorite des jeunes cineastes francais sont sortis de la FEMIS.

C’est la grande difference entre eux et la generation de la Nouvelle

vague qui a apprit le cinema dans la cinematheque. Nous determinons

donc le groupe des cineastes des annees 90 comme les enfants de

FEMIS et celui de la Nouvelle vague comme ceux de la cinematheque.

Il y a un autre element qui differencie ≪le realislme interieur≫ de la

Nouvelle vague. C’est l’absence de la vision sociale. En se penchant sur

le probleme individuel et psychologique, ≪le realislme interieur≫ ignore

de temps en temps sa responsabilite sociale. Il y a cependant des

autres cineastes francais contemporains dont les oeuvres introduisent

les problemes actuels de la societe francaise. Ce sont Abdellatif

Kechiche, cineaste d’origine tunisien et Bruno Dumont, cineaste

norman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Le massacre de la Saint-Barthélemy vu par Prosper Mérimée 이홍 pp.153-178

은유와 속사구조 이성재 pp.417-440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그림읽기 : 벨라스케스의 <시녀들 Las Meninas>에 대한 해석 김소라 pp.5-28

1990년대 이후 프랑스 영화 연구 : '내적 사실주의' 영화를 중심으로 김이석 pp.29-50

아리안 므누슈킨의 공연구성에 대한 연구 : <1789>에서 '즉흥연기'를 중심으로 김균형 pp.81-104

신자유주의의 도전에 대한 <르몽드>의 대응과 그 한계 성일권 pp.207-232

말라르메의 몰아와『금강경』의 무아 장정아 pp.275-294

2000년 이후의 국내 프랑스영화 김미라 pp.51-80

평가로서 DELF의 의미와 활용 방안 김양희 pp.511-534

L'autonomie du français québécois 서덕렬 pp.339-358

"(LES)CORÉENS" : UNE PIÈCE DE MICHEL VINAVER ANCRÉE DANS LEPRÉSENT Michel BOUDON pp.295-337

상태동사의 시상 연구 원유상 pp.391-416

일상성과 감성의 정치학 : 네그리의 '다중'(多衆)을 넘어서 홍성민 pp.179-206

어휘 고정의 의미 구성에 관하여 차지영 pp.463-485

사역-지각동사구문의 도치, 주어탈락과 공범주 주어 구조에 대한 연구 백미혜리 pp.441-461

교육적 관점에서 Bourdieu의 언어철학연구 : 'Langage et Pouvoir Symbolique'를 중심으로 남현숙 pp.487-510

알자스의 기후와 지형 그리고 포도주에 대한 지역 연구 정남모 pp.251-273

외국어 학습에서의 문화교육의 중요성 및 효율적 연계 학습 방안 정일영 pp.535-562

코르시카어 전승문제 연구 강욱기 pp.359-390

르 꼬르뷔제의 새로운 교구성당 개념에 관한 고찰 : 피르미니 성당 설계의 초기 접근과정을 중심으로 견진현 pp.105-128

파비용 필립스에 나타난 건축과 멀티미디어 예술의 관련성 연구 :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사상을 중심으로 황덕현 pp.129-151

프랑스어 수업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놀이 테크닉 교수법 : CAVILAM의 Frederique Treffandier 교수법을 중심으로 이혜옥 pp.563-594

La Danse du Peyotl: Pour chercher la poétique de la folie 박형섭 pp.233-249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영화진흥위원회, 영화, 방송, 공적지원 , 한불영상세미나 녹취록, 2001. 미소장
2 영화진흥위원회, 프랑스 영화산업 현황과 공공지원 정책 , 한불영상세미나 보고서, 2001. 미소장
3 영화진흥위원회, 미주 및 유럽의 영화 정책에 관한 연구 , 2000. 미소장
4 임재철 엮음, 장-마리 스트라우브, 다니엘 위예 , 한나래, 서울, 2004. 미소장
5 아르노 데플레샹의 혼동의 미학 - “죽은자들의 삶”, “나는 어떻게 투쟁했던가...(나의 성 생활)”, “왕들과 왕비”를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6 Delon Francis, Les Multiplex, Paris, CNC 2000 미소장
7 Frodon Jean-Michel, L’âge moderne du cinéma français de la Nouvelle Vague à nos jours, Paris, Flammarion, 1995. 미소장
8 Jäckel Anne, 유럽의 영화산업 , 박조원, 정현일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미소장
9 Jeancolas Jean-Pierre, 프랑스 영화사 , 김혜련 역, 동문선, 1995. 미소장
10 Marie Michel, La nouvelle vague, Nathan, Paris, 1997 미소장
11 La politique des auteurs, Paris, Edition Cahiers du cinéma, 2001. 미소장
12 “La production cinématographique en 2004 ; Bilan statistique agréés du 1er janvier au 31 décembre 2005”, mai, CNC, 2006 미소장
13 “La production audiovisuelle aidée en 2005”, mai, CNC, 2006 미소장
14 Prédal René, Le jeune cinéma français, Paris, Nathan, 2002. 미소장
15 Vanoye François, Le jeune cinéma français, coll. <128>, Hors Série 1998, Paris, Nathan. 미소장
16 Vive le cinéma français, Paris, Edition Cahiers du cinéma, 2001. 미소장
17 http://www.cnc.fr 프랑스 국립영화센터 미소장